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 순환기계 간호과정(진단3개 계획까지/가스교환장애, 심박출량 감소, 체액과다)
본 내용은
"
학점 4.35, 실습 올A+ 성인간호학 순환기계 간호과정(진단3개 계획까지/가스교환장애, 심박출량 감소, 체액과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18
문서 내 토픽
-
1. 심근경색증67세 강씨는 1년 전 심근경색증으로 CABG 수술을 받았고 퇴원 후 약물 치료를 받아왔습니다. 현재 급성 심부전으로 진단되었으며, 호흡곤란, 객혈, 식욕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
2. 급성 심부전강씨는 침대에 앉은 자세로 있어야만 숨을 쉴 수 있다고 호소하고 있으며 숨이 차서 다른 일을 하기 힘들다고 하였습니다. 활력징후 결과 혈압 95/72mmHg, 맥박 124회, 호흡 28회, 체온 36.5도로 나타나 급성 심부전이 진단되었습니다.
-
3. 약물 복용강씨는 enalapril(Vasotec), digoxin, furosemide(Lasix), coumadin, potassium chlorde를 규칙적으로 복용해 왔으나, 평소 중국음식을 즐겨 먹었으며 식사 사이에 간식을 즐겨 하였다고 합니다.
-
4. 간호 진단강씨의 증상과 활력징후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 진단은 가스교환장애, 심박출량 감소, 체액과다로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따른 간호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1. 심근경색증심근경색증은 심장 근육에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발생하는 심각한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심장 근육이 손상되고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심근경색증의 주요 원인은 동맥경화증으로 인한 혈관 폐쇄입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 정기적인 건강검진, 그리고 위험 요인 관리가 중요합니다. 또한 증상 발생 시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며, 약물 치료와 함께 생활 습관 개선이 필요합니다. 심근경색증은 심각한 질환이지만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통해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
2. 급성 심부전급성 심부전은 심장의 펌프 기능이 갑자기 저하되어 발생하는 심각한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호흡 곤란, 부종, 피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심근경색, 심장 판막 질환, 부정맥 등이 있습니다.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며, 약물 치료와 함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원인 질환에 대한 관리와 함께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합니다. 급성 심부전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이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예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
3. 약물 복용약물 복용은 질병 치료와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하지만 부적절한 약물 복용은 부작용과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정확한 용량과 시간에 약물을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약물 상호작용과 부작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환자는 의사와 약사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약물 복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자신의 건강 상태와 약물 반응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약물 복용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4. 간호 진단간호 진단은 간호사가 환자의 건강 문제를 파악하고 간호 중재를 계획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간호 진단을 통해 환자의 건강 상태와 간호 요구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간호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간호 진단 과정에서는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근거 기반 실무에 따라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간호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 중심의 간호 중재를 제공하고, 그 효과를 지속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TGA (Transposition of great arteries, 대혈관 전위) 간호과정 casestudy 19페이지
R E P O R T아동 간호학 실습 ⅡPICU1Ⅰ 질병 기술 : TGA (Transposition of great arteries, 대혈관 전위)1. 병태생리대혈관 전위는 선천성 심장기형으로 두 개의 대혈관, 즉 폐동맥과 대동맥이 정상과는 반대로 나와 우심실에서 대동맥이 나오고 좌심실에서 폐동맥이 나오는 질환을 말한다. TGA를 가진 영아의 경우, 저산소 혈액이 우심방을 통해 우심실로 들어가 대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흐른다. 폐에서 오는 산화된 혈액은 좌심방을 통해 좌심실로 들어간 후 폐동맥을 통해 다시 폐로 들어간다. 그러므로 평...2020.05.05· 19페이지 -
중환자 간호에 대한 모든 것 31페이지
1. 성인간호학 도서의 요약정리☆ 중환자간호간호과정이란 임상에서의 의사결정방법으로, 간호사가 관심을 가지는 임상현상과 관련된 사고와 행위이다. 전통적으로 간호과정은 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의 5단계로 구성된다. 체계적인 의사결정모델인 간호과정은 일직선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원형 모양을 한다. 평가단계에 의해서 간호과정은 의사결정 산출의 질적인 조절을 유지하면서 피드백 고리로 다시 이어진다. 그러나 간호과정은 단순한 문제해결방법이 아니다. 그것은 가장 최선의 문제해결방법일 뿐만 아니라 임상문제를 보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2009.04.01· 3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