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 임상포트폴리오 욕창환자 간호
본 내용은
"
성인간호 임상포트폴리오 욕창환자 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17
문서 내 토픽
  • 1. 접촉주의
    접촉주의는 직접 또는 간접접촉에 의해 다른 환자나 환경에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A형간염, 옴, 다제내성균(VRE, CRE 등), C.difficile, MRSA, 로타바이러스 등의 감염 예방을 위해 사용됩니다. 접촉주의 시 대상자 독방, 직원의 장갑 및 가운 착용, 물품 별도 사용, 방 밖으로의 출입 제한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 2. 욕창 단계와 호발 부위
    욕창은 1단계부터 4단계까지 단계가 있으며, 단계가 높아질수록 피부 손상이 심각해집니다. 욕창은 주로 뼈 돌출 부위에서 호발하며, 앙와위 시 후두골, 어깨뼈, 등골뼈, 엉치뼈, 꼬리뼈, 발뒤꿈치 등에서, 복위 시 이마뼈, 아래턱뼈, 위팔뼈, 가슴뼈, 골반융기부, 무릎뼈, 정강뼈 등에서 잘 생깁니다. 그 외에도 삽관 부위, 정형외과적 도구 사용 부위 등에서 피부 손상 위험이 있습니다.
  • 3. Glasgow Coma Scale
    Glasgow Coma Scale은 의식 수준을 평가하는 도구로, 눈 개안, 언어, 운동 반응을 평가하여 총점 15점 만점으로 측정합니다. 15점은 완전 의식, 13-14점은 졸림, 8-12점은 혼미, 4-7점은 반혼수, 3점은 혼수 상태를 의미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접촉주의
    접촉주의는 의료 환경에서 감염 예방을 위한 중요한 조치입니다. 환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최소화하고, 개인보호장비 착용 등 표준주의 지침을 준수함으로써 의료관련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접촉주의는 특정 병원체에 감염된 환자나 보균자를 대상으로 적용되며, 이를 통해 의료진과 다른 환자들의 감염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접촉주의 지침을 준수하는 것은 의료기관의 안전한 환경 조성과 환자 안전 보장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 2. 욕창 단계와 호발 부위
    욕창은 피부와 피하조직의 손상으로, 주로 뼈 돌출부위에서 발생합니다. 욕창 단계는 1단계부터 4단계까지 구분되며, 단계가 높아질수록 손상 정도가 심각해집니다. 1단계는 피부 발적, 2단계는 수포 및 피부 부분 손실, 3단계는 피부 전층 손실, 4단계는 근육, 건, 뼈까지 손상되는 것으로 구분됩니다. 욕창 호발 부위는 천골, 미골, 좌골, 대전자, 발꿈치 등 뼈 돌출부위입니다. 이러한 부위에 지속적인 압박이 가해지면 혈액 순환이 저하되어 욕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욕창 예방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체위 변경, 압력 감소 지지면 사용, 영양 관리 등이 중요합니다.
  • 3. Glasgow Coma Scale
    Glasgow Coma Scale(GCS)은 의식 수준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도구로, 눈 개눔, 언어 반응, 운동 반응의 3가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각 항목별로 1점에서 6점까지 점수를 부여하며, 총점은 3점에서 15점 사이입니다. 점수가 낮을수록 의식 수준이 저하된 것을 의미합니다. GCS는 외상, 뇌졸중, 뇌출혈 등 신경계 질환 환자의 초기 평가와 경과 관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또한 응급실이나 중환자실에서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GCS는 간단하고 객관적인 평가 도구로, 의료진 간 의사소통과 환자 관리에 필수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