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정부의 라인야후 네이버지분 매각 현황, 배경, 대책
본 내용은
"
일본정부의 라인야후 네이버지분 매각 현황, 배경, 대책 [라인,라인야후,네이버,소프트뱅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03
문서 내 토픽
  • 1. 라인야후
    라인은 일본 1위 모바일 메신저로, 상호 합의에 따라 국내 기업 네이버가 개발권을, 일본 소프트뱅크가 경영권을 행사 중이다. 2023년 11월 네이버 클라우드가 악성코드에 감염돼 라인에서 개인정보 51만건이 유출되었고, 이후 일본 총무부는 네이버와의 자본 관계를 포함한 경영 체제 개선을 요구했다.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라인 모회사인 A홀딩스 지분을 50%씩 보유하고 있으며, 라인야후는 최근 '탈 네이버' 전략을 공식화했다.
  • 2. 라인야후 사태 주요 일지
    라인은 일본 1위 모바일 메신저로, 상호 합의에 따라 국내 기업 네이버가 개발권을, 일본 소프트뱅크가 경영권을 행사 중이다. 2023년 11월 네이버 클라우드가 악성코드에 감염돼 라인에서 개인정보 51만건이 유출되었고, 이후 일본 총무부는 네이버와의 자본 관계를 포함한 경영 체제 개선을 요구했다.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라인 모회사인 A홀딩스 지분을 50%씩 보유하고 있으며, 라인야후는 최근 '탈 네이버' 전략을 공식화했다.
  • 3. 라인야후 매각 관련 일본정부의 의도
    일본 정부가 라인야후에 네이버와의 지분 관계 재검토를 요구했다. 이대로 네이버가 라인을 또 다른 공동 대주주인 소프트뱅크에 1주라도 넘기면 일본뿐만 아니라 동남아 시장도 잃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일본 정부의 압박으로 소프트뱅크가 네이버와 '일본 국민 메신저' 라인(Line) 서비스를 운영하는 라인야후의 지분매각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4. 대응전략
    투자자-국가 간 분쟁해결제도(ISDS) 등 강력 대응, 국가 대 국가 분쟁해결절차(SSDS) 중재, 한·일 투자협정 제20조에 명시된 합동위원회를 통한 교섭 등이 고려해볼 만한 대응 전략이다. 정부는 해외진출 기업을 적극 보호하는 바람막이 역할을 해야 하며, 제2, 제3의 라인 사태 발발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
  • 5. 결론
    라인 사태 해결의 기본 전제는 우리 기업이 피해를 보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이 문제는 일개 민간 기업이 직면한 일에 그치지 않고, 한국 기업에 대한 차별 문제이자 국제규범 위배 소지가 있는 통상 이슈다. 정부는 부당한 피해를 당하는 것을 방관해선 안 되며, 해외진출 기업을 적극 보호하는 바람막이 역할을 해야 한다. 또한 제2, 제3의 라인 사태 발발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라인야후 사태 주요 일지
    라인야후 매각 관련 주요 일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2021년 9월, 야후재팬이 라인야후 지분 50%를 소프트뱅크에 매각하면서 라인야후 매각 논의가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2022년 3월, 라인야후의 모회사인 라인이 소프트뱅크와 협상을 진행하며 라인야후 매각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4월에는 라인이 소프트뱅크와의 협상을 중단하고 다른 기업들과의 협상을 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5월에는 라인야후 매각이 일본 정부의 주요 관심사로 부상했습니다. 이처럼 라인야후 매각 논의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 2. 주제4: 대응전략
    라인야후 매각 관련 대응 전략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안들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첫째, 일본 정부는 라인야후 매각 과정에서 국내 기업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라인야후가 국내 기업에 매각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습니다. 둘째, 라인야후의 핵심 기술과 서비스를 보유한 국내 IT 기업들은 라인야후 인수를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여야 합니다. 셋째, 라인야후 매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사전에 파악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라인야후 매각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