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acheostomy tube 의 적응증, 종류
본 내용은
"
tracheostomy tube 의 적응증, 종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12
문서 내 토픽
-
1. 기관절개관의 목적 및 적응증흡입된 공기가 폐포에 이르러 가스교환을 돕는 airway 통로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tracheostomy를 통해 기도가 확보되어 호흡이 가능해지고 폐로부터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함. 자가호흡이 불안정하여 지속적으로 인공호흡을 유지하면서 산소공급 및 이산화탄소 배출이 필요한 경우, 수술직후 폐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흡인을 방지하기 위해, 응급상황에서 intubation 이 불가능한 경우에 기관절개관이 필요하다.
-
2. 기관절개관의 삽입 및 제거 과정기관절개관 삽입 과정은 single cannula -> double cannula -> 기관절개관 마개 -> speech valve -> 기관절개관의 전체 제거 순으로 진행된다. 제거 후 24~48시간 내에 구멍이 저절로 닫힌다.
-
3. 기관절개관의 적용기관절개관 튜브는 sternal notch의 중간지점에서 cricoid cartilage의 하부경계까지 수평절개하여 2번째, 3번째 tracheal ring 사이 정중앙에 삽입한다. 일반적으로 20~27 mmHg의 압력으로 적용하며, 과한 압력은 기관지 협착을, 적은 압력은 인공호흡 전달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외관은 1~3개월 간격으로, 내관은 매일 또는 오염된 경우 교체한다.
-
4. 기관절개관의 구성 및 특징기관절개관은 내관의 유무(single cannula, double cannula), cuff 유무(cuff 유, cuff 무), fenestrated 유무(fenestrated, unfenetrated)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각각의 특징과 사용 목적이 다르다.
-
5. PORTEX Blue Line 기관절개관PORTEX Blue Line 기관절개관에는 Vocalaid, James tube, Adjustable 등의 모델이 있다. cuff 유무, 내관 유무, 발성 가능 여부 등의 특징이 다르다.
-
6. PORTEX Blue Line Ultra 기관절개관PORTEX Blue Line Ultra 기관절개관에는 Blue line ultra cuffed, Blue line ultra uncuffed 모델이 있다. fenestrated hole 유무, cuff 유무, 내관 유무, 발성 및 인공호흡기 연결 가능 여부 등의 특징이 다르다.
-
7. 세운 실리콘 및 테플론 기관절개관세운 실리콘 기관절개관은 cuff가 있어 기관절개 직후 사용하며 발성이 불가능하다. 세운 테플론 기관절개관은 cuff가 없고 내관이 있어 발성이 가능하며 speech valve를 이용할 수 있다.
-
8. MERA Sofit 기관절개관MERA Sofit 기관절개관에는 기본용과 발성용 내관이 있는 모델(Sofit CF)과 cuff가 없는 모델(Sofit F)이 있다. 발성 가능 여부와 인공호흡기 연결 가능 여부가 다르다.
-
9. Tracoe twist 기관절개관Tracoe twist 기관절개관에는 cuff가 있는 Tracoe 302 모델과 cuff가 없는 Tracoe 304 모델이 있다. 발성 가능 여부와 상하좌우 움직임 가능 여부가 다르다.
