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타이렌의 용액 중합 A+ 보고서
본 내용은
"
고분자합성실험 - 스타이렌의 용액 중합 A+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29
문서 내 토픽
-
1. 용액 중합용액 중합(Solution polymerization)은 용매 중에서 monomer를 중합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용매가 monomer와 생성된 polymer를 모두 용해시키면 균일계 용액 중합(homogeneous solution polymerization)이라 하고, monomer만 용해시키는 경우를 불균일계 용액 중합(heterogeneous solution polymerization)이라 한다. 용액 중합은 발열반응에 의한 반응열을 제거할 수 있고, 사용되는 용매만 잘 선택하면 중합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2. 스타이렌의 중합Styrene은 반응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단독 중합체나 공중합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라디칼중합에 사용되는 단량체는 구입할 때 이미 radical inhibitor(중합금지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금지제는 그 형태에 따라 묽은 산이나 염기로 단량체를 씻어주면 제거할 수 있다.
-
3. 라디칼 중합의 반응속도 식라디칼 중합의 반응속도 식은 R_p = k_p [M][M·] = (fk_d/k_t)^(1/2) [M][I]^(1/2)이다. 여기서 f는 개시효율, k_p는 성장반응속도, k_d는 분해반응속도, k_t는 정지반응속도, [M]은 단량체 농도, [M·]은 라디칼 농도, [I]는 개시제 농도이다. 속도 상수는 온도, 용매, 개시제, 단량체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중합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단량체의 농도 및 개시제의 농도를 변화시켜야 한다.
-
4. AIBN을 이용한 스타이렌의 중합AIBN(Azobisisobutylonitrile)은 아조화합물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개시제이다. AIBN은 40℃ 이상이나 UV 조사에 의해 질소를 생성하면서 자유 탄소 라디칼로 분해된다. 본 실험에서는 AIBN을 개시제로 사용하여 Polystyrene의 합성에 대해 알아본다.
-
5. 실험 기구 및 시약실험에 사용된 기구로는 비커, 눈금 피펫, 삼구 플라스크, 가열식 자력 교반기, 뷰흐너 깔때기, 분별 깔때기, 온도계, 중탕 냄비, 전자저울, 눈금실린더 등이 있다. 시약으로는 Styrene, Toluene, Methanol, AIBN, NaOH, 무수황산마그네슘(또는 염화칼슘) 등이 사용되었다.
-
6. 실험 방법실험 방법은 크게 AIBN의 재결정, Styrene의 정제, Styrene의 용액 중합으로 구성된다. AIBN은 메탄올을 이용해 재결정하고, Styrene은 NaOH 수용액으로 정제한 후 건조한다. 정제된 Styrene, AIBN, Toluene을 혼합하여 70°C 이상의 온도에서 중합을 진행한다.
-
7. 실험 결과실험 결과, Styrene 정제 과정에서 NaOH 수용액과 혼합 후 층이 분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합 과정에서는 용액의 점도 증가가 뚜렷하지 않았지만, 메탄올에 넣었을 때 침전물이 생성되는 것을 통해 일부 Polystyrene이 합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
8. 고찰실험에 영향을 준 요인으로는 Styrene 정제 과정의 오차, AIBN 재결정 과정 생략, 실험 환경의 한계, 중합 시간 부족, 온도 조절의 어려움 등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중합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FT-IR 분석을 통해 미반응 Styrene 단량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9. 벌크 중합과 용액 중합의 비교벌크 중합과 용액 중합은 간편도, 순도, 전환률, 분자량 제어, 열오름 방지, 자동 가속화 발생 여부, 폭발 위험성 등에서 차이가 있다. 용액 중합은 상대적으로 복잡하지만 열오름 방지가 쉽고 자동 가속화가 일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
