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사회간호학실습A+ 치매건강관리 사례관리(오마하(OMAHA) 문제분류체계 간호진단)
본 내용은
"
지역사회간호학실습A+ 치매건강관리 사례관리(오마하(OMAHA) 문제분류체계 간호진단)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04
문서 내 토픽
-
1. 인지능력 감소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대상자는 최근 들어 약 복용과 혈당 측정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으며, 핸드폰을 냉장고 안에 보관하는 등 부적절한 물건 배치와 평소 다니던 길을 헷갈려하는 등 인지능력 감소 증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상자의 인지기능 저하로 인한 사고나 손상, 실종, 당뇨·우울·치매 증상의 심화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규칙적인 약물 복용, 혈당 측정, 인지기능 향상 활동 등을 교육하고 지원한다.
-
2. 부적절한 식습관으로 인한 영양 불균형대상자는 BMI 16.42로 저체중이며, 공복혈당 200mg/dL, 식후혈당 245mg/dL, 당화혈색소 6.5%로 혈당 관리가 잘 되지 않고 있다. 또한 1달간 체중이 약 4kg 정도 감소하였으며, 냉장고에 적절한 식재료가 없는 등 불균형적인 식이를 하고 있다. 이에 규칙적이고 영양가 있는 식습관 형성, 적절한 간식 섭취, 영양 보충제 제공 등을 통해 영양 상태를 개선한다.
-
3. 사별로 인한 비효과적 대처대상자는 남편과 사별 후 우울감과 무기력감, 무가치감 등을 호소하고 있으며, 노인 우울 검사 결과 중증도 우울 상태로 나타났다. 또한 집에서만 지내며 운동도 하지 않는 등 비효과적인 대처를 보이고 있다. 이에 주변 환경 정돈, 감정 표현 격려, 노인복지센터 프로그램 참여, 규칙적인 운동 등을 통해 우울증 심화를 예방하고 효과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1. 주제2: 부적절한 식습관으로 인한 영양 불균형부적절한 식습관으로 인한 영양 불균형은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균형 잡힌 식단을 섭취하지 않으면 영양 결핍이나 과잉 섭취로 인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노인들에게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노인들은 신체적 변화로 인해 식욕이 감소하거나 씹기와 삼키기가 어려워질 수 있으며,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인들의 영양 상태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인의 상황에 맞는 식단 조언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또한 지역사회 차원에서 노인 영양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