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실습 shock관리 쇼크 shock 종류 및 간호
본 내용은
"
성인간호실습 shock관리 쇼크 shock 종류 및 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20
문서 내 토픽
-
1. 쇼크의 정의쇼크는 부적절한 순환으로 인해 신체의 세포와 조직이 대사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여 기능장애를 초래하고, 심하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전체 순환혈액량 또는 심박출량이 감소하거나 혈관이 이완되면 평균동맥압(MAP)이 떨어져 조직에 공급되는 혈류가 감소한다. 그 결과 세포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감소되어 조직의 기능장애가 나타난다.
-
2. 쇼크의 원인1. 저혈량성 쇼크: 절대적 또는 상대적으로 혈액이나 체액의 손실이 있을 때 나타난다. 2. 심장성 쇼크: 심장질환 및 외상에 의한 펌프 부전, 즉 수축 기능 및 심박출량 감소로 발생한다. 3. 분배성 쇼크: 아나필락시스 쇼크, 신경성 쇼크, 패혈성 쇼크로 나뉜다. 4. 폐쇄성 쇼크: 압력에 의해 우심실의 이완기 혈액 충만이 제한되어 심박출량이 감소되는 혈류의 물리적 차단을 의미한다.
-
3. 쇼크의 병태생리저혈량성 쇼크, 심장성 쇼크, 분배성 쇼크, 폐쇄성 쇼크 등 각 유형별로 순환량 감소, 수축기능 장애, 이완기능 장애, 자율신경기능 붕괴, 세포손상, 세균침범 등의 병태생리적 기전이 다르게 나타난다.
-
4. 쇼크의 단계1. 초기단계: 저관류 상태가 저산소증을 유발하여 ATP 생산 중단 및 조직의 산소부족이 일어난다. 2. 보상단계: 신체 생리적 기전이 모두 작동하여 쇼크 상태를 정상으로 환원시키려 한다. 3. 진행단계: 쇼크의 보상기전이 실패하면 중요 기관에 더 이상 산소공급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4. 불응단계/비가역적 단계: 심각한 저혈압과 저산소증이 나타나고, 주요기관이 손상되어 회복할 수 없게 된다.
-
5. 쇼크의 증상각 유형의 쇼크에 따라 심혈관계, 호흡기계, 신경계, 위장관계, 요로계, 피부계 등에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심박출량 감소, 혈압 하강, 맥압 감소, 호흡수 증가, 의식 저하, 소변량 감소 등이 있다.
-
6. 쇼크의 진단검사ABGA, 활력징후, 혈액검사(Hb, Hct, 혈액배양, 심장표지자 등), 영상검사(CT, MRI, 심초음파, 흉부 X-ray) 등을 통해 쇼크의 원인과 정도를 확인한다.
-
7. 쇼크의 치료 및 간호심박출량과 체액량 유지, 조직관류 유지, 산소화 증진, 지속적인 모니터링, 약물요법, 영양요법, 자가간호 증진, 정서적 지지 등의 중재가 필요하다.
