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학공학]PER 실험 결과레포트
본 내용은
"
[화학공학]PER 실험 결과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24
문서 내 토픽
-
1. 관형 반응기(PFR)관형 반응기(PFR)는 기초 반응공학의 특정 교수 과목을 담당하는 사용자가 광범위한 실험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이 장치에서는 시간에 따른 반응진척도(전화율) 변화 실험, 반응속도상수(k)의 온도의존성 실험, 체류시간분포실험 등 3가지 기본적인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관형 반응기는 반응기 안에서의 물질의 흐름이 관에서의 흐름과 같은 반응기로, 반응기에 도입된 물질의 흐름이 축방향 혼합 없이 방사 방향만의 혼합이 일어나는 플러그 흐름 반응기이다. 반응공학적 측면에서 체류시간분포, 반응속도, 속도상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
2. 에틸아세테이트와 수산화나트륨의 비누화반응이 장치는 에틸아세테이트와 수산화나트륨간의 비누화반응을 전제로 만들어졌다. 이 반응은 2차 반응이며, 양론식과 반응속도식을 조합하여 체류시간에 따른 전화율 변화, 반응속도상수(k)의 온도의존성, 체류시간분포 등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3. 실험 절차실험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기기 전원 켜기 및 설정 온도 25°C로 하기 2) 0.01M 에틸아세테이트 용액과 0.01M NaOH 용액 각 1L씩 제조하기 3) 용액을 각각 R-1, R-2 용기에 채우기 4) R-1 펌프(AB-2)를 켜서 관 내부를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으로 채우기 5) 반응물 수집 및 전도도 측정하기 6) 유량 변경(6L/h, 12L/h) 및 온도 변경(28°C, 38°C)하여 실험 반복하기
-
4. 실험 결과 분석실험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속이 빠를수록 체류시간이 짧아져 반응이 빨리 진행되어 전도도가 더 빨리 상승하지만, 최종 평형상태의 전도도는 유속이 느린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났다. 2) 온도가 높을수록 반응속도가 빨라져 전도도 상승이 더 빨리 일어났지만, 실험 결과에서는 온도가 낮은 경우에서 더 빨리 전도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험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3) 반응속도 상수 k의 온도의존성을 아레니우스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온도가 10°C 상승할 때 k가 약 0.1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5. PFR(Plug Flow Reactor) 반응기의 특성PFR 반응기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유입 순서대로 유입량만큼 유출되며, 반응조 내에서의 흐름 상태는 혼합이 없거나 최소이다. 2) 장점은 유기물 제거 효율이 높고, 교반이 없어 유지관리가 쉬우며, 반응기 부피당 전화율이 가장 높다. 3) 단점은 충격부하 및 부하변동에 민감하고, 유입부의 DO 부족 및 불균형, 온도조절의 어려움 등이 있다.
-
6. 고찰이번 실험에서 전도도 측정 장치의 오류로 인해 실험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졌다는 점이 아쉬웠다. 하지만 실험을 통해 PFR 반응기의 특성, 온도와 유속이 반응속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이해할 수 있었다. 반응기 선택과 운전 변수 제어가 화학공정 설계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
1. 주제2: 에틸아세테이트와 수산화나트륨의 비누화반응에틸아세테이트와 수산화나트륨의 비누화반응은 유기화학 실험에서 자주 다루어지는 주제입니다. 이 반응은 에스테르 화합물인 에틸아세테이트가 수산화나트륨과 반응하여 나트륨 염과 에탄올을 생성하는 과정입니다. 이 반응은 염기 촉매 가수분해 반응의 대표적인 예로, 에스테르 화합물의 가수분해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이 반응은 에스테르와 알코올, 카르복실산 염의 생성을 통해 유기화학 실험에서 다양한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에틸아세테이트와 수산화나트륨의 비누화반응은 유기화학 실험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2. 주제4: 실험 결과 분석실험 결과 분석은 실험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 실험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실험 결과 분석에는 실험 데이터 수집, 데이터 처리, 결과 해석 등의 단계가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실험 조건과 반응 메커니즘, 생성물 특성 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험 결과 분석은 실험 절차의 개선, 새로운 실험 설계, 이론적 모델 검증 등에 활용됩니다. 따라서 실험 결과 분석은 실험 수행의 마지막 단계이자 가장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험 결과 분석을 통해 실험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
3. 주제6: 고찰이번 실험에서는 관형 반응기(PFR)를 이용한 에틸아세테이트와 수산화나트륨의 비누화반응을 다루었습니다. 실험 절차와 결과 분석을 통해 PFR의 특성과 비누화반응의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PFR의 균일한 체류시간 분포와 높은 열전달 효율이 반응 속도와 선택성 향상에 기여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실험 결과 분석을 통해 반응 조건 최적화와 문제점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실험은 화학 공정 설계와 반응 메커니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향후 다양한 반응 시스템에 PFR을 적용하고 실험 결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
(A+레포트)[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5.단백질 정량법 비교(BCA, Bradford)(예비) 8페이지
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예비 레포트 -실험 제목실험5. 단백질 정량법 비교(BCA, Bradford)실험 일자실험 조 및 조원학 과학 번이 름1. Introduction1-1. 실험 목적Bicichoninic Acid(BCA)와 Bradford를 이용한 단백질 정량법을 이용하여 미지 시료의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고 두 방법의 결과를 비교분석한다. 또한 미지시료를 분석함에 있어 어떤 방식이 적절한지 판단한다.1-2. 실험 원리단백질 정량이란 sample 내에 포함된 단백질의 양 또는 농도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세포 또는 조직에서 추...2025.02.13· 8페이지 -
자기유도 결레/물리및실험2/실험레포트 3페이지
자기유도일반물리학실험2(결과 레포트)김진호 교수님신민정 조교님5조 /201611013/이강토화학공학과제출 날짜 : 11월 23일1. 실험결과Exp 1-Mass of Hanger(m)=0.00012kg -Length of Leading Wire(l)= 0.03m-Turn Ratio of Solenoid per Unit Length(n)=550/0.115=4782 (number/m)-Current of Solenoid(i)=1(A) -Magnetic Field of Solenoid(B)=mu n`i*3=0.018(T)Nums(m)I(A...2018.04.29·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