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대학교 사료학 및 실습 중간고사 서술형 예상문제
본 내용은
"
중앙대학교 사료학 및 실습 중간고사 서술형 예상문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15
문서 내 토픽
-
1. 사료 고를 때 고려해야 할 요소영양소 공급과 이용성, 탄단지 +조섬유(반추동물 필수), 기호성, 소화율, 사료와 동물 products의 안전성, farm-to-table 취급의 간편성, pellet cubes but 영양소 파괴, 경제성, 친환경 동물 산업, 사료효율 극대화 -> max 인, AA balanced, reduce odor = circular farming순환형 농업
-
2. 한국의 사료산업 형태부업적 축산 -> 전업적 축산, 유축농업 = 작물 재배 + 가축 사육 = circular farming, 공장형 축산(factory-type livestock farming) -> 대다수 사료 원료 수입 에 의존
-
3. 사료 원료 영양가 비교Corn과 soybean meal 혼합 이유, sorghum의 장단점, barley를 돼지에게 급여했을 때의 효과, 말에게 좋은 oat, rice bran의 두 가지 형태 비교, tapioca의 장단점, 사료에 지방을 사용하는 이유, 대두박의 반추동물 사료 가치, 면실박의 낙농 사료 가치, 식물성 단백질 사료의 단점
-
4. 사료작물 재배 시 주의사항수단그라스, 호밀, 조(Japanese millet) 재배 시 주의사항, oat와 rape 혼파 이유, 옥수수 수확 시기
-
5. 혼파 재배의 장점과 원리혼파 재배의 장점과 기본 원리
-
6. 인공건조법의 장점인공건조법의 장점
-
7. 조사료 생산 및 이용1번 수확물 사용 이유, 사일리지의 장단점, 절단 길이의 중요성, 밀봉과 압축의 목적, pH 4.0 이하 유지 방법, 사일리지 발효 패턴, 6단계 발효 과정 중 5단계 이후 6단계가 일어나는 조건, 헤일리지 주의사항
-
8. 사료첨가제Thiouracil과 thyroprotein의 차이, calcium phosphate의 단점
-
1. 주제2: 한국의 사료산업 형태한국의 사료산업은 대규모 배합사료 공장 중심으로 발전해왔습니다. 주요 사료 회사들이 대량 생산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축산 농가에 안정적인 사료 공급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소규모 농가의 자가 사료 생산과 유기 사료 등 다양한 형태의 사료 공급 체계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축산 농가의 요구에 부응하고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향후 대규모 공장 생산과 소규모 자가 생산이 균형을 이루는 방향으로 사료산업이 발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2. 주제4: 사료작물 재배 시 주의사항사료작물을 재배할 때는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이 필요합니다. 첫째, 토양 특성과 기후에 적합한 작물을 선택해야 합니다. 둘째, 적절한 파종량과 파종 시기를 준수해야 합니다. 셋째, 시비와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넷째, 병해충 및 잡초 관리에 힘써야 합니다. 다섯째, 적절한 수확 시기와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여섯째, 수확 후 건조, 저장, 가공 등의 과정을 잘 관리해야 합니다. 이러한 주의사항을 잘 지켜 고품질의 사료작물을 생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주제6: 인공건조법의 장점인공건조법은 사료작물의 품질 향상과 저장성 개선에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신속하고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여 영양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둘째, 기상 조건에 관계없이 연중 건조가 가능하므로 안정적인 사료 공급이 가능합니다. 셋째, 병원균 및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여 사료의 위생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넷째, 건조 후 압축 및 펠릿화가 용이하여 저장과 운반이 편리합니다. 다섯째, 자동화 설비를 통해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인공건조법은 사료 생산의 효율성과 품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
4. 주제8: 사료첨가제사료첨가제는 사료의 영양 가치와 동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사료첨가제로는 항생제, 효소, 프로바이오틱스, 유기산, 광물질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소화 흡수 개선, 질병 예방, 생산성 향상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그러나 과도한 사용은 축산물 안전성과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사용 기준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향후에는 천연 첨가제 개발, 항생제 대체제 연구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위한 사료첨가제 활용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