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보장]성인간호학실습 복막염(Peritonitis)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22페이지 자료
문서 내 토픽
-
1. 복막염(Peritonitis)복막염은 복강내막과 내장기관을 덮고 있는 복막의 전신적 또는 국소적인 염증이다. 급성 맹장염, 게실염, 궤양(위-십이지장 궤양), 외상, 수술 등으로 인한 장 천공이 있을 때 세균이나 장 내용물(위산, 음식물, 담즙, 췌장액)에 의해 복막내부가 오염됨으로서 복막염이 생기게 된다. 건강한 사람에서 맹장염이나 궤양에 의한 장 천공과 관련되어 생긴 복막염은 치사율이 낮고, 복부 수술, 외상, 췌장염과 관련되어 생긴 복막염은 치사율이 높다.
-
2. 병태생리 및 원인원발성 복막염은 급성, 자발적이며 비교적 드물다. 속발성 복막염은 위장 분비물과 미생물에 의한 복막강의 오염이다. 충수염, 게실염, 소화성 궤양, 담도 질환, 결장 염증, 천공, 복부의 암 등의 합병증, 복부 외상 후, 수술 후 합병증,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
3. 임상증상복막염의 주된 증상은 복통, 복부 압통, 장음 소실이며 갑자기 생긴 매우 심한 복통은 장 천공을 의미한다. 복부 압통, 반동 압통, 복부 경직은 염증 등에 의해 복막이 자극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심한 경우에는 열, 저혈압, 빈맥, 산증 등이 동반된다. 노인이나 면역이 저하된 환자에서는 증상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
4. 관리항생제 투여, 침상안정, 금식, 호흡 보조, 수분과 전해질의 비경구적 대치요법, 진통제와 진토제 투여, 장의 감압, 수술, 복부 천자술, 수혈 등의 치료가 필요하다.
-
5. 합병증복부 내 농양 형성, 패혈증, 저혈량적 문제, 신부전 또는 간부전, 호흡부전, 쇼크, 장관 폐색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
6. 진단장 천공으로 인한 복막염에서는 단순 복부 촬영상 횡격막 아래에 공기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적이다. CT나 초음파로 복부를 촬영하여 농양이나 비정상적인 복수를 찾을 수 있다. 복수 천자가 필수적인 검사이다.
-
7. 치료장 천공과 같은 특별한 원인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이 필수적이며, 대사성 산증이나 전해질 불균형을 수액으로 교정하고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기본적인 치료이다. 전신상태가 쇼크 상태일 때는 수액, 수혈, 강심제, 부신피질호르몬제 등의 주사가 효과적이다.
-
8. 간호진단의식수준 저하로 인한 치료과정 이해부족과 관련된 출혈위험성, 부종, 부동, 약물사용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수분전해질불균형,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말초조직 관류장애, 원인불명의 고체온과 관련된 안위변화,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등이 있다.
-
9. 간호과정대상자의 의식수준 저하로 인한 치료과정 이해부족과 관련된 출혈위험성, 부종, 부동, 약물사용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등에 대한 간호중재와 평가가 이루어졌다.
-
10. 참고문헌서울대학병원 의학정보, 세브란스병원 질환정보, 구글 위키백과, 국가건강정보포털, 성인간호학 교과서, 네이버 의학품 사전,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등의 문헌을 참고하였다.
-
1. 복막염(Peritonitis)복막염은 복막의 감염 및 염증을 의미하는 질환으로, 복막강 내 세균 감염이나 화학적 자극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막염은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복막염의 주요 원인으로는 천공성 위궤양, 충수돌기염, 담낭염, 외상 등이 있으며, 임상증상으로는 복통, 발열, 구토, 복부 압통 등이 나타납니다. 진단을 위해서는 혈액검사, 영상검사, 복강천자 등이 활용되며, 항생제 투여, 수술적 치료 등의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증상 관찰, 영양 관리, 통증 조절, 감염 예방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여 환자의 회복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
2. 병태생리 및 원인복막염의 병태생리는 복막강 내 세균 감염이나 화학적 자극으로 인한 복막의 염증 반응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천공성 위궤양, 충수돌기염, 담낭염, 외상 등이 있습니다. 천공성 위궤양의 경우 위장관 내용물이 복강 내로 유출되어 복막염을 유발하며, 충수돌기염은 충수돌기의 염증이 복막으로 확산되어 복막염을 일으킵니다. 담낭염은 담낭의 염증이 복막으로 번지면서 복막염을 유발할 수 있고, 외상으로 인한 복강 내 장기 손상 또한 복막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복막강 내 세균 감염이 발생하고, 이에 따른 복막의 염증 반응이 복막염의 병태생리를 설명합니다.
