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 체액과 전해질 균형 노트정리
문서 내 토픽
-
1. 체액과 전해질 이동기전체액과 전해질 이동에는 여과, 삼투, 확산, 능동적 이동, 모세혈관 역동 등의 기전이 있다. 여과는 막 양면의 정수압 차이로 액체가 이동하는 것이고, 삼투는 농도가 다른 두 용액이 선택적 투과막에 의해 구분되어 있을 때 농도가 낮은 용매가 농도가 높은 용액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확산은 물질을 이루는 입자가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이동하여 두 구간의 농도 차가 감소하는 현상이며, 능동적 이동은 농도 차이 또는 전해질의 전기적 전위차이를 거슬러 이동하는 것이다. 모세혈관 역동은 정수압과 교질삼투압의 차이로 혈관과 간질강 사이의 수분 이동이 일어나는 것이다.
-
2. 체액과 전해질 균형을 위한 신체의 조절체액과 전해질 균형을 위한 신체의 조절 기전에는 시상하부-뇌하수체, 콩팥, 부신겉질, 심장, 위장 등이 관여한다. 시상하부-뇌하수체는 체액의 부족이나 혈장 삼투압 농도 증가를 감지하여 갈증중추를 자극하고 항이뇨호르몬을 분비한다. 콩팥은 수분과 전해질을 선택적으로 재흡수하고 배출하여 혈장삼투압, 전해질, 혈액량, 산-염기 균형을 조절한다. 부신겉질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와 미네랄코르티코이드를 분비하여 나트륨과 칼륨 균형을 조절하고, 심장은 나트륨이뇨펩타이드 호르몬을 생산하여 항이뇨호르몬, 레닌, 알도스테론 분비를 억제한다. 위장에서는 대사과정을 통해 수분을 얻고 소화액 재흡수가 이루어진다.
-
3. 산, 염기, 완충제산은 물에 녹았을 때 H+의 농도가 증가하는 물질이고, 염기는 물에 녹았을 때 OH-의 농도가 증가하는 물질이다. 완충제는 산 또는 알칼리에 의한 pH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물질로, 중탄산염, 인산염, 단백질, 헤모글로빈 등이 있다. 완충체계, 호흡체계, 콩팥체계가 산-염기 균형을 조절한다. 완충체계는 즉각적인 반응으로 산을 제거하고, 호흡체계는 CO2와 H2O 배출로 산도를 조절하며, 콩팥체계는 HCO3-와 H+ 보유와 배설로 산-염기 균형을 조절한다.
-
1. 체액과 전해질 이동기전체액과 전해질의 이동은 세포 내외부의 농도 차이와 삼투압 차이에 의해 발생합니다. 세포막을 통한 능동 수송과 수동 확산이 이루어지며, 이온 펌프와 이온 채널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Na+/K+ ATPase 펌프는 세포 내외부의 이온 농도 차이를 유지하는 데 핵심적입니다. 또한 세포막의 투과성 조절을 통해 체액과 전해질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이러한 기전은 세포의 삼투압 조절, 산-염기 균형, 신경 전달 등 다양한 생리학적 과정에 관여합니다. 따라서 체액과 전해질 이동 기전의 이해는 생명체의 항상성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
2. 체액과 전해질 균형을 위한 신체의 조절신체는 체액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조절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신장은 여과, 재흡수, 분비 과정을 통해 체액과 전해질의 항상성을 유지합니다. 또한 뇌하수체 호르몬, 부신 호르몬, 신경계 등이 상호작용하여 체액과 전해질 균형을 조절합니다. 예를 들어 ADH는 수분 재흡수를 증가시키고, 알도스테론은 Na+ 재흡수를 증가시켜 체액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조절 기전의 이해는 체액과 전해질 이상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신체의 체액과 전해질 균형 조절 기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
3. 산, 염기, 완충제산, 염기, 완충제는 생명체의 항상성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산-염기 균형은 세포 내외부의 pH를 일정 범위로 유지하여 생화학 반응과 생리학적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완충제는 산-염기 균형을 조절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혈액, 세포질, 소화액 등에 존재하는 완충제는 pH 변화를 최소화하여 생명체의 항상성을 유지합니다. 또한 산-염기 불균형은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산, 염기, 완충제에 대한 이해는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이들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생명체의 항상성 유지 기전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성인간호학) 체액과 전해질 균형 노트정리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19
-
성인간호-전해질관련 완벽 정리 13페이지
성인간호학Ⅰ. 체액과 전해질성인: 체중의 50~60% (하루 2~2.5L필요= 호흡, 소변, 대변, 땀과 분비물로 배출)영아: 체중의 70%노인: 체중의 45~50%#체액-ICF: 총 체액의 2/3, 체중의 40%, 세포의 화학적 기능을 가능-ECF: 체액의1/3, 체중의 20%, 순환계를 통한 혈액의 이동 및 신체의 운송체계ECF의 종류-세포간질액 (interstitial fluids) : 세포주위를 싸는 액체. 림프도 포함 ? 최종 흉관을 통해 혈액으로 들어감-혈관내 용액 (intravascular fluids) : 혈액은 혈장...2021.01.28· 13페이지 -
성인간호학II 강의핵심노트 내용학습 주제정리(1)심장계 13페이지
성인간호학II 과제 - 강의핵심노트 학습내용 주제정리(심혈관계)1주차주제1. 심장의 구조: 심방과 심실, 판막, 관상동맥, 관상정맥심방(atrium)과 심실(ventricle): 심장은 중격(septum)에 의해 우심과 좌심으로 구분, 다시 위아래의 심방·심실로 구분우심방·신체를 돌고 온 정맥혈(상대정맥, 하대정맥, 관상정맥동)을 받음·정맥혈은 상하대정맥과 심장의 관상정맥동을 통해 우심방으로 유입우심실·심장의 가장 앞쪽에 있는 구조로, 흉골 바로 아래 위치·심실의 이완기 동안 우심방으로부터 정맥혈을 받아들여 폐동맥을 통해 폐로 보냄...2024.01.27· 13페이지 -
성인간호학 전범위 오답노트 총72문제해설 18페이지
성인간호학오답노트과목담당교수제출일학번/ 이름1. 고칼륨혈증 치료 및 간호·세포 내로 칼륨 이동 유도: 금식+인슐린+당 주입·칼륨 소모성 이뇨제 투여, 칼륨보유 이뇨제 중단·칼슘 글루코네이트 투여(비정상적인 심장전도에 길항작용)·중탄산염나트륨(Bivon)정맥투여: 칼륨의 심장 영향에 반대 작용하는 나트륨 공급·Kalimate enema시행·혈액투석(신부전 동반 시)·침상안정, 구강으로 금식+kayexalate: 소화관내에서 K와 Na의 교환을 하고 K가 묻은 수지가 배출됨으로써 체내의 K를 제거한다.2. 제 Ⅱ형 과민반응은 IgG나 ...2020.12.26· 1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