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MA의 현탁 중합 A+ 보고서
본 내용은
"
고분자합성실험 - MMA의 현탁 중합 A+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28
문서 내 토픽
-
1. 현탁 중합현탁 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은 단량체를 라디칼 중합시켜 고분자 화합물을 얻는 중합 방법으로, 용매 대신 물과 같은 비활성의 매질을 사용하여 중합한다. 단량체를 비활성의 매질 속에서 0.01~1mm 정도의 입자로 분산시켜 중합하면 중합반응 결과 얻어지는 고분자 화합물은 비드(bead)와 같은 입자로 된다. 현탁 중합의 장점은 중합 열의 제거와 조절이 용이하고 취급이 쉬우며 구형의 고분자를 형성할 수 있다. 단점은 반응기 단위 용적당 수율이 낮고 입자 표면에 흡착된 첨가제의 제거가 완전하지 않아 순도가 낮으며 연속 공정으로 생산할 수 없다.
-
2. 현탁 중합의 단량체현탁 중합에서 사용되는 단량체는 비활성 매질(일반적으로 물)에 대한 용해도가 적고, 비활성 매질은 단량체나 생성 중합체에 대하여 불활성이어야 한다. 단량체와 비활성 매질의 중량비는 1:1에서 4:1로 한다.
-
3. 현탁 중합의 안정제현탁 중합에서는 보호콜로이드(수용성 고분자)와 미분말상 무기염이 안정제로 사용된다. 보호콜로이드는 연속상인 물의 점도를 증가시켜 단량체 방울이 서로 엉겨 붙는 것을 억제하고, 무기염은 표면장력에 의해 단량체 방울과 물 사이에 존재하여 충돌에 의한 응집을 막는다.
-
4. 현탁 중합에서의 교반교반은 현탁 중합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반 속도와 교반기의 형태에 따라 0.001cm~0.5cm의 직경을 갖는 입자를 얻을 수 있다. 교반은 단량체의 전환율이 20~70% 범위에서 특히 중요한데, 그 이하에서는 단량체의 점도가 낮아 재현탁이 용이하고 그 이상에서는 고분자 입자가 단량체 상에서 딱딱해져 응집이 쉽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
5. MMA의 특성MMA(Methyl methacrylate)는 무색 액체 상태의 유기 화합물로, 성형이 쉽고 염색이 자유로우며 투명도와 자외선 차단율이 우수하고 가볍고 파손에 강한 특성을 가진다. 하지만 피부와 눈에 자극을 줄 수 있는 독성이 있다.
-
6. BPO의 특성BPO(Benzoyl peroxide)는 백색의 결정성 고체로, 물에는 녹지 않지만 에테르 등의 유기용매에 잘 녹는다. 산화작용이 강해 표백제로 사용되며, 용액 속에서 열분해에 의해 라디칼을 생성한다. 가열하면 분해하여 폭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7. 감압 여과감압 여과는 여과지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낮게 조작해서 흡인하는 형태의 여과 방법으로, 여과 속도를 높이고 보다 안정적인 여과 운전이 가능하다.
-
8. 분별 깔때기분별 깔때기는 서로 섞이지 않고 밀도 차이가 있는 두 액체 혼합물을 분리할 때 사용한다. 분별 깔때기에 혼합물을 넣고 흔든 후 층이 나누어지면 아래층의 액체를 분리할 수 있다.
-
9. 교반 속도와 입자 크기현탁 중합에서 교반 속도가 증가할수록 생성되는 입자의 크기가 감소한다. 이는 교반 속도가 빠를수록 단량체 방울이 더 잘 분산되어 더 작은 입자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계면활성제 농도가 증가하거나 단량체와 매질의 비율이 증가하면 입자 크기가 감소한다.
-
10. 중합 온도현탁 중합에서는 개시제인 BPO가 70°C 이상에서 분해되어 라디칼을 생성하므로, 70°C 이상의 온도에서 중합을 진행해야 한다.
