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장로교회의 종말론 레포트
본 내용은
"
한국 장로교회의 종말론 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15
문서 내 토픽
  • 1. 평양 장로회신학교의 종말론 전통
    한국 개신교 선교의 시작은 1884년을 기점으로 삼지만, 본격적인 장로교 선교는 1885년 부활주일에 아펜젤러와 더불어 한국에 온 호레이 언더우드(Horace Underwood, 1859-1916)로부터 시작되었다. 평양 선교부를 개척한 마포 삼열(Samuel Austin Moffett, 1864-1939)선교사가 800명이 넘는 한국인 목회자들을 양성하여, 초기 한국 교회의 모판의 역할을 잘 감당해내었다. 1925년에 이르러 최초의 한국인 신학교수 남궁혁이 임용되기 전까지 25년간은 전적으로 선교사 교수들이 신학 교육을 주도했다.
  • 2. 해방 이전 한국 장로교 목사들의 종말론
    마포삼열을 위시하여, 기일, 배위량, 소안론, 이눌서 선교사 등이 종말론과 관련 있는데, 모두 다 전천년설 신앙자들이었다고 하는 점과 그리고 그들이 출간하거나 번역한 종말론 저술들 모두가 세대주의 전천년설을 따르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길선주 목사, 주기철 목사, 손양원목사, 주남선 목사의 종말론 역시 대체로 세대주의 전천년설을 따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 3. 구례인(John C. Crane, 1888-1964)선교사의 종말론
    구례인의 신학에 대한 논의는 희소하나, 그의 주저 『조직신학』의 마지막 부분인 종말론을 분석 개관함을 통해서 우리는 그가 미국 장로쇼 신학자들이었던 로버트 댑니, 핫지 부자와 화란 께 미국 신학자 루이스 벌코프의 저술들에 크게 의존하여 신학 작업을 했음을 확인할수 있었고, 미국남북장로교회가 공통적으로 표준문서로 중시했던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도 존중하고 있다.
  • 4. 죽산 박형룡과 구례인의 천년기론에 대한 연구
    죽산은 역사적 전천년설을 예장합동의 종말론 전통이라고 명시적으로 밝혔다. 구례인선교사의 무천년기론은 죽산의 역사적 전천년설에 비해 총신과 예장합동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죽산과 구례인의 천년기론의 차이는 지나치게 강조된 때도 있지만, 현재로선 극단적인 대립이 아니라 양립가능한 입장들로 서로 존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5. 죽산 박형룡 이후 총신 조직신학자들의 천년기론
    죽산의 은퇴이후 역사적 전천년설을 계승한 박아론, 총신재직시의 신복윤, 차영배, 천정웅, 김길성, 최홍석, 이상원 중 박아론, 김길성, 최홍석 세 교수의 견해를 보았다. 박아론은 죽산을 대변했고, 김길성은 관용적이었으며, 최홍석은 불필요한 논쟁과 불화를 피하고 세 가지 천년기론의 공통분모를 찾고자 했다. 또한 역사적 전천년설을 확집하던 서철원은 화란 유학시기에 무천년설로 입장을 바꾸었고, 정승원, 이상웅 교수는 무천년설의 입장을 취하되 역사적 전천년설이나 후천년설에 대해 관용적 입장을 가지고 있다.
  • 6. 유대인의 미래적 회복에 관한 죽산 박형룡의 입장 고찰과 신학적인 평가
    죽산은 선교사의 영향을 받아 종말론을 형성하였고 1929년에 쓴 논문을 통해 죽산은 종말론적이고 민족적인 유대인의 회심뿐 아니라 유대인의 고토 복귀와 나라 설립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었다. 후기 죽산의 입장은 이스라엘의 고토 회복이나 나라 재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유대인의 민족적 회심은 여전히 시대의 표지로 주창하고 있었다.
  • 7. 이상근 교수(1911-2011) 종말론
    이상근은 루이스 벌코프의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1941)을 강의안의 기초로 적극 활용하였으나, 벌코프와 벌코프를 통해 접한 바빙크 신학에 의존적이었던 박형룡 박사가 역사적 전천년설을 확집하고 고수한 것과 달리 이상근은 벌코프가 개진한 무천년설 종말론을 그대로 수용하고 가르쳤다.
  • 8. 남송 신복윤(1926-2016)의 종말론
    남송의 『종말론』 교본을 분석하여 보면, 벌코프와 박형룡의 종말론의 구조를 그대로 활용하여 자신의 종말론 논의를 전개하였다는 것을 알수 있다. 벌코프-죽산처럼 개인적 종말론과 일반적 종말론으로 양분하여 구성했고, 세부적인 장들의 경우도 크게 벗어자니 않은 것도 알 수 있다.
