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받은 유도분만 케이스 (labor induction case)
본 내용은
"
A+ 받은 유도분만 케이스 (labor induction case)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28
문서 내 토픽
  • 1. 옥시토신 투여로 인한 자궁수축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진단 #1에서는 옥시토신 투여로 인한 자궁수축과 관련된 급성통증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재태기간 36주 6일, PPROM 5/9 13:00, 유도분만을 위해 옥시토신 투여를 받은 산모의 경우, FLACC 통증척도 7점(5/10 10:00)으로 심한 통증을 호소하였습니다. 간호중재로는 산모의 활력징후 측정, 자궁경부 개대 상태와 태아 자세 사정, 태아 심박동 모니터링 등 진단적 중재와 함께 통증 완화를 위한 체위 변경, 편안한 음악 제공 등의 치료적 중재, 그리고 통증의 양상과 효과적인 호흡법 및 힘주기 교육 등의 교육적 중재를 수행하였습니다.
  • 2. 양막파열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진단 #2에서는 양막파열(PPROM)과 관련된 감염위험성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산모는 주르륵 흐르는 느낌과 팬티라이너가 젖은 것을 호소하였고, Nitrazine test 결과 양성으로 나타났습니다. 간호중재로는 활력징후 측정, 질분비물 양상 사정, LAP 검사 실시 등의 진단적 중재와 함께 무균술 준수, 침대보 및 패드 교체, 잦은 질 검진 자제, 항생제 투여 등의 치료적 중재, 그리고 체온, 자궁강직, 질 분비물 자가검진법 교육, 배뇨 후 위생관리법 교육 등의 교육적 중재를 수행하였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양막파열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양막파열은 출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중요한 합병증 중 하나로, 감염 위험성이 높습니다. 양막이 파열되면 자궁 내 환경이 외부와 직접 연결되어 세균 침입의 통로가 열리게 됩니다. 이로 인해 자궁 내 감염, 산모 및 태아의 패혈증 등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양막파열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여 감염 예방을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항생제 투여, 자궁 내 세척, 정기적인 모니터링 등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산모의 상태와 감염 징후를 면밀히 관찰하여 필요 시 신속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양막파열로 인한 감염 위험성을 최소화하고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