-
8. 쇼크의 합병증신장 기능 손상, 위장관계 출혈, 다기관기능부전증후군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
1. 주제2: 쇼크의 원인쇼크의 주요 원인으로는 출혈, 감염, 심장 기능 저하, 중추신경계 손상, 알레르기 반응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원인들은 혈압 저하, 조직 관류 감소, 대사 장애 등을 초래하여 쇼크 상태를 유발합니다. 쇼크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2. 주제4: 쇼크의 단계쇼크는 일반적으로 보상성 쇼크, 비보상성 쇼크, 말기 쇼크의 3단계로 구분됩니다. 보상성 쇼크 단계에서는 신체가 혈압 저하를 보상하려 노력하지만, 비보상성 쇼크 단계에서는 보상 기전이 소진되어 혈압이 지속적으로 저하됩니다. 말기 쇼크 단계에서는 장기 부전이 발생하여 생명이 위험한 상황입니다. 각 단계별 특징을 이해하고 신속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주제6: 쇼크의 진단검사쇼크 환자의 진단을 위해서는 혈압, 맥박, 호흡, 체온 등의 활력징후 측정과 함께 혈액검사, 영상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혈액검사를 통해 혈액 가스 분석, 전해질 검사, 혈액 응고 검사 등을 시행하여 쇼크의 원인과 진행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흉부 X선 검사, 심초음파 등의 영상검사를 통해 심장 기능과 폐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진단검사를 통해 쇼크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
4. 주제8: 쇼크의 합병증쇼크가 지속되면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합병증으로는 급성 신부전, 급성 호흡부전, 급성 간부전, 급성 심근경색, 뇌 손상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장기 부전은 쇼크의 진행 정도와 지속 시간에 따라 달라지며, 신속한 치료와 집중 관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쇼크 환자의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패혈성쇼크 케이스스터디 A+ 간호진단/간호과정 7개 38페이지
성인간호학 CASE STUDY- 패혈성 쇼크(septic shock) -성인간호학 실습을 하면서 작성한 보고서이며 A+ 받았습니다.환자 정보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는 거의 다 삭제하였고 진단을 이해하는데 문제가 없는 정도의 정보만 남겨두었습니다. 의미있는 자료 정리와 각 진단마다 S-data/O-data 남아있어 이해하는 데에문제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목차1. 간호력(주호소/진단명/과거력)2. 질병에 대한 기술3. 대상자의 간호과정1) 초기사정자료(삭제)2) 성인대상자 신체사정(삭제)3) 활력징후4)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I5) 대...2022.01.29· 38페이지 -
중환자간호실습-분담주제-혈역동학모니터링 6페이지
중환자간호실습 REPORTHemodynamic monitoring(BP, CVP, CO, PCWP 등)을 위한기구종류와 관리, 각 정상치와 범위, Shock 환자 간호과목중환자간호실습담당교수학과간호학과학번이름제출일Hemodynamic monitoring(BP, CVP, CO, PCWP 등)을 위한기구종류와 관리, 각 정상치와 범위, Shock 환자 간호[Hemodynamic monitoring의 정의 및 목적]º 정의 : 혈역학적 불안정성을 보이는 중증 환자에서 진단과 치료를 목적으로 혈역학 지표들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2022.05.02· 6페이지 -
괴사성근막염 간호과정(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고체온/조직관류/통증간호진단포) 17페이지
()년도 0학기 성인간호학실습 - 간호과정 사례 보고서 - 진단명 : 괴사성근막염(Necrotising fasciitis) 실습병원 실습부서 실습기간 지도교수 제출자 제출일 - 목 차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정의, 증상, 합병증, 기타 건강요인, 원인, 치료, 예후와 예방) Ⅱ. 본론 1. 간호사정 2. 진단검사 3. 영상검사 4. 약물 5. 간호과정 적용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Ⅲ. 결론 1. 느낀점 Ⅳ. 참고문헌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괴사성 근막염(necrotizing f...2025.04.19· 17페이지 -
응급실 실습 사전학습 20페이지
응급실-성인간호학실습 사전학습-학교 로고교과목명실습기관실습기간지도교수학년/반/학번이름목차1. 용어 및 약어--------------------------------------------32. 주요 학습내용------------------------------------------51) 응급실에서 주로 시행하는 특수검사 전·후 간호① Spinal Tap ; Lumbar Puncture② Angiography③ MRI2) 응급환자 사정 및 분류3 ) C V P 측 정4) 감염환자 관리5) 산소공급 종류 및 방법6) 성인 Emergenc...2024.05.26· 20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응급실ER 사전학습 33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ER 사전학습 보고서)1. Emergency Cart약명분류효능?효과Atropine진경제위장관의 경련성 동통, 담관·요관의 산통, 경련성 변비, 위·십이지장궤양에서의 분비 및 운동 항진, 방실전도장애, 미주신경성 서맥, 마취 전 투약, 유기인 살충제·부교감신경흥분제 중독Dexamethasone코르티코스테로이드호르몬제1. 내분비 장애 : 원발성 및 속발성 부신피질기능부전증, 급성 부신피질기능부전증, 부신성기증후군2. 류마티스성 장애급성진행 또는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단기 투여용 보조요법으로서 다음의 질환 : 류마티스양 ...2022.09.26· 3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