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료역학 공식 정리
본 내용은
"
재료역학 공식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26
문서 내 토픽
-
1. 수직응력, 전단응력재료역학에서 수직응력과 전단응력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직응력 sigma = { P} over {A }, 전단응력 tau = { { P}_{s } } over {A }. 여기서 P는 수직하중, P_s는 전단하중, A는 단면적입니다.
-
2. 수직변형률, 전단변형률수직변형률 epsilon = { TRIANGLE ELL } over { ELL }, 전단변형률 gamma = { { lambda }_{s } } over { ELL }. 여기서 TRIANGLE ELL은 세로 변형량, lambda_s는 전단 변형량, ELL은 길이입니다.
-
3. 포와송의 비포와송의 비 mu = { { epsilon }^{ '} } over { epsilon } = { TRIANGLE ELL TIMES D} over {ELL TIMES TRIANGLE D } ={ 1} over { m}, 여기서 m은 포와송수입니다.
-
4. 후크의 법칙후크의 법칙에 따르면 sigma =E TIMES epsilon, tau =G TIMES gamma. 여기서 E는 종탄성계수, G는 횡탄성계수입니다.
-
5. 길이 변형량길이 변형량은 TRIANGLE ELL = {P ELL } over {AE }, lambda_s= { { P}_{s } ELL } over { AG}. 여기서 TRIANGLE ELL은 수직하중에 의한 변형량, lambda_s는 전단하중에 의한 변형량입니다.
-
6. 단면적 변형률, 체적 변형률단면적 변형률 epsilon_A =2 mu epsilon, 체적 변형률 epsilon_v = epsilon (1- 2 mu).
-
7. 탄성계수의 관계탄성계수의 관계는 1/E=2G(1+m)=3K(1-2m)입니다.
-
8. 두 힘의 합성두 힘의 합성은 F= SQRT { { F}`_{1}` ^{2 } + { F}`_{ 2}` ^ { 2} +2 { F}_{1 } { F}_{2 }cos theta }.
-
9. 세 힘의 합성(Lami의 정리)세 힘의 합성은 { { F}_{1 } } over {sin { theta }_{1 } }= { { F}_{2 } } over { sin { theta }_{2 } }= { { F}_{3 } } over {sin { theta }_{ 3} }.
-
10. 응력의 관계응력의 관계는 sigma_w <= sigma_sigma = { sigma_u} over { S }, 여기서 sigma_w는 사용응력, sigma_sigma는 허용응력, sigma_u는 극한응력, S는 안전율입니다.
-
1. 주제2: 수직변형률, 전단변형률수직변형률과 전단변형률은 재료의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수직변형률은 재료의 단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을 나타내며, 전단변형률은 재료의 단면에 평행하게 작용하는 힘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을 나타냅니다. 이 두 가지 변형률은 재료의 강도와 강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구조물 설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변형률 분석을 통해 재료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최적의 설계를 할 수 있습니다.
-
2. 주제4: 후크의 법칙후크의 법칙은 재료의 탄성 변형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법칙입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재료에 작용하는 응력과 변형률 사이에는 선형 관계가 성립합니다. 즉, 재료에 작용하는 응력이 증가하면 변형률도 비례하여 증가하며, 응력이 제거되면 변형률도 완전히 회복됩니다. 후크의 법칙은 재료의 강도와 강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구조물 설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이 법칙을 적용하여 재료의 변형 특성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구조물 설계가 가능합니다.
-
3. 주제6: 단면적 변형률, 체적 변형률단면적 변형률과 체적 변형률은 재료의 변형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단면적 변형률은 재료의 단면적 변화를 나타내며, 체적 변형률은 재료의 체적 변화를 나타냅니다. 이 두 가지 변형률은 재료의 강도와 강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구조물 설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단면적 변형률과 체적 변형률을 정확히 예측하고 분석하여 재료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최적의 설계를 할 수 있습니다.
