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통합실습_ 핵심술기간호과정_ 간호기록형식과정_ 간호과정3개_
본 내용은
"
간호통합실습_ 핵심술기간호과정_ 간호기록형식과정_ 간호과정3개_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22
문서 내 토픽
-
1. 기관 내 흡인환자의 객담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호흡곤란 증상이 발생했습니다. 이에 따라 기관 내 흡인 술기를 적용하였습니다. 흡인 전 과환기를 실시하고, 반좌위를 취한 후 흡인압 120mmHg, 흡인 길이 12cm, 카테터 12G를 사용하여 15초 이내로 흡인을 실시하였습니다. 흡인 중 저산소증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노랗고 묽은 양상의 객담이 다량 배출되었습니다. 환자는 숨쉬기가 편안해졌다고 표현하였고, 호흡곤란 증상도 해소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2. 정맥 주사수술 부위에서 혈액성 삼출물이 oozing되어 드레싱이 젖어있는 상태였습니다. 항생제 cefazolin 1g/TID IVs 처방이 있었기 때문에 IV line을 clamping open 후 H/S 1L esberiven 6A mix 30cc/hr로 점적 수액 주입을 재설정하였습니다. 항생제 cefazolin 1g을 NS 100ml와 mix 후 IV 연결하여 30gtt/min으로 주입하였습니다. IV site에 부작용은 없었으며 환자의 불편감도 호소하지 않았습니다.
-
3. 수술 후 간호환자의 NRS 통증 점수가 7점으로 측정되었고, 작은 자극에도 통증을 호소하며 얼굴을 찡그리는 모습이 관찰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PCA 사용법과 부작용에 대해 재설명하고, PCA 라인의 꼬임이나 막힘 없이 잘 유지되도록 관리하였습니다. 또한 수술 부위에서 혈액성 삼출물이 oozing되어 드레싱이 젖어있는 상태였기 때문에 Hemovac clamping을 open하여 음압을 유지하고, 드레싱 교체를 실시하였습니다.
-
1. 기관 내 흡인기관 내 흡인은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고 호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간호 행위입니다. 이 과정에서 간호사는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간호사는 기관 내 흡인 절차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며 적절한 시기에 흡인을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무균 술식을 준수하여 감염 위험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기관 내 흡인은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한 간호 행위이므로, 간호사는 이에 대한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나가야 할 것입니다.
-
2. 정맥 주사정맥 주사는 환자 치료에 있어 필수적인 간호 행위입니다. 간호사는 정맥 주사 시행 시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정맥 주사 기술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무균 술식을 준수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여 합병증 발생 여부를 신속히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정맥 주사는 환자의 치료 경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간호사는 이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전문성을 향상시켜 나가야 할 것입니다.
-
3. 수술 후 간호수술 후 간호는 환자의 회복과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호사는 수술 후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합병증 발생 여부를 신속히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통증 관리, 상처 관리, 활동 증진 등 다양한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회복을 촉진하고, 합병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수술 후 간호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한 역할이므로, 간호사는 이에 대한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나가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