-
1. 기관절개관의 목적 및 적응증기관절개관은 기도 확보를 위해 사용되는 의료 기기로, 기도 폐쇄나 호흡 부전 환자에게 적용됩니다. 기관절개관은 기도를 직접 확보하여 환자의 호흡을 보조하고, 분비물 제거 및 인공호흡기 사용 등을 가능하게 합니다. 적응증으로는 기도 폐쇄, 신경근육 질환, 외상, 종양 등이 있습니다. 기관절개관 삽입은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기관절개관의 삽입 및 제거 과정기관절개관 삽입 과정은 매우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국소 마취 하에 피부와 근육을 절개하여 기관에 접근한 뒤, 기관을 절개하고 기관절개관을 삽입합니다. 이 과정에서 출혈, 감염, 기흉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기관절개관 제거 시에는 기도 확보가 유지되는지 확인하고, 점진적으로 제거하여 합병증을 예방해야 합니다. 숙련된 의료진의 세심한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
3. 기관절개관의 적용기관절개관은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적용됩니다. 기도 폐쇄 환자, 인공호흡기 의존 환자, 신경근육 질환 환자 등에게 사용됩니다. 기관절개관을 통해 기도를 확보하고 분비물 제거, 인공호흡기 사용 등이 가능합니다. 또한 장기 기계 환기가 필요한 환자에게도 적용됩니다. 기관절개관 사용 시 감염, 출혈, 기흉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인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숙련된 의료진의 관리 하에 기관절개관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기관절개관의 구성 및 특징기관절개관은 기관 내로 삽입되는 관 부분과 피부 밖으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관 부분은 실리콘, 테플론,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만들어지며, 내강이 넓고 유연성이 있어 기도 확보와 분비물 제거에 용이합니다. 피부 밖 부분에는 고정용 플랜지가 있어 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발음 기능을 위한 발성 구멍, 흡인 포트 등의 부가 기능이 있는 제품도 있습니다. 기관절개관의 재질, 크기, 부가 기능 등은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선택됩니다.
-
5. PORTEX Blue Line 기관절개관PORTEX Blue Line 기관절개관은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어 유연성이 좋고 생체 적합성이 높습니다. 관 내경이 넓어 분비물 제거와 인공호흡기 사용이 용이합니다. 또한 파란색 라인이 있어 삽입 깊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피부 밖 부분에는 고정용 플랜지와 발성 구멍이 있어 사용이 편리합니다. PORTEX Blue Line 기관절개관은 다양한 크기와 모델이 있어 환자의 상태에 맞춰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우수한 성능과 편의성을 갖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6. PORTEX Blue Line Ultra 기관절개관PORTEX Blue Line Ultra 기관절개관은 PORTEX Blue Line 제품의 업그레이드 모델입니다.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어 유연성과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며, 관 내경이 넓어 분비물 제거와 인공호흡기 사용이 용이합니다. 특히 이 제품은 기존 모델보다 더 얇고 유연한 재질을 사용하여 환자의 불편감을 줄였습니다. 또한 파란색 라인과 고정용 플랜지, 발성 구멍 등의 편의 기능도 갖추고 있습니다. PORTEX Blue Line Ultra는 기관절개관 사용 시 환자 편의성과 의료진의 사용성을 모두 고려한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7. 세운 실리콘 및 테플론 기관절개관세운 실리콘 및 테플론 기관절개관은 국내에서 개발된 제품으로, 실리콘과 테플론 재질을 사용하여 생체 적합성과 내구성이 우수합니다. 관 내경이 넓어 분비물 제거와 인공호흡기 사용이 용이하며, 피부 밖 부분에 고정용 플랜지와 발성 구멍이 있어 편의성이 높습니다. 또한 다양한 크기와 모델이 있어 환자의 상태에 맞춰 선택할 수 있습니다. 국내 기술로 개발된 이 제품은 성능과 편의성 면에서 해외 제품들과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됩니다.
-
8. MERA Sofit 기관절개관MERA Sofit 기관절개관은 폴리우레탄 재질로 제작되어 유연성과 내구성이 뛰어납니다. 관 내경이 넓어 분비물 제거와 인공호흡기 사용이 용이하며, 피부 밖 부분에 고정용 플랜지와 발성 구멍이 있어 편의성이 높습니다. 또한 이 제품은 기존 기관절개관에 비해 더 얇고 유연한 재질을 사용하여 환자의 불편감을 줄였습니다. MERA Sofit은 성능과 편의성이 우수하며, 특히 환자 친화적인 설계가 돋보이는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9. Tracoe twist 기관절개관Tracoe twist 기관절개관은 테플론 재질로 제작되어 내구성이 뛰어납니다. 관 내경이 넓어 분비물 제거와 인공호흡기 사용이 용이하며, 피부 밖 부분에 고정용 플랜지와 발성 구멍이 있어 편의성이 높습니다. 특히 이 제품은 회전이 가능한 설계로, 환자의 움직임에 따라 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Tracoe twist는 성능과 편의성이 우수하며, 회전 기능을 통해 환자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이라고 평가됩니다.
