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문부 보존 췌두부십이지장 절제술(PPPD) 후 관리
본 내용은
"
A+ IPMN(췌장내유두점액종양),유문부 보존 췌두부십이지장 절제술(PPPD) CASE(3개, 교육자료, 문헌고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05
문서 내 토픽
-
1. IPMN(췌장내유두점액종양)IPMN은 유두상으로 성장하는 점액성 췌관 세포에 의해 점액이 다량 생산되어 췌관이 확장되게 되는 질환으로, 췌장암의 전암성 병변이다. 주췌관형과 혼합형은 악성 위험성이 높아 대부분 수술적 절제가 필요하며, 분지형 IPMN의 악성도는 주췌관형에 비해서 낮지만 대부분 전암 병변이기 때문에 외과적 절제를 통해 근치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
2. 유문부 보존 췌두부십이지장 절제술(PPPD)PPPD는 Whipple's operation 수술이 변형된 수술로 유문(pylorus)을 보존하는 방법의 수술이다. 유문부(pylorus)는 위의 아래쪽, 십이지장으로 이어지는 부분으로써, 휘플과 같이 유문을 절제하게 되면 음식이 바로 십이지장으로 넘어가 덤핑 증후군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최근 이와 같이 유문부 보존 췌두부 십이지장 절제술(PPPD)를 많이 시행하고 있다.
-
3. 수술 후 관리수술 후 소화불량, 당뇨병, 영양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소화불량 증상 완화를 위해 단백질과 비타민 C를 많이 섭취하고, 기름진 음식과 고기는 소량씩 섭취해야 한다. 당뇨병 관리를 위해 혈당 조절이 필요하며, 영양불량 예방을 위해 정기적인 영양 상태 평가와 관리가 중요하다. 또한 상처 관리, 통증 관리, 배액관 관리 등의 주의사항이 있다.
-
1. IPMN(췌장내유두점액종양)IPMN(췌장내유두점액종양)은 췌장의 주요 관내 종양 중 하나로, 최근 그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IPMN은 양성 종양이지만 악성화 가능성이 있어 주기적인 검사와 관찰이 필요합니다.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는데, 이때 종양의 크기, 위치, 악성화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술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수술 후에는 재발 및 악성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또한 IPMN 환자의 경우 다른 췌장 질환의 발생 위험이 높아 주기적인 검진이 필요합니다. IPMN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관리가 환자의 예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2. 유문부 보존 췌두부십이지장 절제술(PPPD)유문부 보존 췌두부십이지장 절제술(PPPD)은 췌장암, 십이지장암, 유두부암 등의 치료를 위해 시행되는 수술 방법입니다. 기존의 Whipple 수술에 비해 유문부를 보존함으로써 위 배출 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 수술 후 영양 상태 및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수술 시간이 단축되고 출혈 및 합병증 발생률이 낮은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유문부 보존으로 인해 췌장 절제 범위가 제한되어 종양의 완전 절제가 어려울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종양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술 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숙련된 외과의의 수술 기술과 주기적인 추적 관찰이 PPPD 수술의 성공을 위해 중요합니다.
-
3. 수술 후 관리췌장 수술 후 관리는 환자의 예후와 삶의 질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수술 후 초기에는 감염, 출혈, 췌장 누출 등의 합병증 예방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적절한 항생제 투여, 영양 공급, 배액관 관리 등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수술 후 췌장 기능 저하에 대한 관리도 중요한데, 이를 위해 췌장 효소 보충제 투여, 혈당 조절, 영양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장기적으로는 종양 재발 및 다른 췌장 질환
-
성인간호 Whipple & PPPD 비교 분석 11페이지
Whipple op PPPD 췌십이지장 수술목 차 해부학적 구조 Whipple op / pppd 비교 Whipple op 와 pppd 의 수술전 환자 관리 Whipple op 와 pppd 수술 방법 Whipple op 와 pppd 의 수술후 환자 관리 Whipple op 와 pppd 의 주요 합병증 과 간호(01) 해부학적 구조 ( 췌장 ) 118 104 63(01) 해부학적 구조 ( 췌장 ) 118 104 63 종양 위치 수술법 ①췌장 전체 ① 췌전절제술 췌장을 전부 절제 ( 암이 췌장 머리 부분에 국한되지 않고 췌장 전체에 걸쳐...2021.01.09· 11페이지 -
[A+] 췌장암 항암화학요법 케이스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2개 Pancreatic Cancer, Chemotherapy, Case Study 13페이지
CASE STUDY췌장암Pancreatic Cancer실습병동분반 / 조실습 기간학번이름1. 간호력1) 일반적 사항? 환자명: 김OO ? 나이/성별: 79세/M ? 신장/체중: 165cm/50.6kg ? BMI: 18.47(정상)? 병동: ? 입원 날짜:2023.10.10. ? HOD: 4일(10/13 기준)? 입원 동기: Pancreatic Cancer 진단 하 Chemotherapy 위해 외래 통해 입원함.? 진단명[주] Pancreatic cancer, 상세불명의 췌장 악성 신생물(C25.9)[부] Lung cancer, 상세...2024.02.16· 13페이지 -
췌장질환 28페이지
췌장질환췌장의 기능 1) 내분비 기능 : 인슐린 생성 , 분비 2 ) 외분비 기능 : 전해질 , 수분 , 소화효소 분비 , 십이지장의 pH 조절 몰핀금기 : 오디괄약근 경련유발Ⅰ. 췌장염 (pancreatitis) 세균 침입이 아니라 췌장효소가 췌장내에서 자가소화 하여 염증반응 및 괴사 급성과 만성췌장염 알콜중독 , 손상 ( 예후나쁨 ), 소화성 궤양 , 담도계질환과 관련 급성췌장염은 정상기능으로 회복 만성췌장염은 영구적손상 – 회복 xⅰ . 급성 췌장염 ☞소화효소가 췌장에서 유리되어 자기자신을 소화 시킴으로써 췌장 괴사와 염증을 ...2020.09.24· 28페이지 -
췌장암 케이스스터디(진단 5개, 과정 3개) 26페이지
Malignanat neoplasmof body of pancreas췌장암과목명실습지학과학년학번이름Ⅰ. 서론1. 대상자 선정 이유본 케이스 대상자를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첫째, 췌장암을 수술적 치료로 극복하는 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췌장암은 발견되었을 때는 이미 심각한 상황이므로 화학적 항암치료로만 주로 치료할 수 있다. ‘침묵의 암’이라고도 불리는 해당 질환을 일반외과 병동에서 치료한다는 것 자체가 신기하다고 느꼈다. 따라서 외과적 수술로 췌장암을 치료하는 모든 과정에서 간호사가 할 수 있는 일들이 무엇인지 심도 있게 ...2023.02.07· 26페이지 -
담관암 간호과정보고서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A+ 보장합니다. 13페이지
1. 대상자 성별, 나이, 진단명/수술명 :-68Y M-진단명: Common bile duct cancer-수술명: Open PPPD (Pylorus preserving pancreaticoduodenectomy, 유문부 보존 췌두부십이지장 절제술) 8월 20일 시행함.2. 대상자의 사정 & 진단1) 과거력(진단명, 투약 등)지난달 CBD cancer로 진단 후 2021.07.23. biliary stent insertion하고, 08.20 수술 계획하였으며, 수술 전 LFT 상승으로 stent revision하기 위해 입원함.(1...2021.10.08· 1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