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간호학실습)사례분석(간호과정X) 10개, 성찰일지 10개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실습)사례분석(간호과정X) 10개, 성찰일지 10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25
문서 내 토픽
-
1. FUO(불명열)14개월 남아가 발열과 콧물로 내원하였으며, 현재 콧물, 무른변, 복부팽창 증상이 있음. 체온이 38.5도로 높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있음. 처방된 약물로 유박탐, 케토티펜시럽, 코푸스티시럽을 투여하고 해열제인 맥시부펜, 데노간을 제공하며 1시간 간격으로 체온을 측정하고 있음. 또한 stool검사, urine 검사, 혈액 검사를 시행하고 복부를 촉진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있음.
-
2. 코로나195세 여아가 일요일부터 열, 기침, 가래, 코막힘, 쉰소리 증상으로 내원하여 코로나19에 확진되어 입원하였음. 과거력으로 수족구, 장염, 심실심방중격결손 수술, 장염, 폐렴 등이 있었음. 현재 밥을 잘 먹지 않고 무른변을 보고 있으며 가래, 코막힘, 발열 증상이 있음. 혈액검사 결과 TIBC 289(300~360), ferritin 234로 나타났음. 처방된 약물로 나독솔, 유박탐, 몬테잘세립4mg, 케토티펜시럽을 투여하고 하기도 증기 치료를 교육하였으며 철분제인 훼로맥스를 제공하였음.
-
3. 인플루엔자 A8개월 여아가 가래, 기침, 코막힘으로 내원하여 인플루엔자 A 진단을 받았음. 자가투약으로 비타민 D, 아인비오를 복용하고 있었음. 현재 정상변 3회, 설사 1회, 무른변 1회를 보고 있으며 걸걸거리고 쉰 목소리, 잘 먹지 않으며 항문발진이 있는 상태임. 처방된 약물로 페라미플루, 소론도정, 유박탐을 투여하고 비판텐 연고를 도포하였으며 하기도 증기 치료를 교육하였음.
-
4. 급성 편도염4세 여아가 열, 복통으로 내원하였으며 현재 아데노, 라이노, 보카 바이러스가 있어 우측눈에 눈꼽이 끼어 있음. 복통은 호소하지 않으며 열은 떨어지지 않았음. 토라미신 점안액을 제공하여 점적하도록 교육하였고, 맥시부펜 시럽, 데노간을 제공하였으며 유박탐, 나독솔, 티램주를 투여하였음.
-
5. 수족구병12개월 남아가 고열, 열성경련, 입안에 수포로 내원하여 입원하였으며 과거력으로 잠복고환 수술이 있었음. 현재 입안 수포와 통증, 손, 발, 다리, 몸통에 발진, 침 흘림, 고열 증상이 있었으나 미열이 있어 관찰 중임. 처방된 약물로 유박탐, 푸리노신 시럽, 케토티펜을 투여하고 AST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수액을 확인하고 교체하였고 혈액 검사를 시행하였음.
-
6. 열성 경련17개월 여아가 월요일부터 열, 맑은 양상의 콧물이 있어 내원하여 인플루엔자 A 진단을 받고 입원하였으며 과거력으로 열성경련이 있었음. 처방된 약물로 유박탐, 코푸스티 시럽, 케토티펜 시럽, 클래리트로마이신건조시럽을 투여하고 하기도 증기 치료를 교육하였음.
-
7. 빈혈5세 여아가 일요일부터 기침, 가래, 열이 있어 내원하여 인플루엔자 진단을 받고 입원하였음. 혈액검사 결과 Hb 11.8(12-16), HCT 34.2(36-47), Neut 19.4(40-77), Lymph 69.8(16-44), 훼리틴질가산 검사 169(13.0-150.0)으로 빈혈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처방된 약물로 나독솔, 유박탐, 아르믹스, 덱사메타주를 투여하고 하기도 증기 치료를 교육하였으며 철분제인 훼럼키드를 제공하였음.
-
8.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3세 남아가 내원 4일 전부터 기침, 가래, 콧물, 열, 코막힘, 식이저조 증상이 있어 입원하였으며 과거력으로 ABL, 편도염, 인두염이 있었음. 현재 고열, 가래, 코막힘, 콧물 증상이 있음. 처방된 약물로 나독솔, 유박탐, 코푸스티, 케토티펜, 몬테잘세립4mg을 투여하고 하기도 증기 치료를 교육하였음.
-
9. 급성 폐색성 후두염(크룹)10개월 여아가 저번주 수요일부터 열, 컹컹거리는 가래 기침, 쉰목소리, 콧물, 코막힘 증상이 있어 입원하였음. 처방된 약물로 유박탐, 코푸스티, 케토티펜, 몬테잘세립4mg을 투여하고 하기도 증기 치료 방법을 교육하였음.
