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현상 고체건조실험
본 내용은
"
반응현상 고체건조실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5.01.13
문서 내 토픽
-
1. 재료의 함수율(moisture content)수분율 함유하고 있는 고체로부터 열에 의하여 고체 중의 수분을 기화증발시켜 제거하는 조작으로서 습윤재료의 중량을 W_w [kg], 건조재료의 중량을 W_d [kg]이라고 하면 수분(x)과 함수율(w)은 각각 (15-1)과 (15-2)식으로 정의된다. 고체 중의 습윤기체와 평형상태에서 남아 있는 수분함량을 평형함수율(equilibrium moisture content, )이라 하고, 고체가 가진 전체 함수율과 평형함수율의 차를 자유함수율(free moisture content, F)이라 한다.
-
2. 건조 특성수분을 함유한 고체물질을 건조할 때 세 기간의 건조과정을 거치는데, 이러한 과정을 Fig. 15-1의 건조실험곡선에 도시하였다. Fig. 15-1에서 I를 재료가 예열되고 함수율이 서서히 감소하는 재료 예열기간 (preheating period), II를 재료의 함수율이 직선적으로 감소하고 재료가 일정한 항률 건조기간(constant-rate drying perid), III을 함수율의 감소가 느리며 평형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으로서 감률건조기간(falling-rate drying period)이라 한다.
-
3. 건조속도건조속도는 정형재료인 경우 단위시간에 단위표면적으로부터 증발되는 수분량 [kg-H2O/㎡ h]으로 표시되며, 부정형 재료에 대해서는 1kg의 건조재료당 한 시간에 증발하는 수분량[kg-H2O/kg-건조고체 h]으로 나타낸다. 건조속도 변화를 함수율에 대하여 도시하면 Fig. 15-2와 같은 건조특성곡선이 얻어진다.
-
4. 항률건조속도항률건조속도는 열풍이 재료에 평행류나 수직류로 접촉될 경우 열과 물질이동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열풍온도를 t[℃], 열풍공기의 습도를 [kg-H2O/kg-건조공기], 재료의 표면온도를 ti[℃], ti[℃]에서 대응하는 포화습도를 HI[kg-H2O/kg-건조공기] 에서 대응하는 증발잠열을수식입니다.lambda _{i}[kcal/kg]를 경막 열전달 계수[kcal/㎡ h℃]를 절대습도차를 추진력으로 할 경우의 물질전달계수[kg/h㎡H]라 하면 항률건조속도 수식입니다.R _{c}는(15-7)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5. 감률건조속도감률건조속도(Ri)는 (15-11)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K는 비례상수, we는 평형함수율, wc는 한계함수율, F는 자유함수율이다. 감률건조시간은 건조특성곡선의 형태에 따라 다른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
6. 실험 결과 분석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열풍온도가 높을수록 건조속도가 빨라지고 함수율 변화량도 크게 나타났다. 열풍속도가 증가할수록 건조속도와 함수율 변화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실험 결과가 이론과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실험 장치의 한계와 측정 오차 등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
1. 재료의 함수율(moisture content)재료의 함수율은 건조 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함수율은 재료 내부의 수분 함량을 나타내며, 건조 공정의 효율과 최종 제품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함수율이 높으면 건조 시간이 길어지고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며, 반대로 함수율이 낮으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재료의 초기 함수율을 정확히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건조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건조 과정 중 함수율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공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
2. 건조 특성재료의 건조 특성은 건조 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따라 건조 거동이 달라지며, 이는 건조 시간, 에너지 소비, 제품 품질 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다공성 재료는 표면 건조가 빠르지만 내부 건조가 어려울 수 있으며, 수분 결합력이 강한 재료는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재료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건조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다양한 건조 기술을 활용하여 재료의 특성에 맞는 건조 방법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3. 