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 실습일지
본 내용은
"
아동 실습일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18
문서 내 토픽
-
1. 신생아 저혈당신생아의 정상 혈당은 40-45이며, 40 이하일 경우 저혈당으로 간주합니다. 증상이 없는 신생아는 모유수유 또는 이른 수유를 통해 저혈당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수유 후 1시간 뒤에 다시 혈당을 측정했을 때 저혈당이 회복되지 않으면 수액 치료를 진행합니다. 혈당이 25mg/dl 미만일 경우 응급으로 10% 포도당 2ml/kg를 1분 이상에 걸쳐 주입하고, 지속적인 수액 속도는 6-8mg/kg/min을 유지합니다. 수액 치료 중에는 30분 또는 1시간마다 혈당을 다시 검사해야 합니다. 지속적인 포도당 주입에도 저혈당이 지속되는 경우 hydrocortisone, diazoxide, octreotide, glucagon 등의 약물을 추가로 투여할 수 있습니다.
-
2. 일시적 신생아 빠른 호흡신생아에게 일시적으로 빠른 호흡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일시적 신생아 빠른 호흡이라고 합니다. 이 경우 호흡 속도가 분당 80회 이상이 되며, 흡인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금식하고 수액으로 영양을 공급합니다. 호흡 속도가 분당 60-80회이고 뚜렷한 호흡 곤란이 없다면 비위관을 통해 수유를 시도하며, 60회 미만일 경우 경구 수유를 고려합니다. 산소 요법, CPAP 등의 치료를 통해 신생아의 호흡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3. 선천성 수신증선천성 수신증은 태아 중 0.4%에서 발생하며, 대부분 출생 후 1년 이내에 자연 소실됩니다. 선천성 요로폐쇄 환아의 경우 소아기에 수술을 받더라도 성인이 되어서 신장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 선천성 수신증이 확인되면 출생 72시간 이후에 신장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고, 여전히 수신증이 확인되면 생후 2-6주 경에 배뇨성 요도 조영술을 시행하여 방관 요관 역류 여부를 확인합니다. 역류가 없다면 신장의 기능 및 막힌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이뇨성 신 주사 스캔 검사를 생후 4-8주 경에 시행합니다.
-
4. 신생아 토혈신생아가 태어난 직후 피가 섞인 토를 하는 경우, 대부분 산모의 피를 삼켰기 때문입니다. 3cc 정도의 산모 피를 삼켰더라도 첫 24시간 내에 피가 섞인 변을 볼 수 있고, 삼킨 양이 많으면 생후 3일까지도 피가 섞인 변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신생아의 위 또는 장에서 출혈이 되어 피가 섞인 토나 변이 나오는 경우에는 반드시 의사 진찰이 필요합니다. 이 경우 위세척을 통해 출혈 부위를 확인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
5. 신생아 황달생후 첫 주 내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황달이 관찰됩니다. 대부분 큰 문제 없이 좋아지지만, 심한 황달을 치료하지 않으면 신경계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광선 요법은 신생아 황달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피부에 축적된 빌리루빈이 빛을 쬐면 그 형태가 변하여 배설되도록 합니다. 광선 요법 중에는 탈수가 오기 쉬우므로 수분을 충분히 공급해야 하며, 안대를 착용하여 눈을 보호해야 합니다.
