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미국문학개론]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흐른다> 독후감
본 내용은
"
조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미국문학개론]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흐른다> 독후감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03
문서 내 토픽
  • 1. 미국인의 꿈과 도전 정신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흐른다」는 늙음에서 젊음으로 가는 벤자민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첫 배경의 내용은 시계공 이야기로 시작한다. 시계공이 전사한 아들을 위해 아들이 돌아오길 바라는 간절한 마음으로 거꾸로 가는 시계를 만든다. 세계 1차 대전 이후 아이가 태어나는데 그 아이가 바로 벤자민이다. 시계공의 간절한 바람이 '벤자민'으로 태어났다고 볼 수 있다. 버려진 벤자민을 키우는 퀴니가 교회에 가서 벤자민의 걷기와 자신의 임신을 바라며 기도 하는데, 목사가 '믿음이 있으면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라는 말을 하며 벤자민이 일어서 걷도록 한다. 미국의 기독교적 신념을 퀴니를 통해 보여주고, 믿음이라는 정신적 태도가 있으면 불가능이 없다는 미국의 정신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벤자민은 거꾸로 흐르는 시간에서 살고 있지만, 그가 인생을 대하는 태도는 전혀 퇴보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벤자민은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도전하지 않고 내버려 두는 삶이 아닌, 거꾸로 흐르는 삶 속에서 도전하는 삶을 산다. 아기에서 노인이 되는 과정과 노인에서 아기가 되는 과정은 어떻게 보면 아주 비슷한 삶의 과정이다. 벤자민은 태어날 때부터 늙어서 태어났기 때문에 오히려 나이에 상관없이 다양한 인물의 삶과 그들이 삶을 대하는 태도를 들을 수 있었으며 그들의 불가능에 대한 도전을 배울 수 있었다. 그는 꿈을 이루는 데에는 시간제한이 없으며 실패나 후회가 있어도 다시 시작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는 「위대한 개츠비」의 '꿈'에 대한 개츠비의 정신과 많이 닮아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미국인의 꿈과 도전 정신
    미국은 전통적으로 개인의 자유와 기회를 중시하는 사회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치관은 미국 사회 전반에 깊이 뿌리박혀 있으며, 개인의 꿈을 실현하고자 하는 도전 정신을 북돋우고 있다. 미국인들은 자신의 능력과 노력을 통해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미국 사회의 역동성과 혁신을 이끌어내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이러한 개인주의적 가치관은 때로는 사회적 양극화와 불평등을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미국 사회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자유와 기회를 보장하면서도 사회적 형평성과 연대감을 함께 추구해 나가는 균형잡힌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