10. Methanol을 이용한 Polystyrene 분리중합 과정 중 추출한 용액을 Methanol에 넣으면 미반응 Styrene 단량체는 Methanol에 녹고 Polystyrene은 침전되어 분리된다. 이를 통해 중합 진행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
11. FT-IR을 이용한 Polystyrene 분석FT-IR 분석을 통해 Polystyrene의 특성 피크를 확인할 수 있다. 2,800~3,200 cm^-1의 C-H stretching peak, 1,400~1,500 cm^-1의 Aromatic C=C stretching peak 등이 나타난다. 1,630 cm^-1의 C=C peak 유무를 통해 미반응 Styrene 단량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
1. 주제2: 스타이렌의 중합스타이렌은 라디칼 중합을 통해 폴리스타이렌을 생산할 수 있는 대표적인 단량체입니다. 스타이렌의 중합 반응은 개시제, 온도, 압력 등 다양한 반응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특히 개시제 종류와 농도, 반응 온도 등은 중합 속도와 분자량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원하는 물성의 폴리스타이렌을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반응 조건을 최적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
2. 주제4: AIBN을 이용한 스타이렌의 중합AIBN(Azobisisobutyronitrile)은 대표적인 라디칼 개시제로, 스타이렌의 중합에 널리 사용됩니다. AIBN은 열분해를 통해 라디칼을 생성하며, 생성된 라디칼이 단량체와 반응하여 중합 반응을 개시합니다. AIBN의 농도와 반응 온도는 중합 속도와 분자량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최적화하여 원하는 특성의 폴리스타이렌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AIBN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취급이 용이하여 산업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
3. 주제6: 실험 방법중합 실험의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반응기에 단량체, 개시제, 용매 등을 넣고 질소 퍼지를 통해 산소를 제거합니다. 그 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교반하며 중합 반응을 진행합니다. 반응이 완료되면 중합체를 분리, 정제하고 분자량 분포, 열적 특성 등을 분석합니다. 이때 반응 시간, 온도, 개시제 농도 등의 변수를 조절하여 최적의 중합 조건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또한 용액 중합의 경우 용매 선택과 회수 방법도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
4. 주제8: 고찰중합 실험 결과에 대한 고찰 단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합니다. 첫째, 실험 결과가 이론적 예측과 부합하는지 확인합니다. 둘째, 중합 반응 메커니즘과 속도론적 모델이 실험 데이터를 잘 설명할 수 있는지 분석합니다. 셋째, 중합 조건 변화에 따른 제품 특성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여 최적화 방향을 모색합니다. 넷째, 실험 결과의 재현성과 신뢰성을 검토하여 오차 요인을 파악합니다. 다섯째, 실험 결과가 실제 공정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도출합니다. 이러한 종합적인 고찰을 통해 중합 공정 개선과 새로운 고분자 소재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
5. 주제10: Methanol을 이용한 Polystyrene 분리폴리스타이렌은 메탄올에 대한 낮은 용해도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습니다. 메탄올은 폴리스타이렌을 침전시키는 비용매이므로, 메탄올을 첨가하면 폴리스타이렌이 석출됩니다. 이를 통해 폴리스타이렌을 용매로부터 분리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고순도의 폴리스타이렌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용매 회수 및 재사용, 폴리스타이렌 건조 등의 추가 공정이 필요하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공정 효율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분리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