-
6. 신생아 골절출산 시 혹은 쇄골의 외상으로 인해 신생아 골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로 어깨, 상완골, 대퇴골 등에서 발생하며, 대부분 퇴원 시 또는 소아과 방문 시 진단됩니다. 골절된 부위를 속싸개나 스와들업 스와들미로 고정해주고, 겨드랑이 사이로 손을 넣어 안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대부분 자연 치유되지만, 일부 신생아는 병적 골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
7. 신생아 패혈증생후 1개월 미만의 신생아에서 발열, 저체온, 빈맥, 빈호흡 등의 증상이 있고 혈액 배양 검사에서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이 자라는 상태를 신생아 패혈증이라고 합니다. 보챔, 늘어짐, 체온 불안정, 관류 장애, 저혈압, 구토, 호흡 곤란, 무호흡, 경련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와 소변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 항생제 치료와 함께 전해질 이상 및 대사성 산증 교정, 수액 공급, 기계 호흡, 수혈 등의 보존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
8. 신생아 요로감염신생아에게 발열, 보챔, 수유 거부 등의 증상이 있을 때 요로감염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여아가 남아보다 더 많이 발생하며, 요도구와 회음부 주변의 균이 요도를 통해 방광과 신장으로 들어가 감염을 일으킵니다. 소변 검사, 균 배양 검사, 필요 시 뇌척수액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 약 2주간 항생제 치료를 합니다. 요로감염이 반복되거나 요로기형이 있는 경우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
1. 신생아 저혈당신생아 저혈당은 신생아기에 발생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이는 신생아의 혈당 수치가 정상 범위보다 낮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저혈당은 신생아에게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신생아 저혈당의 원인은 다양하며, 산모의 당뇨병, 조산, 태아 성장 지연 등이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신생아 저혈당 관리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혈당 모니터링, 수유 및 포도당 공급 등의 치료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저혈당의 장기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생아의 신경학적 발달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일시적 신생아 빠른 호흡일시적 신생아 빠른 호흡은 신생아기에 발생할 수 있는 호흡기 문제 중 하나입니다. 이는 신생아가 출생 직후 일시적으로 빠른 호흡을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대부분 출생 후 수 시간 내에 자연스럽게 호전되며,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빠른 호흡이 지속되거나 다른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폐 질환, 감염 등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신생아의 호흡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 시 의료진의 진찰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시적 신생아 빠른 호흡은 대부분 양성 경과를 보이지만, 신생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
3. 선천성 수신증선천성 수신증은 신생아기에 발생할 수 있는 신장 질환 중 하나입니다. 이는 신장 내부의 요로 폐쇄로 인해 요액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않아 신장이 확장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선천성 수신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신장 기능 저하와 요로 감염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천성 수신증 진단 시 신속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적 교정, 항생제 투여, 수액 공급 등이 있으며, 환아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이 선택됩니다. 선천성 수신증은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대부분 양호한 예후를 보이지만, 지속적인 관찰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
4. 신생아 토혈신생아 토혈은 신생아기에 발생할 수 있는 응급 상황 중 하나입니다. 이는 신생아가 구토 시 혈액이 섞여 나오는 현상을 말합니다. 신생아 토혈의 원인은 다양하며, 위장관 출혈, 식도 열상, 감염 등이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신생아 토혈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상황이므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수액 공급, 출혈 억제, 감염 관리 등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 토혈 발생 시 신속한 대응과 전문 의료진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장기적인 합병증 예방을 위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
