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현상 고정층 유동층 실험
본 내용은
"
반응현상 고정층 유동층 실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5.01.13
문서 내 토픽
-
1. 고정층과 유동층의 mechanism고정층이란, 용기 내에 고체 입자를 충전해서 고정된 층을 말한다. 유체의 속도를 증가시키면 고체 입자는 움직이지 않아 입자 층의 높이는 변하지 않고 압력 강하는 조금 더 변하는 상태를 말한다. 유동층이란, 용기 내에 분립체가 유체의 일정한 유속에 따라 형성하여 이동하는 층을 말한다. 유속을 조금씩 증가시키면, 압력 강화와 개별 입자에 대한 항력이 증가하며, 입자들이 움직이기 시작하고 유체 중에 현탁된다.
-
2. 고정층 및 유동층에서 압력손실과 유체의 유동조건과의 관계고정층에서 압력 강하는 Ergun Equation을 통해서 구할 수 있다. 유동층에서는 유속에 따라 입자들이 움직이며 유체와 섞여 이동하여 유체와 접촉할 있다. 압력 강하와 유속에 대한 그래프를 통해 최소 유동화 속도를 구할 수 있다.
-
3. 유동층의 유동특성유동층에서는 유속에 따라 입자들이 움직이며 유체와 섞여 이동하여 유체와 접촉할 있다. 유동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수들 간의 상호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
4. 항력과 항력계수고체 충진충을 통과하는 유체에는 유체의 흐름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데 이 힘을 항력(Drag Force)이라 하며, 이 경우 Newoton의 제 3법칙에 의하여 반대방향의 힘이 고체로부터 작용한다. 잠겨있는 고체에 대해 마찰계수와 같은 개념의 항력계수가 존재하게 되고, 이를 로 표현하고 정의된다.
-
5. 고정층에서의 압력강하액체나 기체가 고체 입자층을 통하여 아주 낮은 속도로 올라가면 입자는 거의 움직이지 않으며 이 경우에 고체 입자층을 통한 압력강하는 Ergun Equation으로 주어진다.
-
6. 유동층의 특성유체의 속도를 점점 증가시키면 압력 강하 및 각 입자에 대하여 항력이 증가하여 마침내 입자층이 올라가기 시작하며 유체층에 현탁된다. 유동층이 형성되면 윗면은 수평으로 유지되며, 큰물체는 현탁액에 대한 상대적인 밀도에 뜨거나 가라앉는다.
-
7. 유동화 조건층에서의 압력강하가 입자에 대한 중력, 즉 층의 무게와 균형을 이루게 되면 그 이상 속도를 증가시키면 입자가 움직인다. 이를 최소 유동화 속도라고 한다.
-
8. 최소 유동화 속도최소 유동화 속도란 유동화에 필요한 최소 속도로, 일정 유량까지 층의 변화가 없던 고정층이 층의 높이가 바뀌면서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의 유속을 말한다. 레이놀즈 수에 따라 최소 유동화 속도 계산식이 달라진다.
-
9. 레이놀즈수에 따른 압력강하 영향레이놀즈수가 1 미만일 경우 관성력은 무시하고 점성항력 항에 의한 영향을 받으며, 레이놀즈수가 1000 이상일 경우 점성항력 항을 무시하고 관성력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
10. 실험 장치 및 준비물실험에 사용된 장치는 유동층 장치이며, 충진물(비즈), Rotameter, Manometer 등이 준비되었다.
-
1. 고정층과 유동층의 mechanism고정층과 유동층은 화학공정, 석유화학, 환경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정층은 고체 입자가 고정된 상태에서 유체가 통과하는 구조이며, 유동층은 고체 입자가 유체에 의해 부유하는 구조입니다. 이 두 가지 구조는 각각 다른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며,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정층에서는 고체 입자 사이의 공극을 통해 유체가 흐르며, 유동층에서는 유체의 속도와 압력에 의해 고체 입자가 부유하게 됩니다. 이러한 메커니즘의 차이로 인해 각각의 공정에 적합한 설계와 운전 조건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고정층과 유동층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화학공정 설계와 최적화에 매우 중요합니다.