-
1. 현탁 중합현탁 중합은 고분자 합성 기술 중 하나로, 불용성 단량체를 물과 같은 분산매 속에서 중합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균일한 입자 크기와 형태를 가진 고분자 입자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탁 중합 과정에서는 단량체, 개시제, 안정제 등 다양한 요소들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단량체는 중합 반응의 주체가 되며, 개시제는 라디칼을 생성하여 중합 반응을 개시합니다. 안정제는 생성된 고분자 입자의 응집을 방지하여 균일한 입자 크기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교반 속도와 중합 온도 등의 공정 변수도 입자 크기와 형태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현탁 중합 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2. 현탁 중합의 단량체현탁 중합에 사용되는 단량체는 물에 불용성이어야 하며, 중합 반응이 잘 일어나는 특성을 가져야 합니다. 대표적인 단량체로는 스티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아크릴로니트릴 등이 있습니다. 이들 단량체는 중합 반응 시 라디칼을 잘 형성하여 고분자 사슬을 성장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생성된 고분자 입자의 물성과 용도에 따라 단량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티렌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스티렌을, MMA는 투명성이 좋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탁 중합에서 단량체 선택은 최종 제품의 물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현탁 중합의 안정제현탁 중합에서 안정제는 생성된 고분자 입자의 응집을 방지하여 균일한 입자 크기와 형태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안정제로는 폴리비닐 알코올(PVA), 젤라틴, 메틸셀룰로오스 등이 있습니다. 이들 안정제는 고분자 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입자 간 반발력을 발생시켜 응집을 억제합니다. 또한 안정제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입자 크기와 형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VA 농도가 높을수록 더 작은 입자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현탁 중합 공정에서는 목적하는 제품 특성에 맞는 안정제를 선택하고 최적의 농도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현탁 중합에서의 교반현탁 중합에서 교반은 단량체와 분산매의 혼합, 개시제와 안정제의 분산, 그리고 생성된 고분자 입자의 균일한 크기 유지 등 다양한 목적으로 수행됩니다. 교반 속도가 너무 낮으면 단량체와 분산매의 혼합이 불균일해지고, 너무 높으면 고분자 입자가 파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교반 속도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교반 방식에 따라서도 입자 크기와 형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터빈형 교반기는 전단력이 강해 작은 입자를 만들 수 있지만, 프로펠러형 교반기는 전단력이 약해 상대적으로 큰 입자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현탁 중합 공정에서는 교반 속도와 방식을 최적화하여 목적하는 고분자 입자 특성을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MMA의 특성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는 현탁 중합에 널리 사용되는 단량체 중 하나입니다. MMA는 무색, 투명한 액체로 중합 반응이 잘 일어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합 시 생성되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는 투명성, 내열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PMMA는 아크릴 수지로 사용되어 자동차 헤드라이트, 디스플레이 보호 필름 등에 적용됩니다. 또한 의료용 임플란트나 치과 보철물 등 생체 적합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도 사용됩니다. 이처럼 MMA는 현탁 중합을 통해 우수한 물성을 가진 고분자 소재를 생산할 수 있는 중요한 단량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6. BPO의 특성벤조일 퍼옥사이드(BPO)는 현탁 중합에서 널리 사용되는 개시제 중 하나입니다. BPO는 열에 의해 분해되어 라디칼을 생성하며, 이 라디칼이 단량체와 반응하여 중합 반응을 개시합니다. BPO는 비교적 저렴하고 사용이 편리하여 많은 중합 공정에서 활용됩니다. 또한 BPO는 열 안정성이 좋아 중합 반응 중 분해가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BPO는 폭발성이 있어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현탁 중합 공정에서는 BPO의 농도와 투입 시기, 반응 온도 등을 최적화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중합 반응을 달성해야 합니다.
-
7. 감압 여과현탁 중합 공정에서 생성된 고분자 입자를 분리하는 방법 중 하나가 감압 여과입니다. 감압 여과는 고분자 입자가 포함된 반응액을 여과지 위에 통과시켜 고분자 입자를 분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효율적이며, 여과 속도가 빨라 대량 생산에 적합합니다. 또한 여과 후 고분자 입자를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과지 선택, 여과 압력, 여과 시간 등의 공정 변수를 최적화해야 하며, 고분자 입자의 특성에 따라 여과 성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탁 중합 공정에서는 감압 여과 공정을 잘 설계하여 고품질의 고분자 제품을 얻을 수 있습니다.
