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순도뇨와 유치도뇨
본 내용은
"
단슌도뇨와 유치도뇨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08
문서 내 토픽
-
1. 단순도뇨(Catheterization)단순도뇨는 요정체 시 방광팽만을 경감시키고 진단 목적으로 무균적 소변 검사물을 채취하고 잔뇨량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다. 여성과 남성 환자의 단순도뇨 절차가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준비물, 방법, 주의사항 등이 포함되어 있다.
-
2. 유치도뇨(Foley Catheterization)유치도뇨는 장기간 자연 배뇨가 불가능한 경우 계속적인 배뇨를 돕고 수술 환자에 있어 방광의 손상을 막고 시간당 소변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실시한다. 여성과 남성 환자의 유치도뇨 절차가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준비물, 방법, 주의사항 등이 포함되어 있다.
-
3. 도뇨관 관리유치도뇨관을 가진 환자의 간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카테터와 배액주머니의 교환, 요도감염 증상 관찰, 소변 배출 상태 확인, 배액 체계 유지 등 도뇨관 관리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
4. 검사물 채취도뇨관을 통해 소변 검사물을 채취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24시간 소변 검사물과 기타 소변 검사물 채취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
5. 도뇨관 제거도뇨관 제거 절차가 설명되어 있다. 공기주머니 내 증류수 제거, 카테터 제거, 회음부 간호, 소변량 및 상태 확인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
1. 단순도뇨(Catheterization)단순도뇨는 방광에 직접 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을 배출하는 기본적인 의료 절차입니다. 이 절차는 요로감염, 요정체, 요실금 등의 치료와 진단을 위해 사용됩니다. 단순도뇨는 무균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수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동의와 협조가 필수적이며, 환자의 프라이버시와 존엄성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유치도뇨(Foley Catheterization)유치도뇨는 방광에 도뇨관을 삽입하고 풍선을 팽창시켜 고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장기간 소변 배출이 필요한 환자들의 요정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유치도뇨는 단순도뇨에 비해 감염 위험이 높으므로, 무균적 시술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또한 도뇨관 삽입 및 제거 시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합병증 예방을 위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유치도뇨는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사용되어야 하며, 의료진의 전문성과 환자의 협조가 중요합니다.
-
3. 도뇨관 관리도뇨관 관리는 도뇨 시술 후 감염 예방과 합병증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도뇨관 삽입 부위의 청결 유지, 도뇨관 고정 상태 확인, 소변 배출 상태 모니터링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도뇨관 폐쇄, 요로감염, 출혈 등의 합병증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의료진의 전문적인 관리와 환자 및 보호자의 협조가 필수적입니다. 도뇨관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지침 마련으로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4. 검사물 채취검사물 채취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매우 중요한 절차입니다. 소변, 혈액, 조직 등 다양한 검체를 무균적으로 채취하여 분석함으로써 질병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검사물 채취 시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숙련된 의료진이 표준화된 절차에 따라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검사물 취급, 보관, 운송 등 전 과정에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검사물 채취에 대한 환자의 이해와 협조가 중요하며, 의료진의 전문성과 윤리성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
5. 도뇨관 제거도뇨관 제거는 도뇨 치료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시행되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도뇨관 제거 시 환자의 불편감과 합병증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숙련된 의료진이 표준화된 방법으로 시행해야 합니다. 도뇨관 제거 전후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요정체, 요로감염 등의 합병증 발생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자율성과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며, 환자 교육을 통해 도뇨관 제거 과정에 대한 이해와 협조를 구해야 합니다. 도뇨관 제거는 환자 중심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절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핵심술기 정리 part3 (단순도뇨(여성/남성),유치도뇨(여성/남성), 유치도뇨제거, 배출관장)1. 단순도뇨(여성/남성) 단순도뇨 절차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 외음부를 소독하고 도뇨관을 삽입하는 방법, 남성의 경우 음경을 들어올리고 도뇨관을 삽입하는 방법 등이 자세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도뇨관 삽입 후 소변 배출 확인, 도뇨세트 정리 등의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유치도뇨(여성/남성) 유치도뇨 절차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025.01.06 · 의학/약학
