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rgaret A. Newman-의식확장으로서의 인간
문서 내 토픽
-
1. 이론가 소개1933년 미국 테네시 주 멤피스에서 출생, 1962년 멤퍼스의 테네시 대학 간호학사, 1964년 캘리포니아 대학 성인간호학, 교육학 석사, 1971년 뉴욕 대학 간호과학, 재활간호박사, 1979년 『Theory Development in Nursing』출판, 1984년 미네소타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 중, 1986년『Health as Expanding Consciousness』출판, 1989-1990년 간호실무의 전문적 모델이론 및 구조개발 프로젝트의 주 연구자로 활동, 1994년『의식의 확장으로서의 건강』2판 출판, 1995년 『발전하는 학문』출판
-
2. 이론적 발달과정뉴만 이론은 그의 개인적인 경험으로부터 유래, 어머니가 만성질환을 앓고 있어 간호를 하면서 '질병은 인간의 생활 패턴을 반영하는 것이며, 필요한 것은 인간의 의미 있는 생활 패턴을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다.'라는 생각을 전개, 뉴만의 이론개발 과정은 간호학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 인접학문분야로부터 간호학의 기초적인 지식을 차별화하는 것에서 시작, 연역적 접근(the Whole)과 귀납적 방법(시간지각 및 걸음속도에 관한 구체적인 경험 관찰)으로 이론 개발
-
3. 이론의 개요이론의 주요개념은 건강, 패턴, 의식, 움직임, 시간과 공간이며, 건강은 의식의 확장이고 질병은 인간의 생활 패턴을 반영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간호사의 책임은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 안에 내재된 힘을 인식하도록 도움으로써 보다 높은 차원의 의식으로 가도록 하는 것이다. 패턴은 전체를 설명하며 모든 관계에 대한 의미를 단번에 이해하게 하는 정보이며, 의식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체계의 능력이다. 움직임은 인간이 현실을 지각하고 자신을 알게 되는 수단이며, 시간과 공간은 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
4. 메타패러다임뉴만 이론의 메타패러다임은 질병과 비질병을 합쳐 건강으로 합성하며, 건강과 의식의 패턴은 같다고 보고, 개인을 초월한 더 큰 전체로 기술한다. 의식의 확장과정에서 간호사-개인, 가족, 지역사회가 자신의 패턴에 초점을 맞추도록 도와주는 촉진자 역할을 한다.
-
5. 이론의 적용간호업무는 다른 사람의 패턴을 변화시키려고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패턴이 전체를 묘사해주는 정보임을 인식하고 이를 전개된 그대로 받아들여 관계하는 것이다. 간호사의 역할은 의식확장의 파트너이고 사람들이 그들의 패턴을 인식하고 수용하도록 도와주는 촉진자로 정의된다. 움직임과 시간은 지역사회 간호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간호사는 특정 시간이나 장소에 국한되지 않는 파트너십을 유지하면서 대상자와의 관계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
6. 이론 평가이론의 명확성과 간결성은 전반적으로 우수하나 움직임에 대한 개념의 명확성이 요구된다. 건강과 패턴의 개념은 총체적이며 개념 간 상호작용은 검증되기 어려워 유용성이 제한적이다. 이론은 일반성이 있으나 동적이고 변화하는 특성을 양적 방법으로만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
1. 이론가 소개이론가 소개는 해당 이론의 배경과 맥락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론가의 생애, 사회적 배경, 주요 관심사 등을 살펴봄으로써 이론의 형성 과정과 핵심 개념을 보다 깊이 있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론가의 사상적 영향력과 이론의 실천적 적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이론가 소개는 이론 학습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이론적 발달과정이론의 발달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이론의 변화와 발전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론이 형성되고 발전해 온 역사적 맥락, 주요 쟁점과 논쟁, 이론가들 간의 상호작용 등을 분석함으로써 이론의 현재 위치와 향후 전망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론의 발달과정을 통해 이론의 핵심 개념과 가정, 방법론적 특성 등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론적 발달과정에 대한 고찰은 이론 학습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이론의 개요이론의 개요를 살펴보는 것은 이론의 핵심 개념과 주요 내용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론의 정의, 주요 가정과 개념, 핵심 주장, 이론의 구조와 논리 등을 개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이론의 전반적인 윤곽을 잡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론의 개요를 통해 다른 이론과의 차별성과 상호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론의 개요 학습은 이론 이해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메타패러다임메타패러다임은 특정 이론의 근간이 되는 가정과 관점을 의미합니다. 