-
4. 주제8: 두 힘의 합성두 힘의 합성은 재료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와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개념입니다. 두 힘의 합성을 통해 재료에 작용하는 합력의 크기와 방향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재료의 변형 특성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습니다. 두 힘의 합성은 구조물 설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재료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두 힘의 합성은 다양한 공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
5. 주제10: 응력의 관계응력은 재료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응력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재료의 변형 특성을 정확히 예측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합니다. 응력은 수직응력, 전단응력, 주응력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응력의 관계를 분석하여 재료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구조물 설계 시 최적의 설계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응력의 관계는 다양한 공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
고체역학 재료역학 주요 개념, 공식 핵심정리(시험, 과제, 직무면접 대비) 25페이지
2021.11.30· 25페이지 -
[공학설계입문]보의 처짐 5페이지
보의 처짐1. 실험 목적가. 보에 하중이 작용하면 변형이 일어날 것이고, 보의 길이 방향의 축은 곡선으로 변형 된다. 보의 최대 처짐량은 건물을 설계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수이며, 전동축의 경우에도 처짐각과 처짐량은 굽힘 강성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설계인자로 사용되고 있다.나. 본 실험은 양단 단순지지 보와 양단 고정 지지보에 집중하중 및 굽힘 모멘트를 가하였을 때 발생하는 보의 처짐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실험값과 계산으로 얻어진 이론값의 차이를 비교한다.2. 실험 이론 및 원리가. 보의 정의단면의 높이에 비해 길이가 긴 부재(...2022.10.27· 5페이지 -
수직응력과 변위 (A+, 98점) 10페이지
수직응력과 변위 과목명 : 재료역학1이름 : 김** 제출일 : 05월 11일1. 서 론수직응력과 변위에 관하여 제시된 문제를 풀이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유물체도를 그린 후 내력에 대한 이해를 통한 그림의 해석이 필요하고 내력을 힘의 평형식을 통해 구한 뒤 다시 수직응력 σ = P / A를 적용하여 수직응력을 구하고 이후 균일 단면 부재의 변형률을 구하여 문제를 풀이 할 수 있다.풀이 순서(1) 전체 부재에 대해 물체의 자유물체도를 그려서 반력 R을 구한다.(2) 구하고자 하는 내력이 나타나는 단면이 지나도록 절단하여 자유물체도를 그린...2022.06.19· 10페이지 -
고체역학(Pressure vessel) 7페이지
Mechanics of soild (2)Experiment 1.Pressure Vessels1. 실험목적일정압력을 가하였을 때 압력용기에 나타나는 stress와 strain의 실험값을 측정해 이론에 의한 값과 비교 검토한다.(1) strain gage의 원리를 이해하고, 부착 방법을 숙지한 후 이번 실험에서 직접 strain gage를 이용하여 압력용기의 strain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해한다.(2) 측정한 strain값과 이론값을 비교 검토하고 오차가 있을 경우에는 오차의 원인에 대해서 생각해 본다.(3) 측정한 strain과 응...2021.03.24· 7페이지 -
오리피스를 통한 사출경로_유체역학 실험결과보고서 11페이지
_실험일자: 2020년 6월 8일_사출경로 실험유체역학 실험 보고서목차1. 실험 목적2. 실험 이론3. 실험 기구4. 실험 방법5. 실험 결과6. 고찰7. 참고문헌1. 실험 목적수조 측벽에 또는 저면에 구멍을 뚫어서 물을 방류할 때 그 구멍을 오리피스라 한다.자유 수면을 갖는 작은 오리피스에서 공기중으로 방류되는 수액의 경로를 확인해본다.실험을 통해 오리피스의 구조를 이해하고 베르누이 정리와 토리첼리 정리를 확인한다. 대기 중으로 물을 방출할 때 유량의 감소, 수맥의 수축 및 에너지 손실 정도를 유량 계수를 통해 측정하고 수위를 통...2021.04.12·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