-
3. 임상증상복막염 환자의 주요 임상증상으로는 복통, 발열, 구토, 복부 압통 등이 있습니다. 복통은 복막염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으로, 갑작스럽게 시작되며 점점 심해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발열은 감염으로 인한 증상이며, 구토는 장마비로 인해 발생합니다. 복부 압통은 복막의 염증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이 외에도 복부 경직, 장음 감소, 복부 팽만, 호흡 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복막염의 원인에 따라 증상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환자의 병력과 함께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
4. 관리복막염 환자의 관리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중요합니다. 첫째, 복막염의 원인을 신속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둘째, 복막염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셋째, 환자의 통증,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넷째,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 수술 전후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다섯째, 감염 예방을 위해 무균술을 준수하고 항생제 투여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여섯째, 영양 상태 관리와 함께 수분 및 전해질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다각도의 관리를 통해 복막염 환자의 회복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5. 합병증복막염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주요 합병증으로는 패혈증, 다발성 장기부전, 복강 내 농양, 장폐색, 복강 내 출혈 등이 있습니다. 패혈증은 복막염으로 인한 전신 감염 반응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입니다. 다발성 장기부전은 패혈증으로 인해 발생하며, 복강 내 농양은 국소적인 농양 형성으로 인한 합병증입니다. 장폐색은 복막염으로 인한 장마비로 발생하며, 복강 내 출혈은 복막염으로 인한 혈관 손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합병증들은 환자의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복막염 환자의 면밀한 관찰과 신속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
6. 진단복막염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의 병력 청취, 신체 검진, 검사 등이 활용됩니다. 병력 청취 시 복통, 발열, 구토 등의 증상 유무와 함께 기저 질환, 외상력 등을 확인합니다. 신체 검진에서는 복부 압통, 복부 경직, 장음 감소 등의 소견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검사로는 혈액검사, 영상검사, 복강천자 등이 시행됩니다.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증가, C-reactive protein 상승 등의 소견을 확인할 수 있으며, 영상검사로는 복부 CT, 초음파 등을 통해 복막염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복강천자는 복막염의 원인균 동정을 위해 시행됩니다. 이러한 다각도의 진단 과정을 통해 복막염의 원인과 중증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7. 치료복막염 치료의 목표는 감염 조절, 합병증 예방, 그리고 환자의 회복을 도모하는 것입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항생제 투여,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 등이 있습니다. 항생제 투여는 감염 조절을 위해 필수적이며, 원인균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수술적 치료는 천공성 위궤양, 충수돌기염 등의 원인 병변을 제거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보존적 치료로는 금식, 수액 공급, 위장관 감압, 통증 조절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다양한 치료 방법을 환자의 상태에 맞추어 적절히 적용해야 합니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8. 간호진단복막염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간호진단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첫째, 급성 통증 관련 복막 자극. 둘째, 감염 위험성 관련 복막 감염. 셋째, 체액량 불균형 관련 구토, 설사, 발열. 넷째, 영양 불균형 관련 식욕 저하, 구토. 다섯째, 활동 내성 관련 복부 팽만, 장마비. 여섯째, 피로 관련 질병 과정. 이러한 간호진단을 바탕으로 환자의 증상과 상태를 면밀히 사정하고, 개별화된 간호중재를 계획 및 수행해야 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신속한 회복을 위해 다학제 팀과 협력하여 통합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
9. 간호과정복막염 환자의 간호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환자 사정 단계에서는 병력 청취, 신체 검진, 검사 결과 확인 등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합니다. 둘째, 간호진단 단계에서는 환자의 주요 문제와 간호요구를 파악하여 간호진단을 내립니다. 셋째, 간호계획 단계에서는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간호중재를 계획합니다. 넷째, 간호수행 단계에서는 계획된 간호중재를 실행합니다. 다섯째, 간호평가 단계에서는 간호중재의 효과를 평가하고, 필요 시 간호계획을 수정합니다. 이러한 체계적인 간호과정을 통해 복막염 환자의 회복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10. 참고문헌복막염 관련 주요 참고문헌은 다음과 같습니다. 1. Sartelli M, Chichom-Mefire A, Labricciosa FM, et al. The management of intra-abdominal infections from a global perspective: 2017 WSES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intra-abdominal infections. World J Emerg Surg. 2017;12:29. 