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초품휘정요 8권
본 내용은
"
본초품휘정요 8권, 진장기여,추호근, 첨등, 맹랑채, 길상초, 지의초, 낭야초, 지양매, 모고채, 참채, 익내초, 촉호란, 계각초, 계화란, 료교, 석제녕, 남등근, 칠선초, 감가백약, 천축건강, 지덕륵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04
문서 내 토픽
-
1. 추호근추호근은 단맛, 찬기로 독이 없다. 주로 5장을 윤택하게 하며 소갈을 중지시키고 심번과 열을 제거하고 눈을 밝게 하며 공로가 맥문동과 같다. 중국 강남 산골짜기 응달에 생기며 싹은 원추리같고 뿌리는 천문동 같고 심을 제거하고 사용한다.
-
2. 첨등첨등은 단맛이고 차고 독이 없다. 열 심번을 제거하고 해독하고 중기를 조절하고 사람이 살찌고 건장하게 한다. 또한 말가죽 벗긴 혈독이 살에 들어가거나 광견병, 소나 말의 열성 황달을 주치한다. 찧어 쥐어짜 즙을 취하며 쌀가루와 섞어 미숫가루를 만들어 먹으면 단 좋은 맛이 나며 설사를 중지하게 한다.
-
3. 맹랑채맹랑채는 쓴맛 조금 온기가 있고 독이 없다. 부인의 배속의 혈 결체, 마름을 주치하고 남자는 음낭이 습하고 가려움을 치료하니 양기를 강하게 하며 사람이 잘 걸어가게 하며 잠들지 않게 하며 허증을 보하고 치루, 나력, 영류를 제거하고 채소로 만들어 먹는다.
-
4. 길상초길상초는 단맛, 온성이며 독이 없다. 주로 눈을 밝게 하며 잘 기억하게 하며, 심력을 보한다. 서쪽 나라에서 생산되니 오랑캐 사람이 장래 가져온 것이다.
-
5. 지의초지의초는 쓴맛이고 평기, 독이 없다. 주로 눈을 밝게 한다. 지상의 의복같이 풀이 습한 곳에서 생긴다.
-
6. 낭야초낭야초는 쓴맛, 평기로 독이 없다. 오래된 적백리, 소아의 대복부가 답답하고 그득, 단독, 오한발열을 주치하니, 뿌리 줄기를 취해 복용해 달인다. 산과 연못에서 3,4척이 생기며 잎은 기러기 치아모양으로 귀침초 싹과 같다.
-
7. 지양매지양매는 매운맛이며 평기로 독이 없다. 적백이질을 주치하니 줄기, 씨를 취해 달여 복용한다. 강동의 온습한 땅에서 생기며 음력 4,5월에 양매와 같은 씨가 되고 싹은 모고채와 같다.
-
8. 모고채모고채는 단맛, 평기로 독이 없다. 오래된 적백이질을 주치하니 달여 복용한다. 풀은 높이가 1척이며 띠풀속에서 생긴다. 잎은 털이 기름져 사람 손에 달라붙고 씨는 뿔이 생겨 중간에 작은 씨가 있다.
-
9. 참채참채는 매운맛으로 평기이며 독이 없다. 주로 어혈을 깨고 산후복통을 주치하니 달인 즙을 복용하며 또 찧어 부수고 정창에 붙인다. 강남국 응달에 생기며 익모초와 유사하나 모난 줄기로 마디를 대하고 백색 꽃이며 꽃안에 단즙이 있다.
-
10. 익내초익내초는 쓴맛, 평기로 독이 없다. 5종류 치질, 탈항을 주치하고 지혈하고 구우면 향기가 나며 술에 담가 복용한다. 영가산 골짜기에서 생기니 잎은 택란과 같고 줄기는 적색 높이는 2,3척이다.
