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품휘정요 8권
본 내용은
"
본초품휘정요 8권, 진장기여,추호근, 첨등, 맹랑채, 길상초, 지의초, 낭야초, 지양매, 모고채, 참채, 익내초, 촉호란, 계각초, 계화란, 료교, 석제녕, 남등근, 칠선초, 감가백약, 천축건강, 지덕륵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04
문서 내 토픽
  • 1. 추호근
    추호근은 단맛, 찬기로 독이 없다. 주로 5장을 윤택하게 하며 소갈을 중지시키고 심번과 열을 제거하고 눈을 밝게 하며 공로가 맥문동과 같다. 중국 강남 산골짜기 응달에 생기며 싹은 원추리같고 뿌리는 천문동 같고 심을 제거하고 사용한다.
  • 2. 첨등
    첨등은 단맛이고 차고 독이 없다. 열 심번을 제거하고 해독하고 중기를 조절하고 사람이 살찌고 건장하게 한다. 또한 말가죽 벗긴 혈독이 살에 들어가거나 광견병, 소나 말의 열성 황달을 주치한다. 찧어 쥐어짜 즙을 취하며 쌀가루와 섞어 미숫가루를 만들어 먹으면 단 좋은 맛이 나며 설사를 중지하게 한다.
  • 3. 맹랑채
    맹랑채는 쓴맛 조금 온기가 있고 독이 없다. 부인의 배속의 혈 결체, 마름을 주치하고 남자는 음낭이 습하고 가려움을 치료하니 양기를 강하게 하며 사람이 잘 걸어가게 하며 잠들지 않게 하며 허증을 보하고 치루, 나력, 영류를 제거하고 채소로 만들어 먹는다.
  • 4. 길상초
    길상초는 단맛, 온성이며 독이 없다. 주로 눈을 밝게 하며 잘 기억하게 하며, 심력을 보한다. 서쪽 나라에서 생산되니 오랑캐 사람이 장래 가져온 것이다.
  • 5. 지의초
    지의초는 쓴맛이고 평기, 독이 없다. 주로 눈을 밝게 한다. 지상의 의복같이 풀이 습한 곳에서 생긴다.
  • 6. 낭야초
    낭야초는 쓴맛, 평기로 독이 없다. 오래된 적백리, 소아의 대복부가 답답하고 그득, 단독, 오한발열을 주치하니, 뿌리 줄기를 취해 복용해 달인다. 산과 연못에서 3,4척이 생기며 잎은 기러기 치아모양으로 귀침초 싹과 같다.
  • 7. 지양매
    지양매는 매운맛이며 평기로 독이 없다. 적백이질을 주치하니 줄기, 씨를 취해 달여 복용한다. 강동의 온습한 땅에서 생기며 음력 4,5월에 양매와 같은 씨가 되고 싹은 모고채와 같다.
  • 8. 모고채
    모고채는 단맛, 평기로 독이 없다. 오래된 적백이질을 주치하니 달여 복용한다. 풀은 높이가 1척이며 띠풀속에서 생긴다. 잎은 털이 기름져 사람 손에 달라붙고 씨는 뿔이 생겨 중간에 작은 씨가 있다.
  • 9. 참채
    참채는 매운맛으로 평기이며 독이 없다. 주로 어혈을 깨고 산후복통을 주치하니 달인 즙을 복용하며 또 찧어 부수고 정창에 붙인다. 강남국 응달에 생기며 익모초와 유사하나 모난 줄기로 마디를 대하고 백색 꽃이며 꽃안에 단즙이 있다.
  • 10. 익내초
    익내초는 쓴맛, 평기로 독이 없다. 5종류 치질, 탈항을 주치하고 지혈하고 구우면 향기가 나며 술에 담가 복용한다. 영가산 골짜기에서 생기니 잎은 택란과 같고 줄기는 적색 높이는 2,3척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추호근
    추호근은 한국의 유명한 화가로, 그의 작품은 한국 전통 회화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의 작품에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 정신적 깊이, 그리고 한국적 미학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추호근의 작품은 한국 미술사에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그의 예술적 업적은 한국 문화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2. 첨등
    첨등은 한국의 전통 건축물 중 하나로, 그 역사와 문화적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첨등은 한국 전통 건축의 특징인 목조 구조와 기와 지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자연과의 조화로운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첨등은 한국 전통 건축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건물로, 한국 문화유산 보존과 전통 건축 기술 계승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3. 맹랑채
    맹랑채는 한국의 전통 가옥 중 하나로, 그 건축 양식과 구조가 매우 독특합니다. 맹랑채는 전통 한옥의 특징인 기둥과 보, 처마 등의 요소를 잘 보여주고 있으며, 자연 환경과의 조화로운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맹랑채는 한국 전통 건축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건물로, 한국 문화유산 보존과 전통 건축 기술 계승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4. 길상초
    길상초는 한국의 전통 사찰 중 하나로, 그 역사와 문화적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길상초는 한국 불교 문화의 특징인 목조 건축물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길상초는 한국 전통 사찰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건물로, 한국 문화유산 보존과 전통 불교 문화 계승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5. 지의초
    지의초는 한국의 전통 사찰 중 하나로, 그 역사와 문화적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지의초는 한국 불교 문화의 특징인 목조 건축물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의초는 한국 전통 사찰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건물로, 한국 문화유산 보존과 전통 불교 문화 계승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6. 낭야초
    낭야초는 한국의 전통 사찰 중 하나로, 그 역사와 문화적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낭야초는 한국 불교 문화의 특징인 목조 건축물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낭야초는 한국 전통 사찰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건물로, 한국 문화유산 보존과 전통 불교 문화 계승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7. 지양매
    지양매는 한국의 전통 정원 중 하나로, 그 아름다운 경관과 문화적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지양매는 한국 전통 정원의 특징인 자연과의 조화, 정적인 분위기, 그리고 정교한 조경 기술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양매는 한국 전통 정원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정원으로, 한국 문화유산 보존과 전통 조경 기술 계승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8. 모고채
    모고채는 한국의 전통 가옥 중 하나로, 그 건축 양식과 구조가 매우 독특합니다. 모고채는 전통 한옥의 특징인 기둥과 보, 처마 등의 요소를 잘 보여주고 있으며, 자연 환경과의 조화로운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모고채는 한국 전통 건축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건물로, 한국 문화유산 보존과 전통 건축 기술 계승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9. 참채
    참채는 한국의 전통 가옥 중 하나로, 그 건축 양식과 구조가 매우 독특합니다. 참채는 전통 한옥의 특징인 기둥과 보, 처마 등의 요소를 잘 보여주고 있으며, 자연 환경과의 조화로운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참채는 한국 전통 건축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건물로, 한국 문화유산 보존과 전통 건축 기술 계승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10. 익내초
    익내초는 한국의 전통 사찰 중 하나로, 그 역사와 문화적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익내초는 한국 불교 문화의 특징인 목조 건축물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익내초는 한국 전통 사찰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건물로, 한국 문화유산 보존과 전통 불교 문화 계승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