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대유 간호학과 A+] 아동간호학 빌리루빈 대사과정 정리
본 내용은
"
[자대유 간호학과 A+] 아동간호학 빌리루빈 대사과정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22
문서 내 토픽
-
1. 빌리루빈빌리루빈은 담즙 구성성분의 하나로 체내에서는 주로 헤모글로빈에서 만들어진다. 수명이 다한 적혈구가 파괴되면 혈색소 내의 heme이 빌리루빈(색소)으로 전환된다. 빌리루빈은 간접 빌리루빈이라 불리는 지용성 비결합상태로 분비되며, 간 내에서 효소, 단백질, 다른 세포가 비결합형 간접 빌리루빈을 결합형 직접 빌리루빈으로 변환한다. 결합형 직접 빌리루빈은 수용성이며 담도로 분비된 후 담즙에 섞여 담낭에 있다가 위장관으로 들어가 대변으로 배설되고 신장에서도 소량 배출된다.
-
2. 빌리루빈 대사 과정빌리루빈의 대사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생성: 헤모글로빈이 세망내피계에서 대사되어 biliverdin이 되고 곧 다시 환원되어 빌리루빈(불포합, 지용성)이 만들어진다. 2) 이송: 불포합빌리루빈은 혈청 알부민과 결합하여 간장으로 이동된다. 3) 세포 내 이동: 알부민과 해리되어 간세포로 들어간 빌리루빈은 세포막의 연결물질인 Y-단백과 결합하여 무과립 소포체(smooth endoplasmic reticulum)로 이동한다. 4) 포합: 무과립 소포체에서 UDPG-T(uridine diphosphate gluc?uronyl transferase)에 의해 포합이 일어나 수용성인 포합 빌리루빈으로 전환된다. 5) 배설: 포합 빌리루빈은 담도를 거쳐 장으로 이동하며, 일부는 -gluc?uronidase에 의해 불포합 빌리루빈으로 바뀌어 재흡수되어 간에서 다시 포합과정을 거치는 장간순환이 일어난다.
-
3. 황달 평가황달은 원인에 따라 출생 시부터 언제든지 나타날 수 있으며, 빌리루빈 수치가 증가함에 따라 얼굴에서 시작하여 복부, 발까지 진행된다. 황달의 정도는 경피용 황달 측정기를 사용하거나 피부를 눌러보아 추정할 수 있다. 황달이 복부 중앙부까지 진행되는 경우 생리적 황달이 아닐 가능성이 높으며, 급격히 진행되면 용혈이나 패혈증에 의한 것일 수 있다. 간접 빌리루빈 침착에 의한 황달은 밝은 황색이나 오렌지색이지만, 직접 빌리루빈 침착에 의한 황달은 초록색 또는 진흙색과 같이 어두운 색이 섞인 황색을 띤다. 황달이 출생 첫 24시간 이내에 출현하면 병적인 상태로 보고 진단적 평가를 시행해야 한다.
-
1. 빌리루빈빌리루빈은 적혈구 파괴 과정에서 생성되는 노란색 색소로, 간에서 대사되어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사 산물입니다. 정상적인 경우 빌리루빈 수치는 낮게 유지되지만, 간 기능 이상이나 적혈구 파괴 증가 등의 경우 빌리루빈 수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황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빌리루빈은 간 기능 평가와 황달 진단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따라서 빌리루빈 수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빌리루빈 대사 과정빌리루빈은 적혈구 파괴 과정에서 생성되며, 간에서 대사되어 배출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먼저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헤모글로빈에서 빌리루빈이 생성됩니다. 이 빌리루빈은 간으로 이동하여 글루쿠론산과 결합하는 포합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이렇게 포합된 빌리루빈은 담즙으로 배출되어 장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장에서는 장내 세균에 의해 분해되어 우로빌리노겐이 되며, 이는 다시 간으로 재흡수되거나 대변으로 배출됩니다. 이러한 빌리루빈의 대사 과정은 간 기능 평가와 황달 진단에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
3. 황달 평가황달은 피부와 점막이 노란색으로 변하는 증상으로, 빌리루빈 수치 증가로 인해 발생합니다. 황달 평가에는 빌리루빈 수치 측정이 가장 중요한데, 직접 빌리루빈과 간접 빌리루빈을 구분하여 측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직접 빌리루빈은 간에서 대사된 포합 빌리루빈을 나타내며, 간 기능 이상을 반영합니다. 간접 빌리루빈은 비포합 빌리루빈을 나타내며, 적혈구 파괴 증가를 반영합니다. 이 두 지표의 비율과 변화 양상을 통해 황달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간 기능 검사, 혈액 검사 등 다양한 검사를 통해 황달의 원인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