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사회복지 임상수련 퇴원(퇴소)계획 및 사후관리 케이스 예시
문서 내 토픽
  • 1. 정신건강사회복지 임상수련 퇴원계획 및 사후관리
    상기 pt는 20세에 schizophrenia으로 발병하여 현재까지 증상이 지속되고 있으며 외래치료와 약물치료는 계속하여 진행하나 병식에 대한 insight가 낮고 일상생활 능력이 떨어져 주 양육자와 집에서만 거주하며 사회적으로 고립감을 겪으면서 생활하던 중에 본인의 실수로 인하여 여동생이 사망하게 되는 사건 발생하였음. 다시 증상이 현저하게 나타나서 본원에 보호자 동의로 입원하여 현재까지 입원을 유지하고 있음. 이후 꾸준한 약물복용과 병동 내의 프로그램을 잘 참석하여 증상의 호전양상이 있고 낮병원을 규칙적으로 다니면서 호전된 양상을 보임. 다학제팀에서 pt에 대한 회의를 통해 퇴원기준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었고, 부모의 연로함과 pt와 작은 형의 욕구, pt의 증상적인 부분으로 일상생활 수행의 현저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평가되어 퇴원 후 지역사회 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을 연계하기 위해 심리사회적 사정을 진행했던 본 수련사회복지사에게 의뢰되어 퇴원계획을 수립하게 됨.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정신건강사회복지 임상수련 퇴원계획 및 사후관리
    정신건강사회복지 임상수련에서 퇴원계획 및 사후관리는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정신질환자의 성공적인 사회복귀를 위해서는 퇴원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와 지원이 필요합니다. 퇴원계획 수립 시 환자의 개별적인 상황과 욕구를 충분히 고려해야 하며, 지역사회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환자가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가족과 지역사회의 협력을 이끌어내는 것도 중요합니다. 사후관리 과정에서는 정기적인 방문 및 상담, 필요한 서비스 연계 등을 통해 환자의 재활과 사회복귀를 지원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정신질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통합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정신건강전문요원) 정신건강사회복지 임상수련 퇴원(퇴소)계획 및 사후관리 케이스 예시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