2. Solomkin JS, Mazuski JE, Bradley JS,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omplicated intra-abdominal infection in adults and children: guidelines by the Surgical Infection Society and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Clin Infect Dis. 2010;50(2):133-164. 3. Leppäniemi A, Kimball EJ, De Laet I, et al. Management of abdominal sepsis - a paradigm shift? Anaesthesiol Intensive Ther. 2015;47 Spec No:s57-s62. 4. Kirkpatrick AW, Roberts DJ, De Waele J, et al. Intra-abdominal hypertension and the abdominal compartment syndrome: updated consensus definitions an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rom the World Society of the Abdominal Compartment Syndrome. Intensive Care Med. 2013;39(7):1190-1206. 5. Fleischmann C, Scherag A, Adhikari NK, et al. Assessment of Global Incidence and Mortality of Hospital-treated Sepsis. Current Estimates and Limitation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16;193(3):259-272. 이러한 문헌들은 복막염의 병태생리, 진단, 치료, 합병증 관리 등에 대한 최신 지견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A+보장]성인간호학실습 복막염(Peritonitis)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22페이지 자료입니다.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11
-
[A+ 보장]성인간호학실습 당뇨병(Diabetes mellitus)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22페이지 자료입니다.1. 당뇨병의 정의 당뇨병은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되는 병으로, 정상인의 경우 혈당이 조절되지만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제대로 작용하지 않아 혈당이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당뇨병 유병률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2. 당뇨병의 원인 당뇨병의 발생에는 유전과 환경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전적 체질과 고령, 비만, 스트레스, 임신, 감염, 약물 등...2025.01.22 · 의학/약학
-
[A+보장]성인간호학 실습 위궤양(Gastric ulcer)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22페이지 자료입니다.1. 위궤양(Gastric ulcer) 위장 점막이 흡연, 스트레스, 약제, 헬리코박터균의 감염, 악성종양 등에 의해 손상되어 가장 표면에 있는 점막층보다 깊이 패이면서 점막근층 이상으로 손상이 진행된 상태를 위궤양이라고 한다. 흔히 소화성 궤양과 동의어로 쓰이는데, 소화성 궤양은 점막을 보호하는 방어인자와 점막 손상을 유발하는 공격인자의 균형이 깨지면서 ...2025.01.27 · 의학/약학
-
[A+보장]성인간호학 실습 성인 폐렴(Pneumonia)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23페이지 자료1. 폐렴(Pneumonia) 폐렴은 폐실질에 급성 염증이 발생된 것으로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이 폐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호흡기 질환입니다.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의 폐 증상과 소화기 증상, 전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항생제 발달로 치료가 가능해졌지만 여전히 사망률이 높은 감염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노년층에서 가장 흔...2025.01.13 · 의학/약학
-
[A+보장]성인간호학실습 기흉(Pneumothorax)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19페이지 자료1. 기흉의 정의 폐는 정상적으로 두 겹의 흉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흉막 사이에는 약 10~15cc의 흉수가 있으며, 공기는 없는 것이 정상이다.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공기 주머니에 해당되는 기포가 파열되어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이 공기가 흉막 안으로 들어가 폐의 일부분이 함몰되는 것이 기흉이다. 2. 기흉의 발병 특징 기흉은 여자보다 남자에서 약...2025.01.15 · 의학/약학
-
[A+보장]성인간호학실습 폐렴(Pneumonia)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18페이지 자료입니다.1. 폐렴(Pneumonia) 폐렴은 폐 조직에 생기는 염증성 질환으로,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병할 수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기침, 가래, 호흡곤란, 발열 등이 있으며, 진단은 방사선 검사와 객담 배양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치료는 원인균에 따른 항생제 투여가 주요하며, 중증의 경우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할 수 ...2025.01.17 · 의학/약학
-
[A+보장]성인간호학 실습 폐렴(Pneumonia)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27페이지 자료입니다.1. 폐렴의 정의 폐렴은 폐(허파)의 세기관지 이하 부위 특히 허파꽈리 같은 폐 실질조직에 부종을 초래하는 과정으로, 폐포(공기주머니)에 발생한 염증이다. 2. 폐렴의 원인 폐렴은 발생하는 원인균이 어떤 종류이고, 질병이 발생한 환자의 연령과 원래부터 호흡기 질환 혹은 여러 장기에 질환을 갖고 있었는지, 어디에서 감염되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가장 흔한 원...2025.01.28 · 의학/약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