5. 신생아 황달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흔히 발생하는 건강 문제 중 하나입니다. 이는 신생아의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가 높아져 피부와 눈이 노랗게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신생아 황달은 생리적인 현상으로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스럽게 호전되지만, 심한 경우 뇌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생아 황달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광선 치료, 수혈, 약물 투여 등이 있으며, 환아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방법이 선택됩니다. 신생아 황달은 대부분 양호한 예후를 보이지만,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
6. 신생아 골절신생아 골절은 출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급 상황 중 하나입니다. 이는 출산 시 과도한 힘이 가해져 신생아의 뼈가 부러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신생아 골절은 주로 쇄골, 상완골, 대퇴골 등에서 발생하며, 심한 경우 신경 손상이나 내부 장기 손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 골절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부목 고정, 석고 붕대 적용, 수술적 치료 등이 있으며, 환아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방법이 선택됩니다. 신생아 골절은 대부분 양호한 예후를 보이지만, 합병증 예방을 위해 지속적인 관찰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
7. 신생아 패혈증신생아 패혈증은 신생아기에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감염 질환 중 하나입니다. 이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의 병원체에 의해 전신 감염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신생아 패혈증은 신생아의 면역력이 약하고 감염에 취약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으며, 빠른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항생제 투여, 수액 공급, 호흡 관리 등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 패혈증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상황이므로, 신속한 대응과 전문 의료진의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장기적인 합병증 예방을 위해 지속적인 관찰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
8. 신생아 요로감염신생아 요로감염은 신생아기에 발생할 수 있는 비교적 흔한 건강 문제 중 하나입니다. 이는 요로계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하며, 신생아의 면역력이 약하고 요로계가 미성숙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 요로감염은 발열, 수유 거부, 구토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으며,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항생제 투여, 수액 공급, 요로 배액 등이 있으며, 환아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방법이 선택됩니다. 신생아 요로감염은 대부분 양호한 예후를 보이지만, 합병증 예방을 위해 지속적인 관찰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
지역아동센터 실습일지 (사회복지현장실습)1. 실습일지 작성 실습생으로서 지역아동센터에서 경험한 다양한 활동과 학습지도, 아동 케어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실습 기간 동안 배운 점, 어려웠던 점, 아동들과의 상호작용 등을 잘 정리하고 있다. 2. 아동권리 보호 유엔아동권리협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아동의 권리를 존중하고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아동의 의견 존중, 차별 금지, ...2025.05.06 · 사회과학
-
아동간호 실습일지 5개1. 아동간호 실습 실습일지에 따르면 실습생은 구로 우리아이들병원에서 5일간 아동간호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주요 활동으로는 주사실 실습, 활력징후 측정, 투약, 네뷸라이저 약물 준비 등이 있었습니다. 실습생은 이론 지식을 실제 임상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성찰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특히 아동 환자를 대할 때 부드러운 태도로 접근하고자 ...2025.01.22 · 의학/약학
