
CCU 케이스 심실빈맥 ventricular tachycardia 간호진단 9개, 간호과정 3개
본 내용은
"
CCU케이스 심실빈맥 ventricular tachycardia 간호진단 9개, 간호과정 3개입니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04
문서 내 토픽
-
1. Ventricular Tachycardia심실빈맥은 심실에 회귀 회로(reentry circuit)이 생기고, 이것이 흥분을 반복하여 이것이 전도되어 발생한다. 정상 심장에서는 SA node에서 흥분이 발생하지만, 심실빈맥의 경우 심실에 회귀 회로가 생기고 이곳에서 흥분이 발생하여 전도되는 것이 보인다. 그렇기에 EKG상 QRS complex가 넓게 보이게 된다. 심실빈맥은 빠른맥으로 심장이 빨리 뛰면서 가슴 두근거림을 느끼거나, 온 몸으로 충분한 혈액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호흡 곤란, 어지러움, 실신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심한 경우는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으로 진행하여 심장마비로 인한 사망을 초래 할 수 있다.
-
1. Ventricular TachycardiaVentricular tachycardia (VT) is a serious cardiac arrhythmia that requires prompt medical attention. It is characterized by a rapid and abnormal heart rhythm originating from the ventricles, the lower chambers of the heart. VT can be life-threatening if not properly managed, as it can lead to a lack of effective blood circulation and potentially fatal complications. The causes of VT can vary, but it is often associated with underlying heart conditions such as coronary artery disease, cardiomyopathy, or structural heart abnormalities. Certain medications, electrolyte imbalances, and other factors can also trigger VT episodes. Symptoms of VT can include palpitations, chest pain, shortness of breath, dizziness, and even loss of consciousness. Immediate medical intervention is crucial, as VT can rapidly deteriorate into more severe arrhythmias, such as ventricular fibrillation, which can be fatal without prompt treatment. The management of VT typically involves a combination of medications, cardioversion (electrical shock to restore normal heart rhythm), and in some cases, 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s (ICDs) to monitor and terminate potentially life-threatening arrhythmias. Identifying and addressing the underlying cause of VT is also essential for effective long-term management. Overall, ventricular tachycardia is a serious cardiac condition that requires prompt and appropriate medical care. Increased awareness, early recognition of symptoms, and timely intervention can significantly improve patient outcomes and reduce the risk of life-threatening complications.
-
MI case study (건강문제와 간호 ) 26페이지
학점은행제 (08020570 임수민)건강문제와 간호 1(손덕옥 교수님)< 심근 경색증 CASE STUDY >Ⅰ. 서 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우리나라에서의 심장질환은 통계적으로 구미사회보다 20년 내지 30년 정도 시간적 차이를 두고 뒤쫓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특기해야 할 점은 근래 들어 눈에 띄게 많아지고 있는 관상동맥 심장병, 즉 협심증과 심근경색이다.70년과 비교할 때 현재 관상동맥 심장병환자는 10배정도, 80년대 초와 비교할 때는 7배가량 급증하였다. 90년 초부터 우리나라 사망 원인 가운데 첫째가...2012.08.21· 26페이지 -
성인간호학 CASE STUDY - 급성심근경색 20페이지
< Case study >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심장은 사람의 생명에 있어 중요한 기관인데,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과 음주, 흡연 등의 원인등으로 심장질환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관상동맥 질환의 한 종류인 급성 심근경색은 순식간에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질병으로써 짧은 시간 내에 필요로 하는 응급처치와 추후치료가 중요한 질병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CPR의 중요성과 추후치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2. 연구문제Acute myocardial infarction을 알고, 응급상황에 맞는 CP...2010.03.04· 2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