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대학교 동물번식학및실습 실험레포트1
본 내용은
"
중앙대학교 동물번식학및실습 실험레포트1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15
문서 내 토픽
-
1. Mouse의 Epididymis 및 sperm 채취 과정수컷 쥐의 정자를 얻는 곳은 cauda epididymis이다. Testis에서 완전 성숙되지 않은정자가 cauda epididymis에 도달하여 완전히 성숙되고 모여있기 때문에 cauda epididymis를 선택하였다. 채취 과정은 알코올로 균과 바이러스 제거, 복막까지만 자르고 껍질 벗기기, 내장 보호하며 자르기, 생식기 line 확인, cauda epididymis duct 확인 및 결체조직 제거, 지방 제거 등으로 이루어진다.
-
2. Epididymis 내 정자 성숙 과정Epididymis는 정자의 성숙과 저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Epididymis 내에서 정자가 성숙하는 과정은 세 가지 주요 단계로 나뉜다. Initial segment에서 정자는 운동성을 획득하고, caput에서 수정능력을 획득하며, corpus와 cauda에서 기능적 성숙을 거친다. 정자가 정소를 통과하면서 정소세포도 농축되어 저장되며, 약 2-3주 동안 정자가 완전히 발달한다.
-
3. Hemocytometer를 이용한 cell counting 과정 및 계산 방법Hemocytometer를 이용한 cell counting은 일정량의 세포 부유액을 눈금이 있는 hemocytometer안에 넣고 눈금 안에 보이는 cell 수를 현미경으로 측정하여 단위 부피당 세포수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1mm2 한 칸의 volume은 0.0001ml이므로, count한 cell 수에 104를 곱하면 sample 1ml당 cell 수를 계산할 수 있다. 우리 조는 평균 74개의 cell을 count하여 sample 1ml 안에 7.4x105개의 cell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4. CASA(Computer-assisted semen analysis)의 목적 및 과정CASA는 정자 분석에 최적화된 프로그램으로, 정자의 수, 운동성, 형태 등 다양한 매개변수를 평가한다. 정액 표본을 고해상도 비디오가 부착된 현미경에 놓고, 비디오 카메라가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달하면 소프트웨어가 분석한다. CASA를 통해 정확하고 재현 가능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정자의 운동성 등 가임력 평가에 유용하다. 주요 매개변수로는 VCL, VSL, VAP, Straightness, Mean amplitude of head lateral displacement 등이 있다.
-
5. CTC/Hoechst 33258 double staining의 목적과 원리CTC(Chlortetracycline)는 정자의 capacitation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며, 정자 내부로 칼슘이온이 들어오면 CTC와 결합하여 형광을 띤다. Hoechst 33258은 죽은 정자의 핵막만 통과할 수 있어, 죽은 정자의 DNA와 결합하여 푸른빛을 띤다. 따라서 CTC/Hoechst 33258 double staining을 통해 정자의 capacitation 상태와 생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6. CTC/Hoechst 33258 double staining의 4가지 패턴 양상CTC/Hoechst 33258 double staining 결과, 4가지 패턴이 관찰된다. F pattern은 capacitation과 acrosome reaction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 B pattern은 capacitation만 진행된 상태, AR pattern은 capacitation과 acrosome reaction이 모두 진행된 상태, D pattern은 죽은 정자 상태를 나타낸다. 우리 조의 관찰 결과, D pattern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고 AR pattern은 거의 관찰되지 않아, 대부분의 정자가 capacitation과 acrosome reaction이 진행되지 않은 상태임을 알 수 있다.
-
1. Mouse의 Epididymis 및 sperm 채취 과정Mouse의 epididymis는 정자 성숙과 저장을 위한 중요한 기관입니다. 정자는 고환에서 생성되어 epididymis를 통해 이동하면서 점진적으로 운동성과 수정능력을 획득합니다. 정자 채취 과정에서는 epididymis를 적출하고 절개하여 정자를 추출하는데, 이 과정에서 정자의 생존력과 품질을 최대한 보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정자 채취 방법이 사용되며, 각 방법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
2. Epididymis 내 정자 성숙 과정Epididymis 내에서 정자는 복잡한 생리학적 변화를 거치면서 성숙합니다. 정자는 고환에서 생성된 후 epididymis의 caput, corpus, cauda 부위를 거치면서 운동성, 수정능력, 형태 등이 점진적으로 향상됩니다. 이 과정에서 정자 표면의 단백질 변화, 미토콘드리아 활성 증가, 핵 응축 등이 일어나며, 이는 정자의 기능적 성숙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정자 성숙 과정에 대한 이해는 불임 치료, 피임약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
3. Hemocytometer를 이용한 cell counting 과정 및 계산 방법Hemocytometer는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 수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도구입니다. 이 방법은 정자 수, 혈구 수 등 다양한 생물학적 샘플의 세포 농도를 측정하는 데 널리 사용됩니다. 정확한 세포 계수를 위해서는 샘플 희석, 챔버 충전, 현미경 관찰 등 표준화된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또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세포 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이러한 세포 계수 기술은 생물학 연구, 진단, 품질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입니다.
-
4. CASA(Computer-assisted semen analysis)의 목적 및 과정CASA는 정자의 운동성, 농도, 형태 등을 자동으로 분석하는 기술입니다. 이 방법은 기존의 수동 분석 방법에 비해 객관성, 정확성, 재현성이 높아 불임 진단 및 치료 모니터링에 널리 사용됩니다. CASA 분석 과정에는 정자 샘플 준비, 현미경 영상 촬영,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를 통한 자동 측정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정자의 운동성 매개변수, 농도, 형태학적 특성 등을 신속하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CASA는 불임 진단, 정자 품질 평가, 신약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
5. CTC/Hoechst 33258 double staining의 목적과 원리CTC/Hoechst 33258 double staining은 정자의 핵 응축 상태와 세포막 무결성을 평가하는 형광 염색 기법입니다. Hoechst 33258은 DNA에 결합하여 핵을 염색하고, CTC(Chlortetracycline)는 세포막의 Ca2+ 결합 부위를 표지합니다. 이 두 가지 염색을 통해 정자의 핵 응축 정도와 세포막 상태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정자의 기능적 성숙도와 수정능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며, 불임 진단, 정자 선별, 체외수정 등에 활용됩니다. 또한 정자 동결 보존 과정에서의 손상 정도를 확인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
6. CTC/Hoechst 33258 double staining의 4가지 패턴 양상CTC/Hoechst 33258 double staining에서는 정자의 핵 응축 상태와 세포막 무결성에 따라 4가지 패턴이 관찰됩니다. 1) F 패턴: 핵이 약하게 염색되고 세포막이 약하게 염색되어 미성숙 정자를 나타냅니다. 2) B 패턴: 핵이 강하게 염색되고 세포막이 약하게 염색되어 성숙한 정자를 나타냅니다. 3) AR 패턴: 핵이 강하게 염색되고 세포막이 강하게 염색되어 acrosome 반응이 일어난 정자를 나타냅니다. 4) NA 패턴: 핵과 세포막이 모두 약하게 염색되어 사멸한 정자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4가지 패턴 분석을 통해 정자의 성숙도와 기능적 상태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