건조속도건조속도는 건조 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건조속도는 건조 시간, 에너지 소비, 제품 품질 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건조속도는 재료의 특성, 건조 조건(온도, 습도, 공기 유속 등), 건조 방법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재료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최적의 건조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다양한 건조 기술을 활용하여 건조속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열풍 건조, 진공 건조, 마이크로웨이브 건조 등의 기술을 활용하면 건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건조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4. 항률건조속도항률건조속도는 건조 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항률건조속도는 건조 초기 단계에서 나타나며, 이 구간에서는 건조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 구간에서는 주로 재료 표면의 수분이 증발하며, 내부 수분 이동이 충분히 빨라 건조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항률건조속도 구간은 건조 공정의 효율성과 제품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 구간의 건조 조건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온도, 습도, 공기 유속 등의 조건을 적절히 조절하여 항률건조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건조 시간을 단축하고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5. 감률건조속도감률건조속도는 건조 후기 단계에서 나타나는 건조 특성으로, 건조속도가 점차 감소하는 구간을 의미합니다. 이 구간에서는 재료 내부의 수분 이동이 건조속도를 제한하게 됩니다. 감률건조속도 구간은 건조 공정의 효율성과 제품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 구간의 건조 조건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온도, 습도, 공기 유속 등의 조건을 적절히 조절하여 감률건조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재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건조 방법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건조 시간을 단축하고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6. 실험 결과 분석실험 결과 분석은 건조 공정 개선을 위해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실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재료의 건조 특성, 건조 속도, 건조 조건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건조 조건을 설정하고, 건조 공정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실험 결과 분석 시에는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통계적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결과를 해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건조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반응현상실험]고체건조 결과레포트1. 고체 건조 실험 이 보고서는 고체 건조 실험의 결과를 다루고 있습니다. 실험에서는 비등석과 활성탄을 사용하여 온도와 풍속 변화에 따른 건조 특성을 분석하였습니다. 건조 실험 곡선과 건조 특성 곡선을 그려 한계 함수율과 평형 함수율을 구하였고, 항률 건조 기간의 건조 속도를 계산하여 열전달 계수를 도출하였습니다. 또한 온도와 풍속 변화에 따른 건조 속도...2025.01.17 · 공학/기술
-
[무기공업분석실험 A+] 황산구리 중 구리의 정량1. 중량 분석법 중량 분석법은 정량하고자 하는 성분을 칭량하기 위한 화합물로 분지, 천칭을 사용해 중량을 달아 목적 성분의 함량을 구하는 방법이다. 중량 분석은 가스 발생법과 침전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침전법을 사용하여 황산구리 중 구리를 정량하였다. 2. 침전법 침전법은 침전 반응을 이용하는 것으로 시료로부터 목적 성분을 분리하여 정량...2025.05.13 · 공학/기술
-
재결정과 거르기 예비 A+ 레포트1. 재결정 재결정은 온도에 따른 용해도 차이를 이용해 원하는 물질을 다시 결정화시키는 방법이다. 용질이 용매에 용해되어있는 상태에서 온도를 천천히 내리면 용해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용질이 다시 석출되면서 결정을 이루게 된다. 재결정 속도에 따라 결정의 크기와 모양이 결정되며, 재결정 과정을 통해 용질의 순도를 높일 수 있다. 2. 용해 용해란 기체, 액체 ...2025.01.23 · 공학/기술