-
10. 아스트로바이러스 위장염7세 여아가 내원 3일 전부터 열, 복통, 식이저조 증상이 있었으며 내원 전 날 10회 이상 설사하였고 내원 당일에는 2회 설사하였음. 과거력으로 기관지염, 인플루엔자, 열성경련이 있었음. 처방된 약물로 세포탁심 2g, 하이드라섹산 30mg, 포리부틴정을 투여하였음.
-
1. FUO(불명열)FUO(불명열)은 원인을 찾기 어려운 발열 증상으로, 진단과 치료가 쉽지 않은 질환입니다. 다양한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 질환, 악성 종양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어 철저한 검사와 진단이 필요합니다. 환자의 증상과 병력,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원인을 찾아내고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FUO 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추적 관찰이 필요하며, 새로운 진단 기술의 발전으로 FUO 진단과 치료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코로나19코로나19는 전 세계적으로 큰 위협이 되고 있는 감염병입니다. 코로나19는 호흡기 증상을 동반하며, 중증 폐렴으로 진행될 수 있어 치명률이 높은 편입니다. 백신과 치료제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인해 지속적인 관심과 대응이 필요합니다. 개인 위생 수칙 준수, 사회적 거리두기 등 비약물적 중재 방안도 중요하며, 정부와 의료계의 체계적인 대응과 국제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 조속히 종식되기를 바라며, 이를 계기로 감염병 대응 체계를 더욱 강화해야 할 것입니다.
-
3. 인플루엔자 A인플루엔자 A는 매년 유행하는 호흡기 감염병으로, 발열, 근육통, 두통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특히 고위험군인 노인, 만성 질환자, 임산부 등에게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매년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하므로 매년 새로운 백신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예방접종과 함께 개인 위생 수칙 준수,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합니다. 또한 인플루엔자 A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감시체계 구축으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
4. 급성 편도염급성 편도염은 편도선의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인후통, 발열, 두통, 구토 등이 있으며,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심각한 경우 합병증으로 인해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급성 편도염의 치료는 증상 완화와 합병증 예방을 목표로 하며, 항생제 투여, 수액 공급, 진통제 투여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또한 편도선 절제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급성 편도염의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 위생 관리와 함께 정기적인 검진이 중요합니다.
-
5. 수족구병수족구병은 주로 어린 아이들에게 발생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손, 발, 입 안의 수포성 병변이 나타나며, 발열, 식욕 부진, 구토 등이 동반됩니다. 대부분 경미한 증상으로 자연 치유되지만, 드물게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족구병의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 위생 관리, 손 씻기, 감염 환자와의 접촉 피하기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로 합병증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수족구병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예방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6. 열성 경련열성 경련은 6개월에서 5세 사이의 어린이에게 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발열과 함께 경련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부분 양성 경과를 보이지만, 드물게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열성 경련의 원인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발열 관리와 함께 신속한 응급 처치가 중요합니다. 또한 재발 위험이 있는 경우 장기적인 관리와 예방이 필요합니다. 열성 경련에 대한 의료진의 적절한 대응과 보호자의 이해 및 협조가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7. 빈혈빈혈은 혈액 내 적혈구 수나 헤모글로빈 농도가 감소하여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피로감, 창백, 두통, 어지러움 등이 있으며, 원인에 따라 철결핍성 빈혈, 비타민 결핍성 빈혈, 만성 질환성 빈혈 등으로 구분됩니다. 빈혈의 치료는 원인 질환의 치료와 함께 철분, 비타민 보충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또한 예방을 위해서는 균형 잡힌 식단, 규칙적인 운동, 정기 검진 등이 중요합니다. 빈혈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과 함께 개인별 맞춤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8.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은 주로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기침, 콧물, 인후통, 발열 등이 있으며, 특히 영유아와 어린이에게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은 대부분 자연 치유되지만, 중증 폐렴이나 크룹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 위생 관리, 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의 방법이 중요하며, 증상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예방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9. 급성 폐색성 후두염(크룹)급성 폐색성 후두염, 즉 크룹은 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기도 폐쇄로 인한 호흡 곤란이 특징적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쉰 목소리, 짖어대는 기침, 호흡 곤란 등이 있으며,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크룹의 치료는 증상 완화와 합병증 예방을 목표로 하며, 스테로이드 투여, 산소 공급, 기도 확보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또한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 위생 관리, 감염 환자와의 접촉 피하기 등이 중요합니다. 크룹에 대한 의료진의 신속한 대응과 보호자의 이해 및 협조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10. 아스트로바이러스 위장염아스트로바이러스 위장염은 주로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으로,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위장관 증상이 특징적입니다. 대부분 경미한 증상으로 자연 치유되지만, 탈수, 전해질 불균형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스트로바이러스 위장염의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 위생 관리, 손 씻기, 감염 환자와의 접촉 피하기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증상 발생 시 적절한 수분 섭취와 함께 의료진의 진찰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스트로바이러스 위장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예방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