  • 9. 기독교 윤리학자 이상원 교수의 종말론
    이상원 교수의 종말론 논의들은 헤르만 바빙크, 루이스 벌코프, 죽산 박형룡 등의 역사적 개혁주의 노선에서 정리되고 개진되었다. 개인적 종말론과 일반적 종말론으로 양분하는 전통을 반영했고, 각 장별 구성이나 논의 내용에 있어서도 자신이 속한 신학적 전통에 충실하였다. 재림, 최후 심판, 등의 실천적인 의미에 대해 논하면서 신자들의 삶에 끼치는 영향을 잘 포착하여 제시하고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평양 장로회신학교의 종말론 전통
    평양 장로회신학교는 한국 장로교회의 중심 신학교로서 종말론 전통을 가지고 있다. 이 학교에서 교육받은 많은 목회자들이 한국 장로교회의 종말론 신학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평양 장로회신학교의 종말론 전통을 연구하는 것은 한국 장로교회의 종말론 신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특히 해방 이전 시기 평양 장로회신학교의 종말론 교육이 어떠했는지, 그리고 이것이 해방 이후 한국 장로교회의 종말론 신학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 2. 해방 이전 한국 장로교 목사들의 종말론
    해방 이전 한국 장로교 목사들의 종말론은 매우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인다. 일부 목사들은 전천년설을 지지했지만, 다른 이들은 후천년설이나 무천년설을 주장했다. 이들의 종말론은 당시 한국 사회와 교회의 상황, 그리고 그들이 수용한 서구 신학의 영향을 받았다. 해방 이전 한국 장로교 목사들의 종말론을 연구하는 것은 한국 장로교회 종말론 신학의 기원과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3. 구례인(John C. Crane, 1888-1964)선교사의 종말론
    구례인 선교사는 한국에서 오랫동안 활동했던 미국 장로교 선교사로, 그의 종말론은 한국 장로교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그는 전천년설을 지지했으며, 특히 유대인의 회복과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관심이 컸다. 구례인 선교사의 종말론을 연구하는 것은 해방 이전 한국 장로교회의 종말론 신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그의 종말론이 이후 한국 장로교회 신학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 4. 죽산 박형룡과 구례인의 천년기론에 대한 연구
    죽산 박형룡 교수와 구례인 선교사는 모두 전천년설을 지지했지만, 그들의 천년기론에는 차이가 있었다. 박형룡 교수는 구례인의 천년기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자신의 천년기론을 발전시켰다. 이들의 천년기론에 대한 연구는 한국 장로교회 종말론 신학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박형룡 교수가 구례인의 천년기론을 어떻게 비판하고 자신의 입장을 정립했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 5. 죽산 박형룡 이후 총신 조직신학자들의 천년기론
    죽산 박형룡 교수는 한국 장로교회의 대표적인 조직신학자로, 그의 천년기론은 총신대학교 조직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박형룡 교수 이후 총신대학교 조직신학자들은 그의 천년기론을 계승하거나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자신들의 천년기론을 발전시켜왔다. 이들의 천년기론에 대한 연구는 한국 장로교회 종말론 신학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총신대학교 조직신학자들이 박형룡 교수의 천년기론을 어떻게 이해하고 발전시켰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 6. 유대인의 미래적 회복에 관한 죽산 박형룡의 입장 고찰과 신학적인 평가
    죽산 박형룡 교수는 유대인의 미래적 회복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유대인의 회복이 그리스도의 재림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보았다. 박형룡 교수의 유대인 회복에 대한 입장을 고찰하고 그에 대한 신학적 평가를 내리는 것은 한국 장로교회 종말론 신학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그의 입장이 당시 서구 신학의 영향을 받았는지, 그리고 그것이 한국 장로교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 7. 이상근 교수(1911-2011) 종말론
    이상근 교수는 한국 장로교회의 대표적인 조직신학자 중 한 명으로, 그의 종말론은 한국 장로교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전천년설을 지지했으며, 특히 그리스도의 재림과 천년왕국에 대한 관심이 컸다. 이상근 교수의 종말론을 연구하는 것은 해방 이후 한국 장로교회 종말론 신학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의 종말론이 당시 한국 교회와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이후 한국 장로교회 신학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 8. 남송 신복윤(1926-2016)의 종말론
    남송 신복윤 교수는 한국 장로교회의 대표적인 조직신학자 중 한 명으로, 그의 종말론은 한국 장로교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그는 전천년설을 지지했으며, 특히 그리스도의 재림과 천년왕국에 대한 관심이 컸다. 신복윤 교수의 종말론을 연구하는 것은 현대 한국 장로교회 종말론 신학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의 종말론이 당시 한국 교회와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이후 한국 장로교회 신학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 9. 기독교 윤리학자 이상원 교수의 종말론
    이상원 교수는 한국 장로교회의 대표적인 기독교 윤리학자로, 그의 종말론은 한국 장로교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그는 전천년설을 지지했으며, 특히 그리스도의 재림과 천년왕국에 대한 관심이 컸다. 이상원 교수의 종말론을 연구하는 것은 현대 한국 장로교회 종말론 신학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의 종말론이 당시 한국 교회와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이후 한국 장로교회 신학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