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제-ISOTR26122
본 내용은
"
발제-ISOTR26122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16
문서 내 토픽
-
1. ISO/TR 26122ISO/TR 26122는 기록관리학 분야에서의 업무분석에 관한 국제표준으로, 기록을 위한 업무과정을 분석하여 업무과정에서 생산되어야 하는 기록을 식별하고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표준은 맥락분석, 기능분석, 순차분석 등의 방법을 제시하며, AS5090의 내용을 대부분 수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KS-ISO TR 26122:2008로 완전부합화 방식으로 수용되었다.
-
2. 업무분석업무분석은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인력이 수행하는 업무를 가능한 한 세부적으로 파악하는 것으로, 경영학이나 시스템 개발 분야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기록관리를 위한 업무분석은 기록의 생산, 획득, 통제의 요건을 식별하기 위해 조직의 처리행위, 과정,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기록의 요건을 결정하고, 처분지침 및 기능에 기반한 업무분류표를 작성할 수 있다.
-
3. 업무분석 방법론ISO 15489, DIRKS, AS 5090 등 다양한 업무분석 방법론이 존재한다. ISO 15489는 기록관리시스템 구축 방법론인 DIRS를 제시하고, DIRKS는 기록관리시스템의 설계와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AS 5090은 DIRKS의 추상성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특히 순차분석에 집중하고 있다. 이들 방법론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
4. 업무분석 방법업무분석 방법에는 맥락분석, 기능분석, 순차분석이 있다. 맥락분석은 조직의 사업수행 맥락 및 업무과정 발생 맥락을 검토하는 것이며, 기능분석은 조직의 광범위한 목적과 목표로부터 기능을 하향식으로 분해하는 것이다. 순차분석은 하나의 업무과정에서 행위나 처리행위의 순서 및 다른 과정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도표화하는 것이다. 이들 방법은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
1. ISO/TR 26122ISO/TR 26122는 조직의 업무 분석 및 기록을 위한 국제 표준 기술 보고서입니다. 이 표준은 조직의 업무 프로세스와 정보 흐름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문서화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조직은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위험을 관리하며, 규정 준수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ISO/TR 26122는 업무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정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표준은 조직의 업무 프로세스 개선과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중요한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업무분석업무분석은 조직의 목표, 프로세스, 정보, 자원 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활동입니다. 업무분석은 조직의 현재 상태를 이해하고, 문제점을 파악하며, 미래의 요구사항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업무분석 결과는 정보 시스템 설계, 프로세스 재설계, 조직 구조 개선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업무분석을 위해서는 분석 대상, 범위, 방법론 등을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와 협력이 필요합니다.
-
3. 업무분석 방법론업무분석 방법론은 업무분석 활동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와 기법을 제공합니다. 대표적인 업무분석 방법론으로는 IDEF(Integrated DEFinition), BPMN(Business Process Model and Notation),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론들은 업무 프로세스 모델링, 정보 흐름 분석, 요구사항 도출 등 다양한 기법을 제공하며, 업무분석 결과의 일관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방법론에 따라 업무분석 활동의 범위와 초점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조직의 특성과 목적에 맞는 방법론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업무분석 방법업무분석 방법은 업무분석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법과 도구를 제공합니다. 대표적인 업무분석 방법에는 인터뷰, 설문조사, 문서 검토, 관찰, 워크숍, 프로세스 매핑, 시나리오 분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업무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식별하며,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데 활용됩니다. 효과적인 업무분석을 위해서는 분석 목적과 대상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고, 다양한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분석 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와 검증 과정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