-
1. 추호근추호근은 한국의 유명한 화가로, 그의 작품은 한국 전통 회화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의 작품에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 정신적 깊이, 그리고 한국적 미학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추호근의 작품은 한국 미술사에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그의 예술적 업적은 한국 문화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2. 첨등첨등은 한국의 전통 건축물 중 하나로, 그 역사와 문화적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첨등은 한국 전통 건축의 특징인 목조 구조와 기와 지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자연과의 조화로운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첨등은 한국 전통 건축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건물로, 한국 문화유산 보존과 전통 건축 기술 계승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3. 맹랑채맹랑채는 한국의 전통 가옥 중 하나로, 그 건축 양식과 구조가 매우 독특합니다. 맹랑채는 전통 한옥의 특징인 기둥과 보, 처마 등의 요소를 잘 보여주고 있으며, 자연 환경과의 조화로운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맹랑채는 한국 전통 건축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건물로, 한국 문화유산 보존과 전통 건축 기술 계승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4. 길상초길상초는 한국의 전통 사찰 중 하나로, 그 역사와 문화적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길상초는 한국 불교 문화의 특징인 목조 건축물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길상초는 한국 전통 사찰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건물로, 한국 문화유산 보존과 전통 불교 문화 계승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5. 지의초지의초는 한국의 전통 사찰 중 하나로, 그 역사와 문화적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지의초는 한국 불교 문화의 특징인 목조 건축물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의초는 한국 전통 사찰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건물로, 한국 문화유산 보존과 전통 불교 문화 계승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6. 낭야초낭야초는 한국의 전통 사찰 중 하나로, 그 역사와 문화적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낭야초는 한국 불교 문화의 특징인 목조 건축물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낭야초는 한국 전통 사찰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건물로, 한국 문화유산 보존과 전통 불교 문화 계승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7. 지양매지양매는 한국의 전통 정원 중 하나로, 그 아름다운 경관과 문화적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지양매는 한국 전통 정원의 특징인 자연과의 조화, 정적인 분위기, 그리고 정교한 조경 기술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양매는 한국 전통 정원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정원으로, 한국 문화유산 보존과 전통 조경 기술 계승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8. 