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대학교 기계공작실습 수기가공 레포트
본 내용은
"
울산대학교 기계공작실습 수기가공 레포트 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01
문서 내 토픽
-
1. 도면 해석수기 가공 1주 차에는 알루미늄판을 받고 도면을 보며 설명을 들었다. 도면의 설명 내용은 기본적으로 도면이 모두 mm 단위로 표기되어 있고, 2-M6 XP 1.0에서 M6는 탭의 높은 부분이 6mm이고 P1.0은 홈의 높은 부분에서 골을 지나 다음 높은 부분이 오는 간격이 1mm라는 뜻이었다. 보편적으로 높은 부분에서 이 간격을 빼면 보통 낮은 부분의 높이라고 하였고, 2-M6 XP 1.0에 적용하면 낮은 부분의 높이는 6mm-1mm로 5mm임을 알 수 있었다. 정확한 탭을 내기 위해서는 2-M6 XP 1.0에는 6-1.0 크기로 구멍을 먼저 내고 2-M6 XP 1.0으로 탭을 내야 하며, 2-M8 XP 1.25는 8-1.25 크기로 구멍을 먼저 내고 2-M8 XP 1.25로 탭을 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2. 화이트 게이지 사용화이트 게이지에는 윗부분과 아랫부분이 있고 윗부분은 위쪽과 오른쪽에 나사가 있고 아랫부분은 오른쪽에 나사가 있다. 설정하고 싶은 길이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설정하고 싶은 길이 근처에 와서 윗부분을 오른쪽 나사로 고정하고 윗부분의 위쪽 나사를 돌리면 천천히 내려가서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 과정을 마치면 아랫부분의 오른쪽 나사를 돌려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소재에 직접 긋게 되면 소재가 얇아서 흔들리게 되어 정밀하게 그을 수 없기 때문에 소재 뒤에 넓은 도구를 받친 다음 그으면 정확하게 소재에 원하는 길이만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
3. 드릴 작업화이트 게이지로 가로, 세로로 긋게 되면 교차점이 생기는데, 여기에 그냥 구멍을 뚫으면 흔들리게 되어 정확하게 뚫기 어렵다. 따라서 먼저 교차점에 망치로 날카로운 공구를 내려쳐서 홈을 내준 다음 드릴 작업을 해서 흔들리지 않게 만든다. 또한 소재를 그냥 고정해서 뚫게 되면 뚫고 나올 때 소재 반대로 나오는 경우 기계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밑에 소재 크기의 반 정도 되는 도구 등을 받쳐서 뚫어야 한다. 한 번에 소재를 뚫으려고 하는 게 아니라 여러 번 나눠서 뚫어야 잘 뚫린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4. 탭 내기드릴 작업 한 곳에 탭 도구를 이용해 천천히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렸다 반복하면서 탭을 내주면 정상적으로 탭을 낼 수 있다.
-
5. 모따기탭 낸 곳에 디버깅 툴이라는 것으로 모따기를 해준다.
-
6. 리밍리밍은 꺼칠꺼칠한 안쪽을 매끄럽게 바꿔주는 역할을 하게 되고 9.8파의 드릴로 먼저 구멍을 내고 10 파이 짜리 리밍으로 매끄럽게 해주면 정상적인 리밍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리밍 공구 길이의 1/3 정도는 소재를 관통해야 정상적인 리밍 도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7. 카운터 보어카운터 보어란 나사 튀어나온 부분을 없애기 위해 나사가 들어갈 홈을 파주는 것이고, 도면을 보면 2-6.5파의 드릴을 뚫고 깊이 6으로 카운터 보어 작업을 두 군데 해주었다.
-
8. 톱질, 줄질, 직각자톱을 이용해서 알루미늄판을 반으로 잘라주었고 잘린 단면을 줄질로 평평하게 만들어주는 작업을 하였다. 중간중간 직각자를 이용해서 평평하게 작업이 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하였다.