스타이렌의 용액중합 A+ 결과보고서1. 단량체 및 개시제 단량체는 단위체 또는 모노머라고도 하며, 중합체에 대응하는 말이다. 개시제는 연쇄 반응을 시작하기 위해 반응계에 도입하는 물질이다. 라디칼 연쇄 반응에서 라디칼을 제공하는 물질 또는 고분자 사슬 성장 중합에서 단량체와 반응하여 중합을 시작하는 화학 물질이 대표적인 예이다. 2. 아조화합물 아조기(-N=N-)를 가진 유기화합물로, 아조...2025.04.28 · 공학/기술
-
[고분자합성실험] 스타이렌의 용액중합 예비+결과보고서(A+)1. 용액중합 용액중합(solution polymerization)은 용매중에서 모노머를 중합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용매가 모노머와 생성된 고분자를 모두 용해시키면 균일계 용액중합(homogeneous solution polymerization)이라 하고, 모노머만 용해시키는 경우를 불균일계 용액중합(heterogenous solution polymer...2025.01.29 · 공학/기술
-
스타이렌의 용액중합 A+ 결과보고서 11페이지
1. 실험 날짜 및 제목- 실험 날짜 : 2022년 11월 4일 금요일- 실험 제목 : 스타이렌(Styrene)의 용액중합2. 실험 목적- 아조화합물을 개시제로 사용한 폴리스타이렌의 합성에 대해 알아본다.3. 이론(1) 단량체 및 개시제란?- 단량체: 단위체 또는 모노머라고도 한다. 중합체에 대응하는 말이다. 예를 들면, 폴리스타이렌은 스타이렌의 중합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고분자화합물인데, 이 경우 스타이렌이 단위체이다. 또 천연고분자인 셀룰로스의 단위체는 D-글루코스이고, 천연고무의 단위체는 아이소프렌이다. 특히 합성고분자의 경우는...2023.01.31· 11페이지 -
[고분자합성실험] 스타이렌의 용액중합 예비+결과보고서(A+) 9페이지
1.실험 날짜 및 제목실험 날짜: 2022.11.8실험 제목: 스타이렌의 용액 중합2. 실험목적용액 중합(solution polymerization)은 용매 중에서 단량체를 중합시키는 방법으로, 발열반응에 의한 반응열 제거가 용이하고 사용되는 용매만 잘 선택하면 중합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용매 중에서 성장 라디칼이 정지되거나 연쇄이동 작용을 하게 되어 높은 중합도의 고분자를 얻기가 힘들고, 반응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 실험에서는 아조화합물을 개시제로 사용한 폴리스타이렌의 합성 실험을 진행하고 결과를 고찰한다.3. ...2024.12.30· 9페이지 -
고분자 실험 결과레포트 8페이지
화공실험(1)_결과 보고서(고분자 실험)화공실험 보고서(유기물 합성)학번:이름:분반:*실험제목화공실험(1)_고분자 실험*실험목적현탁중합을 이용하여 폴리스타이렌을 제조해봄으로써 각 단계에 따른 라디칼 중합을 이해한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나일론을 직접 합성해봄으로써 카르복실산과 아민화합물의 화학적 반응을 통한 (고분자) 단계중합을 이해한다.*이론[1. 라디칼 중합]현탁중합은 보통 물과 같은 비상용성 액체(noncompatible)에 단량체를 기계적으로 분산시키고, 단량체에 용해하는 개시제를 사용하여 단량체 유적을 중합시키...2021.08.25· 8페이지 -
[화학공정실험] 유화중합실험 예비보고서 7페이지
실험 5. 유화중합에 의한 polyvinyl acetate의 제조예비보고서1.실험제목 : 유화중합에 의한 polyvinyl acetate의 제조2.실험목적 : 유화 중합에서 반응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요인들을 조사하고 다른 중합법과 비교하여 유화중합의 특징과 장, 단점 파악을 한다. 그리고 유화중합을 통해 고분자 합성 메커니즘과, 응집과정을 이해한다. 유화중합의 한 예로 폴리초산비닐을 제조한다.3.실험이론(1)micelle각종 계면활성제와 지방질분자는 극성기와 무극성 소수기로 이루어져 있고 양자의 균형에 따라 분자의 회합상태가 변한...2021.01.31· 7페이지 -
4주차Styrene의 중합속도 측정결과보고서 4페이지
결과보고서실험 날짜 : 2018.03.30작성자 : 20160272 김영은초록이번 실험은 중합반응은 모노머가 고분자로 전환되는 것으로써 자유 라디칼 중합반응의 속도식을 정의하는 개시, 성장, 정지반응을 이해하는 실험이다. 서로 다른 온도에서의 속도상수(K)로부터 일정한 온도에서 시간의 변화에 따른 dilatometer의 변화를 관찰하면서 중합속도를 측정한다. Dilatometer(팽창계)란 열팽창계수측정 장치인데 고분자 밀도가 monomer 밀도보다 클 때 중합이 진행됨에 따라 monomer의 부피에서 농도 관찰이 가능하다. 단면적...2019.07.07·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