-
기관절개관(Tracheostomy tube)의 종류와 이해 2페이지
Tracheostomy(기관절개술)은 두 번째에서 네 번째 Tracheal ring을 거쳐 윤상연골 아래에 절개가 이루어지는 수술 적 절차로, 오랫동안 삽관이 피룡한 환자에서 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택된다, 하지만 신체는 기관절개관을 이물질로 여기고, 점액물질을 증가시키는 반응을 보인다. 게다가 섬모 운동이 손상을 입게 되어 점막 섬모의 분비물이나 이물질을 밖으로 배출하고자하는 움직임에 한계가 생긴다. 기관절개관은 방어와 가습 기전을 가진 상기도를 우회함으로 환자에게 감염 위험률이 증가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도의 가습 부족...2020.09.16· 2페이지 -
TUBE 및 CATHETER 관리 5페이지
20175412 이정민-내과계 중환자실 분담주제Tube 및 Catheter 관리적응증환기 기능의 저하가 없이 의식 저하나 연수기능 부전이 있는 환자에서 기도 보호와 확보를 위해 사용되는 것기도관리와 기계환기(황양하; 2008; neurocrit care)코와 입을 통하여 기관에 관을 삽입하는 절차로 산소공급과 분비물 제거, 환기를 확보하기 위하여 시행함. 응급상황에 시행site입안->기관분기부 위 2-3cm합병증폐렴, 기흉관리1. 위치 확인하기? 양측 폐음청진? 맥박 산소포화도 측정기? 흉부엑스레이삽관 직후 ETCO2 확인하기? e...2022.06.15· 5페이지 -
Tracheostomy, 기관흡인, 성인간호학, PPT 28페이지
Tracheostomy 기도흡인목 차 Tracheostomy 정의 목적 적응증 합병증 종류 관리 응급상 황 Decannulation 기도흡 인 - CPS 관리 - 준비 - 절차 - 압력 및 Catheter - 관련 물품 관리 - 검체 채취정 의 - 두번째 ~ 네번째 Tracheal Ring 을 거쳐 윤상 연골 아래를 절개하는 수술적 절차 - 기관 절개에 의해 생긴 개구부 혹은 누공목 적 - 기도개방성 유지 - 가스교환 능력향상 - 분비물로 인한 감염위험성 감소 - 무기폐 가능성 감소상부 기도 폐쇄 무의식 환자의 기도흡인 방지 하부기...2020.12.27· 28페이지 -
기관절개관 관리(간호) 실제 임상에서 사용 13페이지
기관절개관관리(간호)목차1. 기관절개술 개념2. 기관절개관 환자의 사정3. 기관절개관 종류, 적응증 및 관리방법4. 기관절개관 제거5. 응급상황 시 대처 방법I. 기관절개관 간호기관절개술의 개념기관절개술(tracheotomy)은 기도 확보를 위하여 윤상 연골 아래 2-4번째 기관고리(tracheal ring)부위를 절개하여 기관루(tracheal stoma) 또는 개구부(opening)를 만드는 것이다. 응급 처치이거나 예정된 수술일 수 있으며, 일시적일 수도 있고 영구적일 수도 있다. 기관절개술의 적응증은 급성 기도폐쇄, 기도 보...2022.11.21· 13페이지 -
기본간호,성인간호,중환자 간호) 기관절개관, 기관절개관의 모든것 6페이지
기관절개관(tracheostomy tube): 기관(trachea)에 직접적으로 호흡 튜브를 넣는 것으로 기관내 삽관 튜브(Endotracheal tube)에 비해 길이도 짧고 작다. 기도를 확보하기 위해 기관을 절개하여 상기도를 통하지 않고도 외부의 공기를 흡인해 숨을 쉴수 있도록 일시적/영구적으로 기관을 개방하는 시술준비물-Tracheostomy(Silicone 남:8.0Fr, 여: 7.0-7.5Fr.)-Tracheostomy Dressing set(대부분 필요한 의료기구는 다 들어가있기 때문에 의사 스타일마다 필요한 의료기구는...2022.11.04·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