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절개관 관리
본 내용은
"
기관절개관 관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11
문서 내 토픽
  • 1. 기관절개술(tracheostomy)
    기도확보를 위해 기관을 외과적으로 절개하여 개구부를 만드는 것으로, 2, 3, 4번째 기관연골 부위를 절개하여 삽입함.
  • 2. 기관절개관 드레싱을 할 때 사용하는 용액
    과산화수소수: 과산화수소(H2O2)의 분자 구조는 물(H2O)에 산소가 하나 더 붙어있는 형태. 과산화수소가 단백질을 만나면, 물과 병원균을 살균하는 활성산소로 분리되어 거품을 부글부글 끓게 함. 과산화수소수의 분해된 활성산소는 강력한 독성물질이므로 희석하여 사용해야 함. 멸균생리식염수: 과산화수소수의 독성을 씻어내고, 내관이 잘 삽입될 수 있도록 윤활제의 역할을 수행함.
  • 3. Y 거즈를 끼울 때 주의해야 할 사항
    기관절개관이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거즈의 올이 풀린 섬유가 기관내로 흡인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 4. 기관절개관 관리 준비물품
    기관절개 드레싱세트(Kelly or forcep, 종지 2개 : 소독솜, 내관), 기관절개관용 흡인 튜브 또는 5-6Fr. 흡인카테터, 2개의 소독된 내관, 기관절개관 모형(내관과 분리되는 관을 가진 것), 멸균 생리식염수, 과산화수소수, 멸균장갑 4개, 곡반, Y-거즈, 멸균 4X4 거즈, 소독솜, 겸자, 쟁반(tray), 소독된 긴 면봉 3-5개, 흡인기/흡인 카테터, 산소주입기, 부소독 곡반, 손소독제, 수건 혹은 방수포, Ambu bag, 가위, 고정끈, 일회용 장갑, 간호기록지.
  • 5. 기관절개관 관리 절차 상 유의점
    대상자는 기관절개관을 하고 있으므로 이름을 말할 수 없으니, 입원팔찌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기관절개관이 빠지지 않도록 손으로 잡은 후 고정구에 새 끈을 넣어 고정해야 하며, 끈이 너무 조이면 대상자에게 불편감을 초래하고 혈관을 압박할 수 있으므로 손가락 두 개 정도의 공간을 남기고 목끈을 고정해야 한다. 사용한 내관이 담겨있는 종지에 과산화수소수와 생리식염수를 1:1로 따라 소독 및 세척해야 한다.
  • 6. 기관절개관 관리 간호기록지
    간호기록지에는 날짜와 시간, 기관절개 부위 상태, 분비물의 양, 색, 냄새, 점도, 대상자의 호흡양상과 반응 등을 기록해야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기관절개술(tracheostomy)
    기관절개술은 호흡 곤란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기 위해 시행하는 수술입니다. 이 수술은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수술 후 관리가 적절하지 않으면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기관절개술을 받은 환자는 평생 기관절개관을 유지해야 하므로 이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교육이 필수적입니다. 간호사는 환자와 보호자에게 기관절개관 관리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정기적인 확인을 통해 합병증을 예방해야 합니다. 또한 기관절개술 환자의 심리적 어려움을 이해하고 이를 지원하는 것도 중요한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 2. 기관절개관 드레싱을 할 때 사용하는 용액
    기관절개관 드레싱을 할 때는 멸균 생리식염수나 멸균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용액은 기관절개부위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감염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때로는 항균 성분이 포함된 용액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피부 자극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드레싱 교환 시 기관절개부위를 과도하게 자극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와 피부 반응을 면밀히 관찰하여 적절한 용액과 드레싱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 3. Y 거즈를 끼울 때 주의해야 할 사항
    기관절개관 관리 시 Y 거즈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Y 거즈는 기관절개부위를 보호하고 분비물 흡인을 용이하게 합니다. 하지만 Y 거즈를 잘못 끼우면 오히려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Y 거즈를 끼울 때 기관절개관이 압박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Y 거즈가 기관절개부위를 완전히 덮도록 하고, 거즈가 느슨하지 않도록 고정해야 합니다. 거즈 교환 시에는 기관절개부위를 최소한으로 노출시키고, 멸균 기법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이러한 주의사항을 지켜 Y 거즈를 관리하면 기관절개관 관리의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 4. 기관절개관 관리 준비물품
    기관절개관 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물품이 필요합니다. 멸균 생리식염수나 증류수, 멸균 거즈, 테이프, 가위, 핀셋, 흡인기 등이 기본적인 준비물품입니다. 이 외에도 기관절개관 고정용 끈, 기관절개관 세척용 솔, 기관절개관 교환용 키트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와 요구에 따라 적절한 물품을 준비해야 합니다. 또한 물품의 유효기간과 멸균 상태를 확인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기관절개관 관리에 필요한 물품을 체계적으로 준비하는 것은 합병증 예방과 효과적인 간호 수행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 5. 기관절개관 관리 절차 상 유의점
    기관절개관 관리 시 가장 중요한 것은 무균 술식을 철저히 지키는 것입니다. 간호사는 손 위생, 멸균 장갑 착용, 멸균 물품 사용 등 감염 예방 조치를 반드시 취해야 합니다. 또한 기관절개관 고정 상태, 분비물 흡인 여부, 피부 상태 등을 면밀히 관찰하여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대처해야 합니다. 기관절개관 세척 시에는 과도한 압력으로 인한 기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주의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환자와 보호자에게 기관절개관 관리 방법을 충분히 교육하여 가정에서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러한 유의점을 지켜 기관절개관 관리를 수행한다면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 6. 기관절개관 관리 간호기록지
    기관절개관 관리 간호기록지는 환자의 상태와 간호 수행 내용을 체계적으로 기록하는 중요한 문서입니다. 이 기록지에는 기관절개관 상태, 분비물 양상, 피부 상태, 드레싱 교환 내용, 기관절개관 세척 및 흡인 내용 등이 포함됩니다. 간호사는 이 기록지를 통해 환자의 상태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간호 중재를 적시에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기록은 의료진 간 의사소통과 환자 관리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데 활용됩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기관절개관 관리 간호기록지를 정확하고 상세하게 작성해야 하며, 이를 통해 환자 안전과 양질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