메타패러다임을 이해하는 것은 이론의 기저에 깔린 철학적 전제와 세계관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메타패러다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이론 간의 갈등과 대립을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메타패러다임에 대한 이해는 이론 학습의 깊이를 더하고 이론 간 비교와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이론의 적용이론의 실천적 적용 방안을 탐구하는 것은 이론의 현실 설명력과 유용성을 평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론이 현실 문제 해결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어떤 방식으로 실천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론의 실용성과 타당성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론의 적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쟁점과 한계를 파악하여 이론의 발전 방향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론의 적용 방안에 대한 고찰은 이론 학습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6. 이론 평가이론 평가는 이론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과정입니다. 이론의 내적 일관성, 경험적 검증 결과, 설명력과 예측력, 실천적 적용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론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론 평가를 통해 이론 간 비교와 통합의 기준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론 평가는 이론 학습의 마지막 단계이자 가장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Margaret A. Newman-의식확장으로서의 인간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18
-
A+ 2020 간호이론 -마가렛뉴먼 의식확장이론 PPT 21페이지
Margaret Newman 간호이론01. 서 론Margaret Newman 이론 현재 간호학 개념적 모델들 - 인간의 현상 상호작용적 구성 성분 강조 Margaret Newman - 메타패러다임 ‘ 건강 ’ 강조 Newman 이론의 주요개념 - 건강 , 패턴 , 의식 , 시간과 공간 건강을 바라보는 새로운 방법에서 통찰력 제공 . 정신질환분야 환자의 의식 확장 하는 간호중재 - 환자 스스로 건강상태를 무심하게 지나쳐 발생할 합병증을 예방 완화하도록 실무에 적용 . 정신질환 분야 중 정서변화 두드러지는 청소년을 연 구 대상자로 한 ...2020.11.20· 21페이지 -
마가렛 뉴만, 의식 확장으로서의 건가 33페이지
Health as expanding consciusness Margaret A. NewmanMargaret A. Newman 1933-2018 1933 년 10 월 10 일 테네시 주 멤피스 출생 미국의 간호사 , 대학교수 및 간호이론가 대학원에서 그녀의 멘토 중 한명인 마사로저스의 초기이론 작업에 영향을 받은 확장 의식으로서의 건강이론 저술 America Academy of Nursing 의 전설 !Margaret A. Newman 1933-2018 Henry Louis “Lou” Gehrig 1903-1941 “ 그녀가 죽기 전...2023.05.16· 33페이지 -
간호이론 마거릿 뉴먼 26페이지
마가렛 뉴만 의식 확장으로서의 건강01 이론가 소개 이론의 배경 02 주요 개념 및 정의 03 경험적 증거의 이용 04 주요 가정 ( 간호 , 인간 , 환경 , 건강 ) 05 이론적 주장 06 간호학계의 수용 07 비평 Contents“ 우리는 건강의 새로운 비전을 포용해야 한다 . 돌봄은 질병의 범주를 포괄하고 초월하는 건강의 개념과 연결되어야 한다 . 의식확장으로서의 건강이론은 이러한 관점을 제공한다 .” (Newman,2008) Margaret A.Newman 01 이론가의 소개 (1933-2018) - 가장 최근 이론 가운데...2024.05.23· 26페이지 -
간호이론가 : 마가렛 뉴만 (Magaret A. Newman) 의식확장의 건강이론 11페이지
Margaret A. NewmanHealth as Expanding Consciousness과 목 :교 수 :학 번 :이 름 :학 과 :제출일 :목 차1. REDENTIALS AND BACKGROUND OF THE THEORIST2. THEORY OVERVIEW3. EXPLICIT ASSUMPTION4. IMPLICIT ASSUMPTION5. MAJOR CONCEPTS & DEFINITIONS6. CORRELATION OF CONCEPT7. THEORY CRITIQUE참고문헌Margaret A. Newman (1933~ )1. CR...2013.10.28· 11페이지 -
간호이론가 마가렛 뉴만 10페이지
제 목 :마가렛 뉴만과 목 명 :간호학기초 사회심리학 과 :간호학과학 번 :이 름 :제 출 일 :담당교수 :목차배경?Margaret A. Newman 의 약력?이론의 배경?의식확장의 기저 이론- Martha Rogers- Bohm의 질서 이론- Teihard de Cahrdin- Beteson- Young의 인간진화 이론- tzhak Bentov- Prigogine의 분산구조- Richard Moss- D. Johnson간호이론?기본개념?기본가정메타 파라다임?인간?환경?건강?간호이론의 적용?실무?이론의 평가?이론의 전망마가렛 뉴만 ...2013.04.12· 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