모고채모고채는 한국의 전통 가옥 중 하나로, 그 건축 양식과 구조가 매우 독특합니다. 모고채는 전통 한옥의 특징인 기둥과 보, 처마 등의 요소를 잘 보여주고 있으며, 자연 환경과의 조화로운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모고채는 한국 전통 건축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건물로, 한국 문화유산 보존과 전통 건축 기술 계승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9. 참채참채는 한국의 전통 가옥 중 하나로, 그 건축 양식과 구조가 매우 독특합니다. 참채는 전통 한옥의 특징인 기둥과 보, 처마 등의 요소를 잘 보여주고 있으며, 자연 환경과의 조화로운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참채는 한국 전통 건축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건물로, 한국 문화유산 보존과 전통 건축 기술 계승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10. 익내초익내초는 한국의 전통 사찰 중 하나로, 그 역사와 문화적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익내초는 한국 불교 문화의 특징인 목조 건축물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익내초는 한국 전통 사찰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건물로, 한국 문화유산 보존과 전통 불교 문화 계승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본초품휘정요8권, 방풍, 포황, 향포1. 방풍 방풍은 신농본초경 출전이며 대풍[한센병], 머리가 아찔한 통증, 바람을 싫어함, 풍사와 눈이 어두워 안 보임, 풍이 온 몸을 돌아다님, 골절이 아프고 마비, 화끈거리고 그득함, 오래 복용하면 몸을 가볍게 한다. 방풍은 옆구리 통증, 옆구리 풍증, 머리안면에 오고 감, 사지의 경련과 급함, 자식 낳아 기름, 금창상, 경련을 주치한다. 방풍잎은 중풍...2025.01.17 · 의학/약학
-
본초품휘정요8권, 남실, 청대, 궁궁1. 남실 남실은 신농본초경 출전이며 여러 독을 풀고 고기(발음이 기이며 소아귀신이다), 주귀를 없애며 오래 복용하면 머리가 백발이 안되며 몸을 가볍게 한다. 잎과 즙은 여러 약독을 없애고 낭독, 사망의 독을 해독하고 쪽 줄기와 잎은 청색으로 염색할 수 있다. 2. 청대 청대는 쪽에서 나온 것으로 가정 정원과 채마밭에 파종해 심는다. 잎은 여뀌와 같고 여름...2025.01.17 · 의학/약학
-
본초품휘정요8권, 질려자, 황기, 육종용1. 질려자 질려자는 신농본초경 출전이며 나쁜피를 주치하고 징결 적취, 후두비증, 젖이 잘 안나옴을 주치하고, 오래 복용하면 살갗과 살을 자라게 하며, 눈을 밝게 하며 몸을 가볍게 한다. 또한 백질려 잎은 풍양을 주치하니 달여 목욕할수 있다. 질려자는 풍익 평택이나 혹은 길옆에서 생기며 음력 2월, 4월에 싹이 나고 7,8월에 씨를 채취한다. 2. 황기 황...2025.01.17 · 의학/약학
-
본초품휘정요8권, 백영, 백호, 적전, 엄린자,석명자, 기실1. 백영 백영은 신농본초경 출전으로 오한발열, 8가지 황달, 소갈을 주치하며, 중초를 보하고 기를 더하며 오래 복용하면 몸을 가볍게 하며 수명을 연장한다. 백영의 이명은 곡채, 백초, 귀목이며 넝쿨지어 생기고 잎은 왕과 잎과 유사하다. 백영 열매는 둥글어 용규자와 같고 달인 즙은 피로를 풀어준다. 백영은 번열과 풍성 발진을 주치한다. 2. 백호 백호는 5...2025.01.17 · 의학/약학
-
본초품휘정요8권, 세신, 석곡, 파극천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8페이지1. 세신 세신은 신농본초경에서 나오며 주로 기침 상역, 두통, 눈앞에 캄캄함어지럼, 모든 관절이 당기고 아픔, 풍습사기 저린통증, 오래 복용하면 눈을 밝게 하며 9구멍을 이롭게 하며 몸을 가볍게 하며 오래 살게 한다. 세신은 죽은 살갗을 치료하고 중초를 따뜻하게 하며 기를 내리고 가래를 없애고 수도를 잘 나가게 하며 가슴속을 열어서 후두의 마비와 코막힘을...2025.01.16 · 의학/약학