-
8. 분별 깔때기현탁 중합 공정에서 생성된 고분자 입자를 분리하는 또 다른 방법은 분별 깔때기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분별 깔때기는 고분자 입자가 포함된 반응액을 중력 분리하여 고분자 입자를 회수하는 장치입니다. 이 방법은 감압 여과에 비해 장치가 간단하고 에너지 소비가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고분자 입자의 크기와 밀도에 따라 분리가 가능하므로, 입자 크기 분포가 넓은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분리 효율이 여과 방식에 비해 낮고, 장시간 운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탁 중합 공정에서는 생성된 고분자 입자의 특성과 공정 요건을 고려하여 감압 여과와 분별 깔때기 중 적절한 분리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
9. 교반 속도와 입자 크기현탁 중합 공정에서 교반 속도는 생성되는 고분자 입자의 크기와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교반 속도가 증가하면 전단력이 커져 더 작은 입자가 생성됩니다. 이는 교반 속도가 높을수록 단량체 방울이 더 잘 분산되어 핵생성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교반 속도가 너무 높으면 고분자 입자가 파괴되어 입자 크기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탁 중합 공정에서는 목표로 하는 입자 크기와 분포에 따라 최적의 교반 속도를 찾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실험을 통해 교반 속도와 입자 특성의 관계를 파악하고, 공정 모델링을 통해 최적 조건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0. 중합 온도현탁 중합 공정에서 중합 온도는 반응 속도, 개시제 분해, 고분자 입자 특성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입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중합 반응 속도가 빨라지지만, 개시제 분해 속도도 증가하여 분자량 분포가 넓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온도가 높으면 고분자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고 입자 크기 분포가 좁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온도 상승에 따른 핵생성 속도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현탁 중합 공정에서는 목표로 하는 고분자 제품의 특성에 맞추어 최적의 중합 온도를 선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반응 속도, 개시제 분해, 입자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온도 조건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의 현탁(suspension) 중합 A+ 결과보고서 12페이지
1. 실험 날짜 및 제목- 실험 날짜 : 2022년 11월 11일 금요일- 실험 제목 :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의 현탁(suspension) 중합2. 실험 목적- 용액 중합과 현탁 중합의 차이를 이해하고 교반 속도, 단량체와 물과의 비율, 안정제의 종류에 따른 생성 중합체의 크기, 분자량 및 분포 등을 알아본다.3. 이론(1) 단량체 및 개시제란?- 단량체: 단위체 또는 모노머라고도 한다. 중합체에 대응하는 말이다. 예를 들면, 폴리스타이렌은 스타이렌의 중합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고분자화합물인데, 이 경우 스타이렌이 단위체이다. ...2023.01.31· 12페이지 -
고분자(PMMA) 중합 실험 보고서 (화학공학실험) 7페이지
고분자 중합 실험 보고서1. 개 요1) 실험 목표:① Solution polymerization을 통하여 Methyl Methacrylate(MMA)를 Poly Methyl Methacrylate(PMMA)로 중합한다.② 중합반응의 conversion과 생성된 PMMA의 분자량, 분자량 분포를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GPC)를 사용하여 측정, 분석하며 이에 대한 원리를 이해한다.③ 중합반응 공정조건과 생성되는 고분자의 분자량 분포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해한다.2) 실험 원리:(1) 용어 정의▸ 고분자: ...2024.04.14· 7페이지 -
PMMA 결보 3페이지
1. 실험 제목 : 현탁중합에 의한 PMMA의 제조 및 산가 측정2. 실험 목적 : 실험을 통하여 현탁중합에 대해 이해하고, 유지 중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지방산의 함유도를 구한다.3. 실험 결과- 계산과정측정 및 계산 값PVA0.7004gBPO4.997gMMA10mlDW25ml거름종이 무게 (a)1.4649g실험 후 시료 무게(거름종이 + 시료) (b)12.3639g시료(PMMA) 무게 (b ? a)10.899g이론적 취득 무게10ml TIMES 0.94g/ml` TIMES ` {100} over {99} `=`9.4949g수득률1...2019.05.22· 3페이지 -
간단한 비닐단량체(Styrene, MMA)의 정제 및 라디칼 중합과정과 고분자의 특성분석, 공중합 반응성비의 측정 실험 32페이지
2014-1학기 광·전자화공소재실험결과보고서간단한 비닐단량체(Styrene, MMA)의 정제 및 라디칼 중합과정과 고분자의 특성분석, 공중합 반응성비의 측정 실험실험기간: 2014.4.1 ~2014.5.30소속 : 응용화학공학부 광ㆍ전자화공소재전공분반-조-조원: 2분반-2조-김성현, 김정우, 김준희, 박진일, 반하람, 차주해작성자 : 김준희제 1 장. 실험목적고분자 중합에서 라디칼 중합에 대해 전반적인 실험을 한다. 단량체 및 개시제의 정제, 벌크중합, 현탁중합을 통한 중합과정의 이해, MMA와 Styrene의 공중합의 단량체의 상...2016.04.26· 32페이지 -
[실험보고서]무기 유기 유화중합 (사전 보고서) 19페이지
사전 보고서1. Principle (原理)● 실험목적무기 유기 유화중합 해봄으로써 유화 중합을 습득함에 그 목적이 있다.● 원리 및 이론. 에멀션화중합 [emulsion polymerization]유화중합(乳化重合)이라고도 한다. 부타디엔 ·비닐화합물 등의 단위체를 에멀션화제에 의해서 물 속에 에멀션화시키고 분산시켜, 라디칼중합을 시행하여 합성수지나 합성고무를 제조하는 중합법이다. 현탁중합(懸濁重合)이나 용액중합과 함께 공업적으로 극히 중요하다. 표준 처방은 순수(純水) 100, 단위체 40∼60, 에멀션화제 1∼3, 촉매 0.1∼...2006.07.22· 1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