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 15장 심장장애 대상자 간호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15장 심장장애 대상자 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17
문서 내 토픽
-
1. 심장의 구조와 기능심장은 무게가 약 300g 정도의 근육기관으로, 심장의 위치는 종격동의 중앙과 흉곽의 왼쪽에 위치하며, 심장은 좌우 사이막, 각 심방과 심실로 구성된 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심장은 1분간 약 72회 정도 박동하며, 1회 약 70mL 정도의 혈액을 박출합니다. 심장의 전도체계는 동방결절, 방실결절, 히스속, 푸르킨예섬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2. 심장의 기계적 특성심박출량은 박동량과 심박동수의 곱으로 계산되며, 정상 범위는 4~8L/min입니다. 심장지수는 심박출량을 체표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정상 범위는 2.7~3.2L/min/m2입니다. 박동량은 이완기말 혈액량에서 수축기말 혈액량을 뺀 값입니다. 전부하, 후부하, 심근 수축력이 박동량에 영향을 줍니다.
-
3. 울혈성 심부전울혈성 심부전은 심장이 대사요구에 충족할 만큼 충분한 혈액을 펌프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좌심부전과 우심부전으로 구분되며, 병태생리는 전부하 증가, 후부하 증가, 심근 수축력 감소 등입니다.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피로, 부종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흉부 X선, 심초음파, 혈액검사 등을 시행합니다. 치료는 약물요법, 수술요법, 보조기구 사용 등이 있습니다.
-
4. 급성 폐수종급성 폐수종은 폐의 간질 조직이나 폐포 내에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폐울혈이 극심하고 가스교환장애 및 호흡부전이 초래되는 상태입니다. 주요 원인은 심부전이며, 증상으로는 급격한 호흡곤란과 질식감이 있습니다. 치료는 순환혈류량 감소, 호흡 증진을 목표로 하며, 약물요법과 기계환기 등이 사용됩니다.
-
5. 관상동맥질환관상동맥질환은 심장(관상)동맥이 심근이 요구하는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해 심근에 국소 빈혈이 초래되는 상태입니다. 주요 위험요인은 고지혈증, 고혈압, 흡연, 당뇨병 등이며,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이 포함됩니다.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 심전도, 스트레스 검사, 영상검사 등을 시행하며, 치료는 약물요법, 경피적 중재술, 관상동맥 우회술 등이 있습니다.
-
6. 부정맥부정맥은 심장의 전기적 자극전도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심장박동장애입니다. 동빈맥, 동서맥, 심방세동, 심실빈맥, 심실세동 등이 있으며, 증상으로는 심계항진, 실신, 호흡곤란 등이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며, 치료는 약물요법, 심장율동전환술, 고주파 절제술 등이 있습니다.
-
7. 염증성 심장질환감염성 심내막염은 심장 내막이나 심장 판막에 생긴 염증이며, 주요 원인균은 녹색사슬알균입니다. 증상으로는 발열, 관절통, 심잡음 등이 있습니다. 심근염은 심근의 염증으로 발열, 호흡곤란, 부정맥 등이 나타나며, 심낭염은 심낭의 염증으로 흉통, 심낭마찰음 등이 있습니다. 치료는 항생제 투여, 스테로이드 사용, 수술 등이 있습니다.
-
8. 판막질환판막질환에는 승모판막협착증, 대동맥판막협착증, 승모판막폐쇄부전증, 대동맥판막폐쇄부전증 등이 있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심계항진, 실신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심초음파, 심장도관술 등을 시행합니다. 치료는 약물요법, 판막성형술, 판막치환술 등이 있습니다.
-
9. 심근병증심근병증에는 확장심근병증, 비대심근병증, 제한심근병증 등이 있습니다. 확장심근병증은 심실이 확대되어 심박출량이 감소하며, 비대심근병증은 심실벽이 비후되어 좌심실 유출구가 폐쇄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제한심근병증은 심실벽이 과도하게 단단해져 이완기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입니다. 치료는 약물요법, 수술요법, 심장이식술 등이 있습니다.
-
10. 심장수술심장수술에는 체외순환을 이용한 수술, 최소 침습적 수술 등이 있습니다. 수술 과정에는 심폐기 사용, 인위적 심정지, 심장 노출 및 수술 등이 포함됩니다. 수술 전 간호에는 검사결과 확인, 수술과정 설명, 심리적 준비 등이 포함되며, 수술 후 간호에는 활력징후 모니터링, 합병증 예방, 조기 활동 증진 등이 포함됩니다.