-
(실험보고서) 물의 증기압과 증발열 예비 결과 보고서1. 상변화 모든 물질을 기체, 액체, 고체의 세가지 중 한가지로 존재하며 각각의 상이 외부의 조건에 의해 다른 상으로 변하는 현상을 상변화라고 한다. 기체가 액체로 변하는 액화, 액화가 기체로 변하는 기화, 고체가 액체 과정을 거치지 않고 기체로 변하거나 기체가 바로 고체가 되는 승화가 있다. 상변화는 열의 형태로 에너지를 가하거나 제거할 때 일어난다. ...2025.01.20 · 자연과학
-
[무기공업분석실험 2학기]칼륨명반중의 알류미늄 정량 (A+)1. 중량분석법 중량 분석법은 정량하려는 성분을 시료로부터 침전, 휘발, 추출, 전해 등의 방법으로 분리하여 조성이 일정한 화합물로 만든 후 무게를 달아서 목적성분의 함량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침전형과 칭량형 중량분석법이 있으며, 본 실험에서는 침전형 중량분석법을 사용하였다. 2. 메틸레드 메틸레드는 아조기(N=N 이중결합)를 포함하고 있는 산-염기 지시약...2025.05.02 · 공학/기술
-
[일반화학(화학및실험2)] 물의 증기압과 증발열 실험 보고서1. 상 변화(phase transition) 물질의 상태가 온도, 압력 등에 따라 물질의 고체, 액체, 기체 간의 상태 변화를 말한다. 물의 상 변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증기압 증기압은 일정 온도, 일정 압력에서 증기가 고체 또는 액체와 동적 평형 상태에 있을 때 증기의 압력을 말한다.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기압이 커진다. 3. 증발열(증발 엔탈피...2025.04.28 · 자연과학
-
[반응현상실험]고체건조 결과레포트 15페이지
결과레포트고체 건조과목명 : 반응현상실험1.실험 결과(데이터)(1) 설정 데이터-비등석물의 증발잠열(kcal/kg)583.43건조비등석질량(g)20.57온도(℃)45습윤비등석질량(g)23.47풍속(m/s)1.524용기질량(g)2.73용기면적(m^2)0.0113초기질량(용기+비등석)(g)26.2-활성탄물의 증발잠열(kcal/kg)583.43건조활성탄질량(g)8.37온도(℃)45습윤활성탄질량(g)11.97풍속(m/s)1.524용기질량(g)2.73용기면적(m^2)0.0113초기질량(용기+활성탄)(g)14.7(2) 온도 변화- 비등석물의 ...2024.07.01· 15페이지 -
[반응현상실험] 고체의 건조 (Drying of Solids) 용어 정리 1페이지
-건조 특성 곡선정상 건조 조건하에서 측정된 재료의 건조속도(세로 축)를 재료의 외견(평균의) 함수량(가로 축)에 대해 도시한 곡선-경막 전열 계수고체와 유체 사이에 온도차가 있어서 전도 및 대류에 의한 열교환이 일어난다. 이 때의 전열속도는 전열면적, 온도의 차에 비례하는데 비례상수-경막 물질 이동 계수계면을 통해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에 이동하는 물질량이 그 추진력에 반례했을 때의 비례계수, 물질 이동의 용이성을 나타낸다. 열 이동시 열전달 계수에 대응한다.-평형 함수율고체 중의 습윤기체와 평형상태에서 남아 있는 수분함량-한계...2021.01.04· 1페이지 -
[반응현상실험] 고체건조(Drying of Solid) 예비/결과레포트 및 엑셀파일 6페이지
1. 실험 목적고체의 건조기구 및 건조장치의 설계 기초자료로서 이용하기 위해 건조특성곡선을 측정하고 항률건조기간에서의 경막전열계수(대류전열계수) 및 경막물질이동계수(표면증발계수)를 구하고자 한다.2. 실험 방법1) 시료 용기의 무게를 정량한다.2) 시료 용기와 건조된 재료의 무게를 함께 측량한 후 약간의 물을 부어 적신 후 무게를 측정한다.3) 시료의 초기 함수율을 계산한다.4) 전원 스위치를 넣어 가열기와 송풍기를 가동시켜 열풍의 온도와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건조기 내의 온도가 일정하게 되었을 때 시료를 넣고 실험을 시작...2022.10.23· 6페이지 -
반응현상실험 고체건조 결과레포트(교안속 문제7개) 10페이지
실험 방법(1) 시료 용기의 무게를 정량한다. ( ).(2) 시료 용기와 건조된 재료의 무게를 함께 측량한 후( ) 약간의 물을 부어 적신 후 무게를 측정한다. ( ).(3) 시료의 초기 함수율을 식(15-2)에 의해 계산하다.(4) 전원 스위치를 넣어 가열기와 송풍기를 가동시켜 열풍의 온도와 속도를 일정 하게 유지시킨다. (건조기 내의 온도가 일정하게 되었을 때 시료를 넣고 실험을 시작한다.)(5) 시간 변화에 따른 시료의 무게와 온도를 측정하여 함수율을 계산한다.(6) 시료의 무게가 일정하게 될 때까지 건조를 행한다.(7) 열풍...2021.06.14· 10페이지 -
[화학공학실험] Fan Dryer를 이용한 고체건조실험-예비보고서 5페이지
Fan Dryer를 이용한 고체건조실험1. 실험 목적1) 실험 1: 일정한 온도와 습도에서 건조되는 젖은 고체에 대한 건조속도 자료를 얻는다.2) 실험 2: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고정하여 서로 다른 입자의 크기의 젖은 고체에 대한 건조속도 자료를 얻는다.3) 실험 3: 일정한 온도와 습도의 공기에서 젖은 고체의 건조에 대한 공기의 속도의 영향을 조사한다.2. 이론1) 물질전달물질전달은 하나의 물질에서 다른 물질로 그 일부가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개의 물질에 농도 차이가 존재한다면, 농도 차이가 적어지는 방향으로 물질이 이동한...2024.08.10·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