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훈병원 신규간호사 OT시험정리본
본 내용은
"
보훈병원 신규간호사 OT시험정리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20
문서 내 토픽
-
1. 환자 확인 방법개방형 질문으로 환자이름을 확인하고 환자인식팔찌로 투약카드의 환자이름과 등록번호를 대조해서 확인한다.
-
2. 활력징후 범위혈압의 경우 hypotension은 90/60mmHg, normal은 120/80mmHg, hypertension 1은 140~159/90~99mmHg, hypertension 2는 160 이상/100 이상이다. 맥박은 60~100회/분, 호흡은 12~20회/분이 정상 범위이다.
-
3. 의식수준의식수준은 Alert(명료) -> Drowsy (기면) -> Confuse (혼동) -> Stupor (혼미) -> semi coma (반혼수) -> Coma (혼수) 순으로 악화된다.
-
4. 산소요법nasal cannula는 1~5L/min, simple face mask는 5~8L/min, partial rebreathing mask는 6~15L/min, non-rebreathing mask는 6~10L/min의 산소 유량을 사용한다.
-
5. Foley 삽입 준비물멸균장갑, dressing set (+베타딘), Jelly, 유치도뇨관, kelly, 10cc syringe, 20cc 멸균증류수, Urine bag, 고정밴드(멀티픽스), 소공포 등이 필요하다.
-
6. 투약 원칙정확한 환자, 약물, 용량, 시간, 경로, 교육, 기록 등 7가지 원칙을 지켜야 한다.
-
7. 근육주사 부위둔부의 배면, 둔부의 복면, 대퇴 외측광근, 대퇴 직근, 삼각근 중앙 부위 등이 근육주사 부위로 사용된다.
-
8. 정체관장 준비물Lactulose enema와 Kalimate 관장을 위해 다양한 준비물이 필요하다.
-
9. L-tube 준비물 및 위치 확인 방법Levin tube, 멸균장갑, enema syringe, 청진기, Jelly 등이 필요하며, X-ray 촬영이나 청진기로 소리 확인을 통해 위치를 확인한다.
-
10. CPR 비율, 깊이, 가슴압박 위치가슴압박:인공호흡 비율은 30:2이며, 가슴압박 속도는 100~120회/분, 깊이는 성인 약 5cm, 소아 4~5cm, 영아 4cm이다. 압박 위치는 가슴뼈 아래쪽 ½이다.
-
1. 환자 확인 방법환자 확인은 환자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절차입니다. 환자 확인 시 환자의 이름, 생년월일, 등록번호 등 고유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환자 본인 또는 보호자에게 직접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또한 환자의 팔찌나 차트 등을 통해 추가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고, 잘못된 처치로 인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2. 활력징후 범위활력징후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정상 범위는 연령, 성별,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체온 36.5~37.5도, 맥박 60~100회/분, 호흡 12~20회/분, 혈압 120/80 mmHg 정도입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환자의 상태가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활력징후 측정 시 정상 범위를 확인하고 이상 징후가 있는지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또한 활력징후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의식수준의식수준은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의식수준은 AVPU(Alert, Verbal, Pain, Unresponsive) 척도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환자가 의식이 명료하고 자발적으로 반응하면 Alert, 구두 자극에 반응하면 Verbal, 통증 자극에 반응하면 Pain, 전혀 반응이 없으면 Unresponsive로 평가합니다. 의식수준이 저하되면 기도 유지, 호흡 관리, 순환 관리 등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므로, 의식수준 평가는 매우 중요합니다.
-
4. 산소요법산소요법은 저산소증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여 조직으로의 산소 전달을 개선하는 치료법입니다. 산소요법 시 산소 농도, 유량, 투여 방법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비강 캐뉼라를 통해 2~6L/min의 산소를 투여하며, 필요 시 마스크를 사용하여 산소 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산소 투여 시 환자의 반응을 모니터링하고, 과도한 산소 투여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해야 합니다. 산소요법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개별화되어야 하므로,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적절히 시행되어야 합니다.
-
5. Foley 삽입 준비물Foley 카테터 삽입을 위해서는 멸균 장갑, 소독제, 멸균 Foley 카테터, 윤활제, 소독 솜, 소변 주머니, 소변 배액관 등의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무균 술식을 철저히 지켜 감염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성별, 연령,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의 Foley 카테터를 선택해야 합니다. Foley 삽입 시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윤활제 사용과 천천히 삽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6. 투약 원칙투약 시 환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5권'(Right patient, Right drug, Right dose, Right route, Right time) 원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환자 확인, 약물 확인, 용량 확인, 투여 경로 확인, 투여 시간 확인 등을 통해 투약 오류를 방지해야 합니다. 또한 투약 전후 활력징후 확인, 부작용 모니터링, 약물 상호작용 확인 등 투약 관리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투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7. 근육주사 부위근육주사 시 주사 부위 선택은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삼각근, 대퇴근, 둔근 등이 사용되며, 각 부위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적절한 부위를 선택해야 합니다. 삼각근은 접근이 쉽고 주사 시 통증이 적은 편이지만, 근육량이 적어 주사량이 제한적입니다. 대퇴근은 근육량이 많아 주사량이 많지만, 주사 시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둔근은 근육량이 가장 많지만, 주사 시 통증과 경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자의 상태와 주사 약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부위를 선택해야 합니다.
-
8. 정체관장 준비물정체관장 시행을 위해서는 관장액, 관장기, 윤활제, 장갑, 소독 솜, 배변 용기 등의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관장액은 생리식염수나 미온수를 사용하며, 관장기는 적절한 크기와 유연성을 가진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윤활제는 관장기 삽입 시 불편감을 줄이기 위해 사용합니다. 무균 술식을 지켜 감염 예방에 힘써야 하며, 환자의 상태와 반응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정체관장 시행 시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9. L-tube 준비물 및 위치 확인 방법L-tube 삽입을 위해서는 L-tube, 주사기, 윤활제, 청진기, 흡인기 등의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L-tube 삽입 시 위치 확인은 매우 중요한데, 청진기로 장음을 확인하거나 흡인한 내용물의 pH를 측정하여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X-ray 촬영을 통해 L-tube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L-tube 삽입 시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윤활제 사용과 천천히 삽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L-tube 위치 확인을 통해 안전한 투약과 영양 공급이 가능합니다.
-
10. CPR 비율, 깊이, 가슴압박 위치심폐소생술(CPR)은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응급 처치입니다. CPR 시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비율은 성인의 경우 30:2, 소아의 경우 15:2입니다. 가슴압박의 깊이는 성인의 경우 5-6cm, 소아의 경우 4-5cm가 적절합니다. 가슴압박 위치는 흉골 중앙 부위, 즉 가슴뼈 아래 1/3 지점입니다. 이러한 CPR 수행 지침을 숙지하고 정확히 시행하는 것이 심정지 환자 소생에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CPR 시 안전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정기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