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성학의 이해
본 내용은
"
독성학의 이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28
문서 내 토픽
-
1. 독성(Toxicity)의 정의독성은 약물의 종류, 용량(노출 량), 노출 경로, 체질적인 차이 등에 따라 다르며, 경로(route), 양(dose), 기간(duration), 빈도(frequency)에 따라 달라짐. 용량과 접촉/노출 경로를 포함한 용량 반응(독성) 관계로 표시함.
-
2. 부작용부작용은 의약품이 특정의 목적으로 사용될 때, 그의 목적에 따른 작용을 주작용(principal action), 치료목적에 맞지 않는 작용을 부작용(side effect)이라 함. 부작용은 통상 용량 및 과량투여에서 발현되지만 용인될 수 있는 것과 용인될 수 없는 것이 있음.
-
3. 용량 - 반응 그래프노출과 유발효과 사이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며 용량이 높으면 높을수록 반응은 더 심해짐. 용량-반응관계는 실험동물, 인간의 임상 또는 세포연구로부터 관찰되는 자료를 근거로 함. 일반적으로 S자 곡성의 형태이지만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
-
4. LD50, ED50, TD50LD50(반수치사량)은 통계적으로 개체의 50%가 죽을 것으로 예상되는 용량이며, ED50(반수효과량)은 집단의 50%에 유효한 용량, TD50(반수중독량)은 집단의 50%에게 유해한 독성 작용을 일으키는 용량을 나타냄.
-
5. 치료계수(Therapeutic Index) & 안전역(Margin of Safety)치료계수(Tl)는 약물이나 화학물질의 안전성정도를 나타내며, 안전역(MOS)은 약물이나 화학물질의 안전성 정도를 나타냄. 이 값이 높을수록 안전한 물질로 구성됨.
-
6. 법의학적 독성학체액과 조직을 분석하여 약물, 알코올 또는 기타 독성 물질이 있는지 확인하는 작업으로, 용의자가 범죄 당시 음주 상태에 있었는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음주 운전 또는 의심스러운 사망과 관련된 사건에서 중요한 증거를 제공함.
-
1. 독성(Toxicity)의 정의독성은 화학 물질이나 물리적 요인이 생물체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을 의미합니다. 이는 화학 물질의 농도, 노출 시간, 노출 경로 등에 따라 다양한 정도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독성은 단순히 화학 물질의 유해성뿐만 아니라 생물체의 생리적 반응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독성을 정의할 때는 화학 물질의 특성과 생물체의 반응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독성은 개인차, 연령,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들도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
2. 부작용부작용은 화학 물질이나 의약품 등이 생물체에 미치는 원치 않는 부정적인 영향을 의미합니다. 부작용은 화학 물질의 독성 정도, 노출 경로, 노출 시간, 개인차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부작용에는 급성 부작용과 만성 부작용이 있으며, 경미한 부작용부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부작용까지 다양합니다.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화학 물질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용량과 노출 경로를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부작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
3. 용량 - 반응 그래프용량-반응 그래프는 화학 물질의 농도나 투여량과 생물체의 반응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이 그래프를 통해 화학 물질의 독성 정도와 용량에 따른 생물체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용량-반응 그래프는 독성학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며, 화학 물질의 안전성 평가, 위험 관리, 용량 설정 등에 활용됩니다. 그래프의 형태와 기울기를 통해 화학 물질의 독성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용량 설정과 위험 관리 방안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
4. LD50, ED50, TD50LD50, ED50, TD50는 독성학에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LD50(Lethal Dose 50)은 실험 대상 집단의 50%를 사망시키는 화학 물질의 용량을 의미합니다. ED50(Effective Dose 50)은 실험 대상 집단의 50%에게 원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화학 물질의 용량을 의미합니다. TD50(Toxic Dose 50)은 실험 대상 집단의 50%에게 독성 반응을 일으키는 화학 물질의 용량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화학 물질의 독성 정도와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 활용됩니다. 특히 LD50와 ED50의 비율인 치료계수(Therapeutic Index)는 화학 물질의 안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5. 치료계수(Therapeutic Index) & 안전역(Margin of Safety)치료계수(Therapeutic Index)는 화학 물질의 독성 정도와 치료 효과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화학 물질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치료계수가 높을수록 화학 물질의 안전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전역(Margin of Safety)은 화학 물질의 치료 용량과 독성 용량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안전역이 클수록 화학 물질의 안전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화학 물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
6. 법의학적 독성학법의학적 독성학은 법적 절차와 관련된 독성학 분야입니다. 이 분야에서는 화학 물질의 독성이 범죄 행위나 사고와 관련되어 있는지 여부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법의학적 독성학자들은 사망 원인 규명, 약물 남용 및 중독 사례 분석, 환경 오염 사고 조사 등 다양한 법적 사안에 개입합니다. 이들은 화학 물질의 독성 특성, 노출 경로, 생물학적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법적 판단에 필요한 과학적 증거를 제공합니다. 법의학적 독성학은 화학 물질의 위험성 평가와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식품독성학1. 독성학 소개 독성학은 '생명에 물리적인 성질을 가진 화학물질이나 물질의 부작용(유해 효과)에 대한 연구'이다. 이러한 유해효과는 즉각적인 죽음부터 몇 년 또는 몇 년에 걸쳐서 나타날 수 있다. 독성 물질이 어떻게 신체를 손상시키는지에 대한 이해는 의학 지식과 함께 발전해왔다. 일부 독성 화학물질은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 2. 독성학의 역사 독성...2025.05.07 · 의학/약학