-
2. 고정층 및 유동층에서 압력손실과 유체의 유동조건과의 관계고정층과 유동층에서 압력손실은 유체의 유동 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고정층에서는 유체가 고체 입자 사이의 공극을 통과하면서 마찰 손실이 발생하며, 이는 레이놀즈 수, 공극률, 입자 크기 등의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유동층에서는 유체의 속도와 압력이 고체 입자의 부유를 결정하며, 이에 따라 압력손실이 변화합니다. 유동화 속도가 증가하면 압력손실이 증가하다가 최소 유동화 속도에 도달하면 압력손실이 일정해집니다. 이러한 압력손실과 유동 조건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고정층 및 유동층 공정의 설계와 운전에 필수적입니다. 정확한 압력손실 예측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공정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3. 유동층의 유동특성유동층은 고체 입자가 유체에 의해 부유하는 구조로, 다양한 유동 특성을 나타냅니다. 유동층에서는 고체 입자의 움직임이 활발하며, 이로 인해 열 및 물질 전달이 효과적으로 일어납니다. 또한 유동층은 균일한 온도 분포와 우수한 접촉 효율을 보여, 화학반응, 건조, 가열 등의 공정에 널리 활용됩니다. 유동층의 유동 특성은 유체의 속도, 고체 입자의 크기와 밀도, 유체-고체 간 상호작용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러한 유동 특성을 이해하고 정량화하는 것은 유동층 공정의 설계, 운전, 최적화에 매우 중요합니다. 유동층의 유동 특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는 공정 효율 향상과 안정성 확보에 기여할 것입니다.
-
4. 항력과 항력계수항력은 유체가 고체 입자에 작용하는 힘으로, 유동층 및 고정층 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항력은 유체의 속도, 입자의 크기와 형상, 유체의 물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항력계수는 이러한 항력을 무차원화한 값으로, 유동 특성 분석과 압력손실 예측에 활용됩니다. 항력과 항력계수에 대한 이해는 고정층 및 유동층 공정의 설계와 운전에 필수적입니다. 정확한 항력 예측을 통해 압력손실을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정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항력계수는 유체-고체 간 상호작용을 정량화하는 데 활용되어, 공정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5. 고정층에서의 압력강하고정층에서의 압력강하는 유체의 유동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고정층 내부에서 유체는 고체 입자 사이의 공극을 통과하면서 마찰 손실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압력강하가 발생합니다. 압력강하는 유체의 속도, 입자의 크기와 형상, 공극률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압력강하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고정층 공정의 설계와 운전에 매우 중요합니다. 압력강하가 과대 예측되면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고, 과소 예측되면 공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정층에서의 압력강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정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6. 유동층의 특성유동층은 고체 입자가 유체에 의해 부유하는 구조로, 다양한 특성을 나타냅니다. 유동층에서는 고체 입자의 움직임이 활발하여 열 및 물질 전달이 효과적으로 일어납니다. 또한 균일한 온도 분포와 우수한 접촉 효율을 보여, 화학반응, 건조, 가열 등의 공정에 널리 활용됩니다. 유동층의 특성은 유체의 속도, 고체 입자의 크기와 밀도, 유체-고체 간 상호작용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러한 유동층의 특성을 이해하고 정량화하는 것은 유동층 공정의 설계, 운전, 최적화에 매우 중요합니다. 유동층의 특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는 공정 효율 향상과 안정성 확보에 기여할 것입니다.
-
7. 유동화 조건유동화는 고체 입자가 유체에 의해 부유하는 현상으로, 유동층 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유동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유체의 속도가 최소 유동화 속도 이상이어야 합니다. 최소 유동화 속도는 고체 입자의 크기와 밀도, 유체의 물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유동화 조건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유동층 공정의 설계와 운전에 필수적입니다. 유동화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공정 효율이 저하되고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동화 조건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정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8. 최소 유동화 속도최소 유동화 속도는 유동층 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최소 유동화 속도는 고체 입자가 유체에 의해 부유하기 시작하는 속도를 의미하며, 이 속도 이상에서 유동층이 형성됩니다. 최소 유동화 속도는 고체 입자의 크기와 밀도, 유체의 물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최소 유동화 속도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유동층 공정의 설계와 운전에 필수적입니다. 최소 유동화 속도가 과대 예측되면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고, 과소 예측되면 공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소 유동화 속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정확한 예측 기술은 유동층 공정의 최적화에 매우 중요합니다.
