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정리!) 욕창예방간호
본 내용은
"
완벽정리!) 욕창예방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29
문서 내 토픽
  • 1. 욕창의 정의
    욕창은 신체의 일정한 부위(주로 뼈 돌출부)에 압력 혹은 마찰과 응전력이 결합한 압력이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가해짐으로써 모세혈관의 순환장애로 인한 허혈성 조직괴사로 생기는 피부나 하부 조직의 손상상태를 말한다.
  • 2. 욕창의 단계
    욕창은 상태와 심한 정도에 따라 여러 단계로 구분되며 욕창관리는 이에 따라 구별하여 적용한다. 1) 심부조직 손상이 의심되는 단계, 2) 1단계, 3) 2단계, 4) 3단계, 5) 4단계, 6) 분류불가능(Unstageable)단계
  • 3. 욕창의 발생원인
    욕창의 발생 원인으로 압력이 가장 중요하며, 압력의 강도, 지속시간, 조직의 종류 등이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2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압력이 주어지면 국소조직에 산소공급이 감소하여 조직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압력 외에도 전단력, 마찰력, 부동, 요실금, 경직, 활동저하, 영양부족, 의식변화, 고령, 습도 및 체온 증가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4. 체위별 욕창 호발 부위
    1) 앙와위, 2) 측위, 3) 반좌위
  • 5. 욕창 예방 - 사정
    1) 사정 기준: ① 입원 시 모든 환자, ② 욕창발생 위험군(Braden 점수 18점 이하), ③ 그 외 모든 환자 2) 욕창발생 위험요인 사정 도구: Braden 도구
  • 6. 욕창 예방 - 간호중재
    1) 피부 사정 및 간호, 2) 압력, 마찰력 및 응전력의 최소화, 3) 체위 변경, 4) 실금, 실변 간호, 5) 영양, 6) 교육
  • 7. 참고문헌
    욕창간호 실무지침서 및 요약본, 충남대학교병원 '욕창예방 및 관리'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욕창의 정의
    욕창은 신체의 뼈 돌출부위나 압박을 받는 부위에 발생하는 국소적인 피부 및 조직의 손상을 말한다. 욕창은 주로 움직임이 제한되거나 감각이 저하된 환자에게서 발생하며, 피부와 피하조직, 근육, 뼈까지 손상을 줄 수 있다. 욕창은 환자의 고통과 합병증을 유발하며, 의료비용 증가와 재원기간 연장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욕창 예방과 관리는 매우 중요한 간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 2. 욕창의 단계
    욕창은 단계별로 발전하며, 일반적으로 4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는 피부 표면의 발적이나 변색이 나타나는 단계이며, 2단계는 피부 손상이 발생하여 수포나 피부 결손이 나타나는 단계이다. 3단계는 피부 전층이 손상되어 피하조직까지 침범하는 단계이며, 4단계는 근육, 뼈, 관절 등 깊은 조직까지 손상이 진행되는 단계이다. 욕창 단계에 따라 적절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며, 특히 초기 단계에서의 예방적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 3. 욕창의 발생원인
    욕창은 주로 압박, 마찰, 전단력 등의 외부 요인과 영양 불량, 감각 저하, 활동 제한 등의 내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특히 고령, 만성질환, 의식 저하, 부동 등의 위험요인이 있는 환자에게서 욕창 발생률이 높다. 따라서 욕창 고위험군 환자를 사정하고 개별화된 예방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의료진의 욕창 예방에 대한 인식 제고와 체계적인 관리 프로토콜 마련이 필요하다.
  • 4. 체위별 욕창 호발 부위
    체위에 따라 욕창이 호발하는 부위가 다르다. 앙와위 시에는 천골, 미골, 발뒤꿈치 등이 호발 부위이며, 측와위 시에는 대전자, 외과, 발목 등이 호발 부위이다. 또한 좌위 시에는 좌골, 대퇴부, 발뒤꿈치 등이 호발 부위이다. 이러한 욕창 호발 부위를 정기적으로 사정하고 압력 재분산, 피부 관리 등의 예방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체위 변경, 보조기구 사용 등을 통해 압박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 5. 욕창 예방 - 사정
    욕창 예방을 위해서는 환자의 위험 요인을 사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피부 상태, 영양 상태, 활동 및 운동 능력, 감각 기능, 습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욕창 발생 위험을 파악해야 한다. 또한 정기적인 피부 사정과 압박 부위 확인을 통해 초기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개별화된 예방 계획을 수립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이러한 체계적인 사정과 관리는 욕창 예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6. 욕창 예방 - 간호중재
    욕창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로는 압력 재분산, 피부 관리, 영양 관리, 활동 증진 등이 있다. 압력 재분산을 위해 체위 변경, 보조기구 사용, 압박 완화 등의 중재가 필요하다. 피부 관리를 위해서는 피부 관찰, 청결 유지, 보습 등의 중재가 중요하다. 영양 관리를 통해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섭취를 증진시키고, 활동 증진을 위해 운동 및 기능 훈련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다각도의 예방적 간호중재를 통해 욕창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 7. 참고문헌
    욕창 관리와 관련된 주요 참고문헌은 다음과 같다: 1. National Pressure Injury Advisory Panel, European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and Pan Pacific Pressure Injury Allianc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ressure Ulcers/Injuries: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he International Guideline. 2019. 2.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es Society. Guideline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Injuries). Mount Laurel, NJ: Author; 2016. 3. Edsberg LE, Black JM, Goldberg M, McNichol L, Moore L, Sieggreen M. Revised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Pressure Injury Staging System. J Wound Ostomy Continence Nurs. 2016;43(6):585-597. 4. Lyder CH, Ayello EA. Pressure Ulcers: A Patient Safety Issue. In: Hughes RG, editor. Patient Safety and Quality: An Evidence-Based Handbook for Nurses.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US); 2008. 이러한 국내외 가이드라인과 문헌들은 욕창 예방과 관리를 위한 근거 기반 실무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