-
9. 실험 소감처음이라 생소한 작업이 많았고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정확하게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소재에 구멍을 내기 위해 드릴 작업을 할 때 정확하게 망치로 홈을 내준 곳을 조준하고 드릴 작업을 시작했는데 공구와 소재가 만날 때 소재가 조금 흔들리는 경향이 있었다. 이렇게 사소한 오차가 나중에 외관상 봤을 때 엄청나게 큰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몸소 느낄 수 있었고, 뭐든지 항상 정확한 것이 좋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 이런 작은 소재를 작업하는데도 여러 가지의 공구들, 기술, 지식 등이 필요하다는 사실에 놀라웠고 도면을 읽는 법을 조금이나마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어서 좋았다.
-
1. 도면 해석도면 해석은 제품 제작 및 조립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도면을 정확히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제품의 치수, 형상, 공차, 공정 순서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품질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도면 해석 능력은 기계 분야 종사자에게 필수적인 역량이며, 지속적인 교육과 실습을 통해 향상시켜 나가야 합니다.
-
2. 화이트 게이지 사용화이트 게이지는 제품의 치수 및 공차 확인에 사용되는 중요한 측정 도구입니다. 화이트 게이지를 정확히 사용할 수 있어야 제품의 품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화이트 게이지 사용법을 숙지하고, 주기적인 교정을 통해 측정의 정확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측정 결과를 정확히 해석하고 기록하는 능력도 필요합니다. 화이트 게이지 사용 기술은 기계 분야 종사자에게 필수적인 역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드릴 작업드릴 작업은 기계 가공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공정 중 하나입니다. 정확한 홀 가공을 위해서는 드릴 선택, 회전 속도 및 이송 속도 조절, 절삭유 사용 등 다양한 기술이 필요합니다. 또한 드릴 작업 시 안전 수칙을 준수하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드릴 작업 기술을 숙달하고, 안전 수칙을 철저히 준수한다면 제품의 품질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
4. 탭 내기탭 내기는 나사산을 가공하는 중요한 공정입니다. 탭 선택, 회전 속도 및 이송 속도 조절, 절삭유 사용 등 다양한 기술이 필요합니다. 또한 탭 내기 시 나사산의 정밀도와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탭 가공 순서와 방법을 정확히 숙지해야 합니다. 탭 내기 기술을 숙달하면 제품의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5. 모따기모따기는 제품의 외관과 기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가공 공정입니다. 모따기 각도와 깊이를 정확히 설정하고, 적절한 공구와 가공 조건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모따기 작업 시 안전 수칙을 준수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모따기 기술을 숙달하면 제품의 미관과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6. 리밍리밍은 홀 가공 공정에서 정밀도와 표면 품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리밍 공구 선택, 회전 속도 및 이송 속도 조절, 절삭유 사용 등 다양한 기술이 필요합니다. 또한 리밍 작업 시 공구 마모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리밍 기술을 숙달하면 제품의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7. 카운터 보어카운터 보어는 홀 가공 공정에서 나사산 가공을 위한 준비 작업입니다. 카운터 보어 공구 선택, 가공 깊이 및 직경 설정, 절삭유 사용 등 다양한 기술이 필요합니다. 또한 카운터 보어 작업 시 공구 마모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카운터 보어 기술을 숙달하면 나사산 가공의 정밀도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8. 톱질, 줄질, 직각자톱질, 줄질, 직각자 사용은 기계 가공에서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기술입니다. 이러한 기술을 숙달하면 제품의 치수와 형상을 정확히 가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은 다른 가공 공정의 기초가 되므로, 기계 분야 종사자라면 반드시 익혀야 할 역량입니다. 지속적인 연습과 숙련을 통해 이러한 기본 기술을 향상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9. 실험 소감이번 실험을 통해 다양한 기계 가공 기술을 직접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도면 해석, 측정, 가공 등 기계 분야에서 필수적인 역량들을 실습해 볼 수 있었던 것은 매우 유익했습니다. 특히 각 공정의 중요성과 기술적 난이도를 체감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기계 분야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실습 기회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 기계 가공 기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