-
9. 레이놀즈수에 따른 압력강하 영향레이놀즈 수는 유체 유동에서 관성력과 점성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무차원 수로, 압력강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레이놀즈 수가 낮은 영역에서는 점성력이 지배적이어서 압력강하가 레이놀즈 수에 반비례하지만, 레이놀즈 수가 높은 영역에서는 관성력이 지배적이어서 압력강하가 레이놀즈 수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이러한 압력강하와 레이놀즈 수의 관계는 고정층과 유동층 공정에서 모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합니다. 정확한 압력강하 예측을 위해서는 레이놀즈 수에 따른 압력강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공정 설계와 운전에 반영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공정 효율을 최적화하고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10. 실험 장치 및 준비물고정층과 유동층 공정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실험 장치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실험 장치에는 유체 공급 장치, 입자 공급 장치, 압력 측정 장치, 온도 측정 장치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고체 입자, 유체, 유량계, 압력계 등의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실험 장치와 준비물을 통해 고정층과 유동층의 유동 특성, 압력강하, 최소 유동화 속도 등을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실험 결과는 공정 설계와 운전에 활용되며, 이를 통해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실험 장치와 준비물을 갖추는 것은 고정층과 유동층 연구에 매우 중요합니다.
-
유동화 결과 보고서1. 유동화 본 실험은 물을 유체로 하여 유속을 변화시켜 유리입자의 거동을 관찰하고, 유속에 따른 고정층과 유동층을 확인하는 실험입니다. 실험 결과, 유속에 따라 유동층과 고정층이 나뉘는 것을 확인하고 층 높이와 수두차를 실험적으로 구해 압력강하를 계산하였습니다. 레이놀즈 수를 구하고 이를 통해 압력강하 값을 적절한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습니다. 2. ...2025.05.10 · 공학/기술
-
유동화실험 예비보고서1. 유동화 실험 유동화 실험을 통해 고정층 및 유동층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합니다. 실험에서는 유속에 따른 층높이와 수두차를 측정하고, 이를 그래프로 확인할 것입니다. 또한 압력강하 계산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뉴턴 유체, 층류와 난류, 레이놀즈 수, 압력강하 등이 다루어졌습니다. 2. 유동화 과정 유동화 과정은 유속 증가에 따라 고정층 변...2025.05.10 · 공학/기술
-
충전층 흐름의 압력강하(A+)1. 충전층 흐름의 압력 강하 충전층은 화학공정에서 기체흡수탑, 증류, 반응기, 여과기 등에 사용되는데, 공정설계 및 운전조건 최적화를 위해 충전층을 지나는 유체흐름의 유속과 충전층에 걸리는 압력강하의 관계가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충전층 내에서 임의적으로 채워진 충전물 사이, 즉 공극으로 유체가 흐르므로 이를 수학적으로 완전히 해석하기는 어려워 수학적 모델...2025.05.02 · 공학/기술
-
충전층 흐름 [단조 실험 A+레포트]1. 충전층 흐름의 압력 강하 이번 실험은 2mm glass bead를 이용해 충전층을 만든 다음에, 고정층과 유동층으로 바뀔 때의 최소 유동화 속도를 측정하고, 유속의 조건을 바꾸어 그에 따른 압력 강하를 측정하는 실험이었다. 장치를 세팅하여 장치 내부에서 아래에서 위로 물의 흐름을 만들어주고, 유체 흐름의 유속과 압력차의 관계를 구했다. 그리고 실험적으...2025.05.05 · 공학/기술
-