-
배뇨곤란 간호과정 배뇨장애 (진단3, 과정1)1. 배뇨장애 대상자는 선생님, 소변이 마려운데 안 나와요, 선생님 배가 아파요라고 호소하였다. 간호진단은 장기적인 유치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배뇨장애, 침상안정과 관련된 활동지속성 장애, 수술부위와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로 확인되었다. 간호중재로는 활력징후 모니터링, 배뇨 상태 사정, 물 흐르는 소리 듣기, 따뜻한 물에 손 담그기, 프라이버시 보장, 단순 ...2025.01.29 · 의학/약학
-
요로감염 ppt (UTI, 감염관리, 감염교육, 감염관리실)1. 용어의 정의 무증상 세균뇨(ABS) 또는 무증상 요로감염, 유치도뇨관, 농뇨(pyuria), 유치도뇨관관련 세균뇨, 도뇨관관련 요로감염(CAUTI)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위험인자 성별, 유치도뇨관 삽입기간, 노인, 당뇨 등이 요로감염의 위험인자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3. 요로감염의 원인균 단순요로감염과 복잡요로감염의 주요 원인균들이 Gram...2025.01.22 · 의학/약학
-
기본간호학 실습 대본1. 수동 관절 가동 범위 운동 ROM 대상자의 관절 가동 범위를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해 수동 관절 운동을 시행합니다. 목, 어깨, 팔꿈치, 손목, 손가락, 무릎, 고관절, 발목, 발가락 등의 관절을 2-5회씩 굴곡, 신전, 외전, 내전, 회전 등의 동작으로 운동합니다. 운동 시 적절한 신체역학을 적용하고 대상자의 반응을 관찰하여 기록합니다. 2. 단순 ...2025.04.26 · 의학/약학
-
[기본간호학] 간호과정 -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요정체1. 최근 유치도뇨관 제거와 관련된 요정체 대상자는 최근 유치도뇨관 제거 후 7시간 동안 자연배뇨가 되지 않아 요정체 상태이다. 대상자는 하복부 팽만감과 통증을 호소하고 있으며, 배뇨에 대한 걱정으로 수분섭취와 추가 치료를 거부하고 있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배뇨 양상을 확인하고, 매 2-3시간마다 화장실을 가도록 도와주며, 배뇨촉진법을 교육하고 수분섭취를 ...2025.05.05 · 의학/약학
-
기본간호학 핵심기본간호술 관련 선행지식 보고서1. 활력징후 측정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의 의미와 정상범위를 설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정리하였습니다. 2. 경구투약 경구투약의 기본 원칙과 대상자의 경구투약 가능 여부 사정 방법, 경구 투약 시 유의사항을 설명하였습니다. 3. 근육주사 근육주사의 기본 원칙, 근육주사 부위, 주의사항과 합병증을 정리하였습니다. 4. 피하주사 피하주사의 기...2025.05.15 · 의학/약학
-
핵심술기 정리 part3 (단순도뇨(여성/남성),유치도뇨(여성/남성), 유치도뇨제거, 배출관장) 6페이지
단순도뇨(여성/남성)유치도뇨(여성/남성)유치도뇨제거배출관장단순도뇨손위생을 한다.처방을 확인하고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도뇨 세트를 무균적으로 편다.도뇨세트에 소독솜과 멸균거즈를 넣고 거즈 위에 멸균 윤활제를 넣는다대상자에게 적합한 크기의 도뇨관과 소공포를 세트 속에 넣은 후 무균적으로 싼다.방수포와 홑이불, 멸균장갑, 소변기 등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여 대상자에게 가지고 간다.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손위생을 한다.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확인하고 환자 팔찌와 환자리스트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대상자에게 단순...2024.01.24· 6페이지 -
A+ (기본간호학) 단순도뇨, 유치도뇨 목적, 적응증, 주의사항 레포트 11페이지
기본간호학 실습Ⅱ 보고서2020.04.04과 목 명기본간호학 실습Ⅱ학 과간호학과이 름학 번목 차1. 비뇨기계의 구조와 기능 ............................................................................ 32. 도뇨관의 종류 .......................................................................................... 43. 도뇨의 목적 ...........................................2022.04.08· 11페이지 -
기본간호(경구투약, 단순도뇨, 유치도뇨, 근육주사, 관장) 8페이지
경구투약1.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2. 투약카트에서 대상자의 약물이 들어있는 약포지를 꺼내어 투약처방과 투약원칙을 확인한다.3.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4.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5.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6.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투약카드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7. 약물 투여 목적과 적용 및 주의사항을 설명한 다음 약물에 대한 의문사항이 있으면 질문하도록 한다.8. 앉거나 파울러 체위를 권하도록 하되 앉는 것이 금기라면 측위를...2023.10.01· 8페이지 -
기본간호학(투약, 피내주사, 단순도뇨, 유치도뇨, 정맥주사) 37페이지
3 차시목 차 및 학습내용안내 투약 (ID) 멸균장갑 착용 단순도뇨 유치도뇨 실습 (V/S) 실습 (SC, ID ) 모형연습 test 3 차시 실습 (IV) 향상 과정 ( 수액다루기 ) test1 / 투약 (ID) 피 내 주사 표피 바로 밑에 있는 피부의 진피 층에 약물 투여 0.1ml 미만의 매우 적은 양의 약물 투여 투베르쿨린반응 , 알레르기반응이나 약물의 과민성 등을 알아보기 위한 피부반응검사 시 사용 목적 투베르쿨린반응검사 ( 결핵 ) 약물의 피부반응검사 ( 항생제 ) 장 점 약물에 대한반응들이 눈으로 쉽게 확인됨 약물의 반...2020.09.17· 37페이지 -
활력징후, 경구투약, 단순도뇨, 유치도뇨, 좌욕 방법, 중요사항, 산욕기 간호 요약 7페이지
▣ 연습해야 할 핵심기본간호술구분방법수행 시 중요한 사항활력징후 측정1. 손가락으로 요골 동맥을 찾아서 그 위에 놓고, 맥박 부위를 확인한 후, 맥박을 측정2. 맥박 : 요골 동맥 찾고, 측정한 후 동맥에 손을 그대로 댄 채로 호흡 측정 [처음 입원시] 1분간 호흡수를 측정한다. [입원 중] 30초 동안 호흡수를 측정한 후 2배를 한다. 측정 후 기록한다.3. 체온 : 체온이 측정되면 체온계를 빼고, 소독솜으로 닦은 후 체온계의 전원을 끄고 용기에 넣고 기록한다.4. 혈압 : 조절 밸브를 잠그고 압력 bulb를 눌러 혈압계의 눈금이...2022.04.28·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