-
본초품휘정요8권, 적지, 흑지, 청지, 백지, 황지, 자지,권백 한문 및 한글번역 8페이지1. 적지 적지는 가슴속 결체를 주치하고 심기를 보익하고 중초를 보하고 지혜를 더해주고 건망을 없애고 오래 먹으면 몸을 가볍게 하며 항노화하고 수명을 연장하고 신선이 되게 한다. 2. 흑지 흑지는 소변융폐를 주관해 수도를 잘 나가게 하며 신기를 더하고 9구멍을 소통시키고, 총명하게 관찰을 잘하게 하며 오래 먹으면 몸을 가볍게 하며 수명을 연장하고 신선이 되...2025.01.17 · 의학/약학
-
본초품휘정요8권, 남실, 청대, 궁궁, 9페이지
草之草 藍實 無毒 植生 附葉汁, 淀靑布*附葉汁 淀(얕은 물 정{원음(原音);전}; ?-총11획; dia?n)靑布:원본에는 빠져 있으나 목록과 본문중 내용에 근거해 보충했다.초지초 남실 독이 없고 식생이다.藍實(出《神農本經》), 主解諸毒, 殺蠱? (音其, 小兒鬼也), ?鬼, ?毒, 久服頭不白, 輕身(《神農本經》).*?(길, 갈거미, 벌레가 기어가는 모양 기; ?-총10획; qi)남실은 신농본초경 출전이며 여러 독을 풀고 고기(발음이 기이며 소아귀신이다), 주귀를 없애며 오래 복용하면 머리가 백발이 안되며 몸을 가볍게 한다. 신농본초경...2024.06.24· 9페이지 -
본초품휘정요8권, 방풍, 포황, 향포 7페이지
草之草 防風 無毒 植生초지초 방풍은 독이 없고 식생이다.防風(出《神農本經》), 主大風, 頭眩痛, 惡風, 風邪, 目盲無所見, 風行周身, 骨節疼?, 煩滿, 久服輕身(《神農本經》).*大風:① 癩風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② 몹시 센 風邪. ③ 혈(血)이 허해서 생긴 풍(風).방풍은 신농본초경 출전이며 대풍[한센병], 머리가 아찔한 통증, 바람을 싫어함, 풍사와 눈이 어두워 안 보임, 풍이 온 몸을 돌아다님, 골절이 아프고 마비, 화끈거리고 그득함, 오래 복용하면 몸을 가볍게 한다.脅痛, 脅風, 頭面去來, 四肢攣急, 字乳, 金瘡, 內痙.字...2024.06.30· 7페이지 -
본초품휘정요8권, 질려자, 황기, 육종용 8페이지
草之走 ?藜子 無毒 散生초지주 질려자 독이 없고 흩어져 생긴다.?藜子(出《神農本經》), 主惡血, 破?結積聚, 喉?, 乳難, 久服長肌肉, 明目, 輕身(《神農本經》).喉痺:목구멍이 붓고 아프며 무언가 막혀 있는 느낌이 들어 답답한 등의 증상이 있는 인후병질려자는 신농본초경 출전이며 나쁜피를 주치하고 징결 적취, 후두비증, 젖이 잘 안나옴을 주치하고, 오래 복용하면 살갗과 살을 자라게 하며, 눈을 밝게 하며 몸을 가볍게 한다. 신농본초경身體風?, 頭痛, 咳逆傷肺, 肺?, 止煩, 下氣, 小兒頭瘡, 癰腫, 陰?, 可作摩粉.*陰?(음병, 자궁...2024.06.30· 8페이지 -
본초품휘정요8권, 택사, 원지, 초용담 7페이지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7페이지
卷之八 草部上品之中본초품휘정요 8권 초부 상품의 중간三十種神農本經 朱字30종 신농본초경 붉은 글자一種宋本先附 (注云宋附)1종의 송나라 판본이 먼저 부가 (주석은 송부라고 되어 있다.)二十種陳藏器餘20종 진장기 부여已上總五十一種 內九種今增圖이상은 총 51종이며 안에 9종 지금 도판을 더함草之草 澤瀉 無毒 附葉, 實 叢生*附葉, 實은 원문에 빠졌는데 목록과 문장내용을 근거해 보충했다.초지초 택사 독이 없고 무리지어 생긴다.澤瀉(出《神農本經》), 主風寒濕?, 乳難, 消水, 養五臟, 益氣力, 肥健, 久服耳目聰明.택사는 신농본초경에서 나오며...2024.06.10· 7페이지 -
본초품휘정요8권, 세신, 석곡, 파극천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8페이지 8페이지
草之草 細辛 無毒 叢生초지초 세신 독이 없고 무리지어 생긴다.細辛(出《神農本經》), 主咳逆, 頭痛腦動, 百節拘攣, 風濕?痛, 久服明目, 利九竅, 輕身長年(《神農本經》).*腦動:目眩은 안흑(眼黑)하면서 현(眩)하거나 안화(眼花), 안전흑화(眼前黑花), 좌기안화(坐起眼花)로 물체가 혼모(昏冒)해지는 것이며, 두훈(頭暈)은 자기 자신이나 외계의 물체가 움직이거나 돌거나 하여 회전(回轉)하는 것을 말한다.세신은 신농본초경에서 나오며 주로 기침 상역, 두통, 눈앞에 캄캄함어지럼, 모든 관절이 당기고 아픔, 풍습사기 저린통증, 오래 복용하면 ...2024.06.17·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