흡착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1. 흡착의 종류 흡착은 화학적 흡착과 물리적 흡착으로 구분된다. 화학적 흡착은 흡착제와 흡착질 사이에 화학 결합이 생성되는 경우로 흡착열이 크고 단분자층 흡착이 일어난다. 물리적 흡착은 분자간 인력에 의해 일어나는 가역 현상으로 흡착열이 작고 다분자층 흡착이 가능하다. 2. 흡착 등온식 흡착 등온식은 일정 온도에서 흡착이 평형에 도달했을 때 흡착된 흡착질...2025.05.07 · 공학/기술
-
[반응현상실험] 고정층,유동층(Fixed Bed, Fluidized Bed) 결과레포트 및 엑셀파일 8페이지
-고정층(Fixed Bed)고정층이란 유체의 속도를 증가시켰을 때 고체입자는 움직이지 않아 입자층의 높이는 변하지 않지만 압력강하는 조금 변하는 상태를 말한다. 고체입자가 매우 작고 입자사이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이 층류일 때 고체 입자층에서의 압력강하는 빈 관 속에서의 유속에 비례한다. 따라서 용기 내에 고체 입자를 충전하여 고정된 층을 의미하며, 층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모양, 크기, 용량 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설계에 대한 자유도가 높다. 이러한 장점으로 가스의 흡수, 흡착, 증류, 유출 등에 쓰이는 충전층...2022.11.02· 8페이지 -
[반응현상실험] 고정층,유동층(Fixed Bed, Fluidized Bed) 예비레포트 7페이지
3학년 반응현상실험 예비레포트실험제목: 고정층과 유동층이름†3학년 반응현상실험, 화학공학과, **대학교Experiment Title: Fixed Bed and Fluidized BedNAME†Chemical Reaction Phenomena Laboratory,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University,(Received: )(E-mail: Hyperlink "mailto:jmlee055@naver.com" )1. 실험목적(1) 고정층과 유동층의 메커니즘을 이해한다.(2) 고정층 및 유동층...2022.11.02· 7페이지 -
반응현상실험 고정층 유동층 결과레포트(교안속 문제3개) 6페이지
실험 방법압력강하와 공기유속의 보정 그래프를 그린다.공탑의 부피를 계산하고 충진물을 채운 뒤에 물을 채워 물의 부피를 통해 Porosity를 측정한다.입자가 완전히 유동화 할 때까지 유속을 증가시키며 압력손실을 측정한다.유속을 점점 감소시키며 압력손실을 측정한다.층의 높이가 유속에 따라 변할 경우는 그 높이를 측정한다.결과질량(g)부피(ml)온도(℃)25column 가로14.5비즈18.2112점도(cP)0.8937column 세로1.5비즈+물22.67216.48밀도(g/ml)0.99707Dp(cm)2.72공극률0.373333333단...2021.06.14· 6페이지 -
[단위조작실험]충전층 흐름의 압력강하(A+) 13페이지
1. Title충전층 흐름의 압력 강하2. Date- 2021/11/303. Apparatus & Reagents- apparatus[Figure1. 충전층 장치]-스탠드-클램프-충전물-매스실린더-연결 튜브관-디지털 압력계- reagents[Table 1. 실험에 사용하는 시약]NameFormulaf.w[g/mol]D[g/]m.p[℃]b.p[℃]Distilled waterH2O18.02101004. Results- Data sheet[Table2. 공극률 측정]50ml 실린더+glass bead107.722g50ml 실린더+glas...2023.03.07· 13페이지 -
반응현상실험 유동층 고정층 결과레포트 9페이지
유동층과 고정층 결과레포트1. 실험 목표1) 고정층과 유동층의 mechanism을 이해한다.2) 고정층 및 유동층에서 압력손실과 유체의 유동 조건과의 관계를 조사하고, 고체 입자와 층의 높이에 따른 최소 유동화 속도를 구하여 계산값와 이론값을 비교 검토한다.3) 유동층의 유동특성을 실험하여 유동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수들 간의 상호관계를 파악한다.2. 실험 이론1) 항력과 항력계수항력(Drag Force)은 고체 충진층을 통과하는 유체에는 유체의 흐름방향으로 힘을 말하며, 항력계수는 잠겨있는 고체에 대해 마찰계수와 같은 개념의...2020.06.28· 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