-
1. 주제2: 심장의 기계적 특성심장은 우리 몸에서 가장 강력한 근육 중 하나입니다. 심장은 하루에 약 10만 번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이를 통해 혈액을 몸 전체로 보냅니다. 이러한 심장의 기계적 특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심장의 수축력이 약해지면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다양한 심장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심장 근육의 경직도가 증가하면 심장이 충분히 확장되지 않아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심장의 기계적 특성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주제4: 급성 폐수종급성 폐수종은 심장 기능 저하로 인해 폐에 액체가 과도하게 축적되는 심각한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호흡 곤란, 기침, 가슴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급성 폐수종은 심장 질환, 신장 질환,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며, 산소 공급, 이뇨제 투여, 심장 기능 개선 등의 치료법이 사용됩니다. 급성 폐수종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예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
3. 주제6: 부정맥부정맥은 심장의 정상적인 리듬이 깨지는 질환입니다. 심장이 너무 빨리 뛰거나 느리게 뛰는 등 불규칙한 심장 박동이 나타납니다. 부정맥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도 매우 다양합니다. 가벼운 부정맥부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부정맥까지 다양합니다. 부정맥은 약물 치료, 시술, 수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활 습관 개선, 스트레스 관리 등도 중요합니다. 부정맥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
4. 주제8: 판막질환판막질환은 심장 내 판막의 기능 이상으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판막이 좁아지거나(협착) 역류가 발생하면 심장 기능이 저하됩니다. 대표적인 판막질환으로는 대동맥판막 질환, 승모판막 질환, 삼첨판막 질환 등이 있습니다. 판막질환의 원인은 선천적 요인, 류마티스열, 퇴행성 변화 등 다양합니다. 증상으로는 호흡 곤란, 피로감, 부종 등이 나타납니다. 약물 치료, 중재 시술, 수술 등 다양한 치료법이 사용되며, 증상 관리와 함께 생활 습관 개선도 중요합니다. 판막질환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
5. 주제10: 심장수술심장수술은 심장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되는 수술입니다. 대표적인 심장수술로는 관상동맥 우회술, 판막 수술, 심장 이식술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수술은 심장 기능을 개선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심장수술은 매우 복잡하고 위험한 수술이지만, 최근 수술 기법과 장비의 발전으로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수술 전후 관리와 재활 치료도 매우 중요합니다. 심장수술은 심각한 심장 질환을 치료하는 마지막 수단이지만, 적절한 시기에 시행한다면 환자의 예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
성인간호학 정리, 혈관장애 대상자 간호, 혈액계 장애 대상자 간호, 구조와 기능, 자료수집, 간호, 고혈압, 동맥질환, 정맥질환, 림프질환, 적혈구질환, 백혈구질환, 응고장애 48페이지
성인간호학과목명성인간호학(3)교수명학년/분반학 번이 름제출일혈관 및 혈액장애 대상자 간호목 차Chapter16 혈관장애 대상자 간호Ⅰ. 구조와 기능Ⅱ. 자료수집Ⅲ. 간호1. 고혈압2. 동맥질환3. 정맥질환4. 림프질환Chapter17 혈액계 장애 대상자 간호Ⅰ. 구조와 기능Ⅱ. 자료수집Ⅲ. 간호1. 적혈구 질환2. 백혈구 질환3. 응고장애Chapter16 혈관장애 대상자 간호Ⅰ. 구조와 기능혈관계는 동맥, 정맥, 모세혈관, 림프관으로 되어 있음. 동맥과 정맥은 단순히 혈액이 지나가는 통로 역할을 하고 모세혈관은 조직에 영양분을 공급...2022.12.26· 48페이지 -
신경계 장애 대상자 간호사정 17페이지
2020학년도2학기. 성인간호학(4)개별과제 1.신경계 장애 대상자의 간호사정과목명성인간호학(4)담당교수학년 / 반학번이름제출일자E-mailmobile목 차? 신경계 장애 대상자의 간호사정1) 주관적 자료 1 - 2- 일반적 특성- 현재병력- 과거력- 가족력- 기타2) 객관적 자료 2 - 14- 신체사정- 진단검사- 기타# 참고문헌 15? 신경계 장애 대상자의 간호사정1. 주관적 자료- 일반적 특성연령, 성별, 인종, 출생지, 현재 거주지, 결혼상태, 종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다.일부 신경계 장애는 특정한 연령층에서 발생하여 노인에...2021.09.22· 17페이지 -
[성인간호학 실습 A+] 내과계 공통 과제 22페이지
성인간호학 I 실습사전학습 보고서과 목 명성인간호학I 실습실습기관지도교수학 번이 름제 출 일ㅇㅇㅇ 대학교< 목차 >? 공통과제 ----------------------------------------------------- 1? 참고문헌 ----------------------------------------------------- 22? 공통과제1. 활력징후? manual T/P/R, BP측정 및 기록a. 의미 ? t/p/r 은 각각 체온, 맥박, 호흡을 지칭하며 이와 더불어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활력징후 측정의 기본 항목이다. ...2023.03.14· 22페이지 -
성인간호학 심혈관계 심부전 간호과정 CASE STUDY 5페이지
간호진단(1) 빈맥, 부종, 호흡곤란으로 나타나나는 심근 기능 장애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과학적 근거]심박출량 감소란 신체의 대사요구를 충족시키기에 심장으로부터 박출되는 혈액량이 부족한 상태로 수축력의 변화, 전·후부하의 변화, 전기·생리적 문제와 관련이 있다.[자료수집]·객관적 자료- BP(142/88), PR(105), RR(18), BT(36.6°C)- 1년 전 관상동맥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 Left circumflex artery에 50%의 협착(stenosis)- 최근 2개월 전부터는 운동하는 ...2024.04.25· 5페이지 -
성인간호학 실습 확장성 심근병증 심박출량 감소 간호과정 보고서 6페이지
[대상자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계획을 수립하시오] 간호사정 간호진단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S date] “숨쉬기 불편해” “어지러워” “가끔씩 심장이 조이는 것 같은 통증이 느껴져” “밤새 기침이 심해서 잠을 잘 못 잤어” [O data] 1. 14년부터 DCMP, CHF, Angina, A-fib 진단받고 CI f/u 2. V/S: 126/93- 93 - 18회- 36.6℃, SpO2 98% 6/ 14 6/ 15 6/ 16 6/ 17 Hb (g/dL) 10.2 10.4 10.3 10.2 3. Hb 6/1...2024.06.20·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