-
식품독성학-독성작용 및 독성평가1. 독성 작용 독성 작용에는 전신 독성 작용, 급성 독성, 아만성 독성, 만성 독성, 발암성, 발생 독성, 유전독성 등이 있다. 전신 독성 작용은 특정 장기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장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급성 독성은 노출 후 단기간에 발생하며, 아만성 독성은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의 반복 노출로 인해 발생한다. 만성 독성은 장기간의 노출로 인...2025.05.07 · 의학/약학
-
생활과 화학 레포트1. 오펜하이머와 독사과 영화 <오펜하이머>는 미국의 핵물리학자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일생을 다룬 이야기로, 평화를 꿈꾸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어떻게 '원폭의 아버지'로 알려지게 되었는지, 전쟁 영웅에서 전범으로 거듭나는 오펜하이머의 여정을 탐구하며, 그의 극적이고 감정적인 삶을 묘사한다. 극 중에서는 오펜하이머가 자신의 지도 교수를 독사과를 이...2025.01.16 · 자연과학
-
Crystal Violet Assay 세포생존력검사, 세포독성검사 결과 레포트1. Crystal Violet Assay 이번 실험에서는 in vitro 상에서 세포의 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을 농도에 따라 처리해 세포의 생존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Crystal Violet Assay 방법을 통해 농도별 cisplatin 투여시 B16F10 cells의 control 대비 세포 생존력을 확인할 수 있다. 2. 세포독성검사 세포독성 ...2025.05.11 · 의학/약학
-
물벼룩의 심장박동수 측정1. 물벼룩의 심장박동 측정 이 실험에서는 물벼룩의 심장박동을 관찰하고 심장박동에 영향을 주는 화학물질의 효과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물벼룩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고 아드레날린, 아세틸콜린, 니코틴 등의 화학물질이 심장박동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아드레날린과 니코틴은 심장박동을 증가시켰고 아세틸콜린은 심장박동을 감소시켰다. 이를 통해 화학물질...2025.04.28 · 자연과학
-
DES가 female mouse의 reproductive organs에 미치는 영향 관찰1. DES의 내분비 교란 작용 DES는 estrogen receptor α와 β에 대한 결합 친화성이 estradiol보다 더 높은 강력한 estrogen agonist으로 내분비 교란을 유도한다. 이로 인해 여성 생식기관, 유선, 시상하부, pituitary hormone binding globulin(SHBG)과 혈장 단백질 합성이 증가되고, 시상하부...2025.05.10 · 의학/약학
-
식품독성학 13페이지
1. Toxicology introduction1.1.1 독성학이란?- 독성학의 고전적인 정의는 “독에 대한 과학”이다.- 우리는 어떤 종류의 물질이 인간에게 해로운지 이해한다.- 독성학은 "생명에 물리적인 성질을 가진 화학물질이나 물질의 부작용(유해 효과)에 대한 연구"이다.- 이러한 유해효과는 즉각적인 죽음부터 몇 년 또는 몇 년에 걸쳐서 나타난다.- 미묘한 변화를 인식하지 못하는 범위까지, 많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장기, 세포, 또는 특정한 생화학물질과 같은 신체의 다양한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다.- 독성 물...2023.05.08· 13페이지 -
식품첨가물의 이해 (전반적내용과 독성학 등) 37페이지
Chap10 . Food Additives( 식품첨가물 )목 차 1. 도입부 2. Preserative ( 보존료 ) 3. Antioxidants (항산화제) 4 . Sweeteners (감미료) 5. Coloring Agents (착색제) 6 . Flavoring Agents ( 착향료 ) 7 . Flavor Enhancers (향미 증진제 )도입부 1. 도입부1. 도입부식품 첨가물을 사용하는 이유 ? 1. 도입부식품첨가물의 정의 ? 1. 도입부식품첨가물의 안전성과 ADI 는 무슨 관계인가 ? 출처 : 식품안전나라 1. 도입부 여...2021.12.17· 37페이지 -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진단명 독성간염)toxic hepatitis 17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성별/나이F/63진단명Toxic hepatitisC/CGeneral weakness, Jaundice, nausea, hematemesis과거력10년전 늑막염입원일2014년 6월 24일 (ICU 7월 5일)부서5ICU 소화기내과◈ 목 차 ◈1. 문헌고찰2. 간호사정3. 진단검사4. 복용약물5. 간호과정6.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 1. 문헌고찰 ─────────────────1. 정의양약, 한약, 건강기능식품 등의 여러 종류의 약제를 장기간 또는...2021.08.09· 17페이지 -
위해성평가 요약 5페이지
1. Introduction- 위해성 평가의 단계① hazard identification(유해성 확인): 특정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의 그 영향을 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② dose-response assessment (노출량-반응 평가): 유해물질의 농도에 따른 독성을 평가하는 것③ exposure analysis(노출평가):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빈도와 양을 평가하는 것④ characterization of risks(위해성 결정): 유해물질에 얼마나 노출되어야 위험한지를 평가하는 것- hazard(위해성): 생태계 또는 환경에 유...2022.12.19· 5페이지 -
약리학 내용 정리 22페이지
( 1 ) 주차 과제▶ 약리학의 정의에 대해 기술약리학은 약물의 작용에 관한 학문으로 약동학(신체가 약물을 흡수, 분배, 대사, 배설하는 방법)과 약력학(생체에 대한 약물의 작용 기전과 효과)과 같은 기타 관련 과학의 지식을 통합하는 것이다. 약리학은 간호사에게 약물과 약물 작용에 대해 이해를 도와주며 의도한 치료 효과에 도달하게 도와준다. 또한, 이상 반응이나 의도하지 않은 반응을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므로 간호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학문이라고 설명될 수 있다.▶ 약물과오와 8가지 투약원칙에 대해 서술먼저, 투약의 ...2023.12.24· 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