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아동간호학실습, 급성신우신염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2개
본 내용은
"
[A+] 아동간호학실습, 급성신우신염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2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24
문서 내 토픽
  • 1. 급성 신우신염
    급성 신우신염(APN)은 요로감염의 일종으로 신장이나 신우 등 상부요로계가 감염된 것을 말한다. 요로감염은 영아기에 가장 흔한 세균성 질환이며 아동기에는 호흡기계 다음으로 많은 질환이다. 요로감염은 요로를 구성하는 주변기관에서 요로를 통한 균의 침범으로 발생하므로 방광염, 신우신염, 전립선염, 부고환염, 요도염 등의 다양한 질병을 포함한다. 급성 신우신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E-coli로 80~90%를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갑자기 발생하는 '고열과 오한', '몸살 기운' 및 지속적인 옆구리의 통증과 빈뇨, 배뇨통과 같은 방광염 증상이 나타나며, 옆구리나 등을 두들기면 심한 통증이 발생한다. 유아 및 소아에서는 식욕부진과 체중감소와 같은 비특이적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급성신우신염은 임상증상과 소변검사, 요 배양검사, 혈액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일반적으로 약 80%에서 균이 발견되므로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해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한다.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하면 합병증은 드물지만, 소아의 경우 쉽게 만성으로 진행하며, 4세 이하에서는 영구적인 콩팥기능을 상실케 하는 콩팥 흉터가 발생할 수 있다.
  • 2. 간호중재
    ① 치료 시 염증의 노폐물을 씻어내고 소변의 정체를 막아 세균의 성장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② 국소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 1시간 간격으로 고막, 액와 체온을 특정하여 변화를 확인한다. - 입이 마르고 피부가 건조한지(탈수증상) 확인하고 충분한 수분을 공급한다. - 옷을 얇게 입히고, 가벼운 담요를 덮어준다. - 환경을 서늘하게 유지한다. - 얼음주머니를 이마, 액와, 서혜부 등에 대준다. - 미온수로 대상자의 몸을 가볍게 닦아준다. - 오한, 떨림의 증상이 있으며 간호사 선생님께 알리도록 한다. ③ 정보 부족과 관련된 요로감염 예방에 관한 지식부족 - 요로감염이 무증상이거나, 감기와 비슷한 증상일 수 있으므로 요로감염의 양상을 설명해준다. → 신생아 및 영유아의 경우 원인 모를 발열이 특징적인 증상이므로 발열이 있을 경우 요로감염을 확인한다. - 수유량이 줄거나, 과다하게 보채는 경우 요록마염을 의심해볼수 있음을 교육한다. - 배뇨훈련이 끝난 아동의 경우 유뇨증, 실금, 야뇨증이 있는지 확인할 것을 교육한다. - 영유아의 경우 설사, 복통 또는 악취의 소변 증상을 보일 수 있음을 교육한다. ④ 정보부족과 관련된 재발위험성 - 배뇨를 참지 않도록 하며 규칙적인 배뇨를 장려한다. - 여아의 경우, 배변 후 앞에서 위로 닦게 교육하여 회음부 감염을 예방한다. -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 크렌베리 주스 등의 소변이 알칼리화되지 않도록 하는 주스를 섭취한다. - 통목욕 및 거품목욕 등의 요도자극이 되는 행위는 피한다. - 옷이나 기저귀를 느슨하게 유지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급성 신우신염
    급성 신우신염은 신장 주변 조직인 신우에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 오한, 요통, 배뇨 곤란 등이 있으며, 방치할 경우 신장 기능 저하 및 패혈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치료로는 항생제 투여, 수액 공급, 통증 관리 등이 이루어지며, 간호사는 환자의 증상 모니터링, 투약 관리, 수분 섭취 및 배뇨 상태 확인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또한 환자 교육을 통해 재발 방지와 합병증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급성 신우신염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대부분 완치될 수 있는 질환이므로, 간호사의 전문적인 중재가 매우 중요합니다.
  • 2. 간호중재
    간호중재는 간호사가 환자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증진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일련의 활동들을 의미합니다. 간호중재에는 약물 투여, 상처 관리, 활력징후 모니터링, 교육 및 상담 등이 포함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사정하고 간호 진단을 내린 후, 이에 맞는 적절한 간호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해야 합니다. 간호중재는 환자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예방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간호사의 전문성과 임상 판단력이 요구됩니다. 또한 간호중재는 근거 기반 실무에 기반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평가를 통해 효과성을 확인하고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호중재는 환자 중심의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