-
4세 관찰일지 1월1. 유아관찰일지 유아관찰일지는 만 4세 유아 10명(남아 5명, 여아 5명)을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 관찰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신체운동, 의사소통, 자연탐구, 사회관계, 예술경험, 기본생활습관의 6개 영역에 대한 관찰 내용을 상세하게 정리하였습니다. 2. 아동관찰일지 아동관찰일지는 만 4세 유아 10명(남아 5명, 여아 5명)을 1월 1일...2025.04.27 · 교육
-
사회복지 실습일지 예시샘플 2가지 - 총 74페이지 분량 160시간 실습1. 실습일지 1 (2023년 자료) 실습일자 2023년 6월 26일 실습생 누적 실습 시간 4시간(총 4시간) 실습지도자 실습목표 오리엔테이션, 기관 현황 파악, 실습 지침 파악, 개별 면담 실습일정 시간 실습내용 비고 17:30~18:00 휴게시간 18:00~19:00 오리엔테이션 및 센터소개 19:00~20:00 기관 현황 파악 20:00~21:00 ...2025.01.18 · 사회과학
-
사회복지현장실습 실습일지 6회1. 사회복지현장실습 실습일지(6회)에서는 실습생이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진행하면서 겪은 다양한 활동들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실습생은 실습기관 방문 지도, 지역사회 홍보 활동, 업무용 PC 세팅 지원, 식사 지도 및 뒷정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습니다. 실습생은 이를 통해 사회복지현장의 실제 업무와 아동복지의 연계성, 지역사회 분석, 기관의 특성과 역할 등에 대...2025.05.12 · 사회과학
-
사회복지현장실습 실습일지 10회1. 사회복지현장실습 이 문서는 사회복지현장실습 과정에서 작성한 실습일지 10회차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실습생은 주간회의, 온라인 홍보 활동, EBS 온라인 교육 컨텐츠 활용 방안 검토, 아동 식사 지도 및 귀가 지원 등 다양한 실습 활동을 수행했습니다. 실습생은 EBS 온라인 교육 컨텐츠를 센터 교육 프로그램에 활용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좋은 선택이라고...2025.05.12 · 사회과학
-
아동간호 임상실습일지 19페이지
5) 임상실습일지실습일자 : 2022 년 6 월 13 일 ( 월 요일)실습병원 및 병동 : 병원 7층 병동주제 : 소아과 병동 및 병실 구조와 배치, 물품, 기구 파악관찰 및 학습 내용- 8:00 병동 전체 BT 측정: 703호 36.7℃ / 709호 37.3℃ / 710호 37.0℃ / 711호 36.9℃ / 712호 36.2℃ / 717호 36.9℃ / 718호 36.9℃- 외래 Orientation: 6층 예진 2명, 6층 접종실 1명, 7층 병동 2-3명, 9층 영유아발달실 시간 확인 후 학생들끼리 돌아가면서 이동함.- 퇴원...2024.03.15· 19페이지 -
아동건강간호학실습 임상실습일지 11페이지
아동건강간호학실습일지임상실습일지실습기관 및 장소 : 000병원일자0000년 0월 00일 월요일학번:성명:주제: V/S학습내용성인의 혈압 정상범위는 120/80이지만 소아청소년의 혈압은 나이대 별로 조금씩 다르다. 성인 혈압계와 어린아이들이 쓰는 혈압계가 다르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 본 것은 처음이라 신기하였다. 그리고 팔에서만 혈압을 재는 것이 있을 줄 알았는데, 손목에서도 혈압을 잴 수 있다는 것에 놀랐다. 아주 간편하고 팔보다 더 빠르게 측정이 되어서 너무 편하고 좋았다. 고혈압 환자들은 집에서 손쉽게 혼자 측정하기에도 ...2024.10.28· 11페이지 -
아동간호실습 실습일지 7페이지
일자실습장소성명실습내용? 아동의 입원준비① 신환이 병동에 올라오게 되면 키와 몸무게를 먼저 측정한다.(몸무게는 아동에게 투여될 약물용량을 결정한다.)② 병실 안내해 준 후 아동에게 입원팔찌를 착용하고 침상발치에 아동의 이름표를 부착한다.③ v/s을 측정한다. (혈압, 맥박, 호흡, 체온, 산소포화도)④ 간호사선생님께 notify한 후 의사 처방에 따라 투약, 검사처치를 시행한다.? nebulizer 사용법① 분무기에 약물을 주입한다.② 연결 튜브와 마우스 피스 또는 마스크를 분무기에 연결한다.(튜브의 양쪽 끝에 달려 있는 자주색 마...2020.06.27· 7페이지 -
아동간호 실습 일지 10페이지
1. 임상실습일지일자학번 :성명 :주제피내주사학습내용피내주사(intradermal injections)는 표피 바로 아래 피부의 진피층에 0.1mL의 아주 적은 양의 약물을 투여한다. 주로 알레르기 검사나 투베르쿨린 반응검사에 이용된다. 피내주사의 주사부위는 아래팔의 내측면(inner lower arm), 흉곽상부(upper chest), 견갑골(scapulae)부위이다. 투베르쿨린 반응검사(TST, tuberculin skin test)는 주로 왼쪽 팔에 하고 다른 검사는 오른쪽 팔을 이용한다. 항생제 민감성 검사-AST(afte...2020.07.28· 10페이지 -
아동간호학 실습일지 4페이지
아동간호학 교내실습(1주) 실습일지실습분반제출일학번이름실습일수실습내용3일실습목표: 모유 유축과 보관, 부모 교육에 대해 알아보자실습내용: Bulb Syringe, Oxygen Hood, Skin-to-Skin Contact, Breast Milk(collection&storage), Gavage Feeding, Central Venous Catheters(line&site care), Family TeachingBulb Syringe은 힘을 무리하게 주지 않고 구강부터 시작하여 비강에 있는 분비물을 제거한다. 얼굴 전체를 흐르는 가...2024.07.13·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