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플!! 아동간호학실습 정상신생아 케이스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의 위험, 감염의 위험)
본 내용은
"
에이플!! 아동간호학실습 정상신생아 케이스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의 위험, 감염의 위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27
문서 내 토픽
  • 1. 정상신생아의 정의
    신생아의 정상기간은 임신 37주에서 41주 6일까지이며 신생아기란 태어나서 생후 1개월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이 시기엔 첫 호흡을 통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폐기능이 활성화되며, 위장관은 소화, 흡수, 음식물의 대사능력은 적절하지만 일부 기능은 제한이 있고, 신장계는 모든 구조는 존재하지만 기능적으로 소변을 농축하거나 탈수, 농축 용질부하와 같은 수분 및 전해질 부하를 보상하는 능력이 결여되어 있으며 피부구조도 모두 존재하나 피부의 많은 기능이 미숙하다. 또한 태아에서 자궁 외 생활로의 전환동안 총 신체 수분량, 세포외액 및 세포내액의 변화가 발생한다. 면역기관은 감염에 대한 여러 방어력을 가지고, 심혈관계 및 내분비계도 독자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 2. 신생아의 호흡기계 생리적 특성
    첫 호흡을 시작하도록 도와주는 자극은 일차적으로 화학적, 온도적 요인이 있다. 혈액 내 화학적 요인은 연수에 있는 호흡중추를 자극한다. 일차적 온도 자극은 따뜻한 환경에 있다가 차가운 공기에 노출된 영아의 갑작스러운 (chilling)오한이다. 이러한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는 피부에서 호흡중추로 전달되는 감각자극을 흥분시킨다. (tactile stimulation)촉각적 자극은 호흡의 시작을 돕는다. 촉각적 자극은 신생아의 등이나 몸통, 사지를 부드럽게 문지르거나 발바닥을 가볍게 튕기거나 두드리는 것으로 가능하다. 공기가 처음 태아의 폐로 들어가면 폐와 폐포 사이를 채우고 있는 액체의 표면장력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된다. 폐의 액체는 진통과 분만과정 동안의 정상적인 힘에 의해 제거되기도 한다. 태아의 가슴이 산도를 통과하면서 폐에 있는 액체가 코와 입으로 나오게 된다. 출산이 끝나면 흉곽의 빠른 반동으로 빠져나간 액체 대신 공기가 상기도로 들어오게 된다. 폐에 남아 있는 액체는 폐모세혈관과 림프관으로 흡수된다. (alveolus)폐포의 (surface tension)표면장력은 (surfactant)표면활성제에 의해 감소되는데, 표면활성제는 폐포표면을 덮고 있는 폐포상피세포에서 생산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정상신생아의 정의
    정상신생아는 임신 37주 이상 42주 미만에 출생하여 출생 체중이 2,500g 이상 4,000g 미만이며, 신체 계측치와 생리적 기능이 정상 범위 내에 있는 신생아를 의미합니다. 이들은 출생 후 적절한 호흡, 체온 조절, 수유, 배설 등의 기능을 자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정상신생아의 정의는 신생아 건강관리와 발달 지원을 위해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이를 통해 정상적인 신생아 발달을 확인하고, 조기 발견 및 치료가 필요한 경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상신생아의 정의는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 여부, 예방접종 일정, 모유수유 권장 등 신생아 관리 정책 수립에도 활용됩니다.
  • 2. 신생아의 호흡기계 생리적 특성
    신생아의 호흡기계는 출생 직후부터 성인과 다른 생리적 특성을 보입니다. 신생아의 폐는 상대적으로 작고 폐포 수가 적어 호흡 기능이 미성숙합니다. 또한 호흡근이 약하고 흉곽 유순도가 높아 호흡 노력이 크며, 기도가 좁아 저항이 높습니다. 이로 인해 신생아는 성인에 비해 호흡수가 빠르고 불규칙하며, 호흡 패턴의 변화가 심합니다. 특히 미숙아의 경우 이러한 특성이 더 두드러져 호흡 곤란, 무호흡, 청색증 등의 호흡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생아의 호흡기계 생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관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