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등학교 수학 평가기준안 - 심화수학2
문서 내 토픽
-
1. 부정적분여러 가지 함수의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고, 치환적분법과 부분적분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
2. 정적분구분구적법과 정적분의 뜻을 이해하고,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입체도형의 부피, 속도와 거리에 관한 문제, 평면상의 곡선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
3. 이차곡선포물선, 타원, 쌍곡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고, 이차곡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를 이해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
4. 공간도형과 공간좌표직선과 직선, 직선과 평면, 평면과 평면의 위치 관계에 대한 간단한 증명을 할 수 있고, 삼수선의 정리를 이해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좌표공간에서 점의 좌표, 두 점 사이의 거리,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의 좌표, 구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
5. 확률순열, 중복조합, 포함배제의 원리, 자연수의 분할, 이항정리 등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수학적 확률과 통계적 확률의 관계, 확률의 기본 성질과 덧셈정리, 여사건의 확률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
6. 통계확률변수와 확률분포, 이산확률변수의 기댓값과 표준편차, 이항분포와 정규분포의 뜻과 성질을 이해한다. 또한 모집단과 표본의 관계, 표본평균과 모평균의 관계, 모비율의 추정 등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
1. 부정적분부정적분은 미적분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함수의 미분을 역으로 수행하여 원래의 함수를 찾는 과정입니다. 이는 다양한 공학 및 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부정적분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은 미적분학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부정적분은 적분상수의 도입, 기본적분공식의 활용, 치환적분법 및 부분적분법 등 다양한 기법을 통해 학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함수의 적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부정적분은 미적분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매우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정적분정적분은 미적분학의 또 다른 핵심 개념으로, 함수의 면적이나 부피, 길이 등을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정적분은 부정적분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부정적분을 통해 정적분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정적분은 다양한 공학 및 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물리학, 경제학, 통계학 등에서 널리 활용됩니다. 정적분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은 미적분학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정적분은 리만합, 적분의 기본정리, 치환적분법 및 부분적분법 등 다양한 기법을 통해 학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함수의 적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정적분은 미적분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매우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이차곡선이차곡선은 미적분학과 해석기하학의 중요한 주제 중 하나입니다. 이차곡선은 원, 타원, 쌍곡선, 포물선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들은 수학, 물리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됩니다. 이차곡선의 방정식, 중심, 장축, 단축, 초점 등의 개념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은 해석기하학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또한 이차곡선의 성질을 활용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차곡선은 미적분학과 해석기하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매우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공간도형과 공간좌표공간도형과 공간좌표는 3차원 공간에서의 기하학적 개념과 좌표 체계를 다루는 주제입니다. 이는 수학, 물리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공간도형의 개념, 평면과 직선의 방정식, 공간좌표계, 벡터 등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은 3차원 공간에서의 문제 해결에 필수적입니다. 또한 공간도형과 공간좌표는 미적분학, 선형대수학 등 다른 수학 분야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이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간도형과 공간좌표는 수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매우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확률확률은 불확실성을 다루는 수학의 핵심 분야로, 통계학, 경제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됩니다. 확률의 기본 개념, 확률 공간, 조건부 확률, 독립사건, 확률분포 등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은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또한 확률은 통계학의 기초가 되며, 데이터 분석 및 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확률은 수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매우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6. 통계통계는 데이터를 수집, 분석, 해석하는 학문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됩니다. 통계의 기본 개념, 데이터 수집 방법, 기술통계, 추론통계 등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필수적입니다. 또한 통계는 확률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통계는 데이터 분석 및 의사결정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수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매우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수학 평가기준안 - 심화수학2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10
-
고등학교 3학년 전교과 평가기준안(평가계획서) 예시 177페이지
2024학년도3학년 평가기준안 (2학기)결재담당부장교감교장○ ○ 고 등 학 교차 례현대문학 감상 1경제 수학 8기하 18수학과제 탐구 25영어권 문화33심화 영어 독해Ⅰ42고전과 윤리 49정치와 법 57세계지리 66융합과학 82지구과학Ⅱ 98생명과학Ⅱ 108운동과 건강 118미술 전공 실기 127공학 일반 134중국어 회화Ⅰ 140일본어 회화Ⅰ 148철학155심리학 167보건1732024학년도 3학년 2학기 현대문학감상 평가 계획○○고등학교대상3학년이수단위4단위담당 교사○○○교육과정편제진로 선택성취도3단계등급산출여부해당 없음1. 평...2024.02.07· 177페이지 -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심화수학 1 교과교수 학습운영계획 및 평가계획서 예시 10페이지
1학기 온라인 공동 교육과정 [심화수학Ⅰ] 교과○○고등학교대상3학년이수단위2담당 교사○○○교육과정편제진로 선택성취도3단계등급산출여부미산출심화수학Ⅰ 교과 교수·학습 운영 계획Ⅰ시기(행사)시수/누계단원명(수업주제)교육과정 성취기준평가요소수업방법수업?평가 연계의 주안점3.25.~3.29.3/3Ⅰ. 방정식과 부등식1. 방정식(1) 분수방정식(2) 무리방정식[12심수Ⅰ01-01]분수방정식과 무리방정식을 풀 수 있다.[12심수Ⅰ01-02]분수방정식과 무리방정식을 활용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분수방정식과 무리방정식 문제 해결하기무...2024.05.14· 10페이지 -
문이과를 통합해야 하는가 3페이지
지금까지의 입장을 정리해 보자면 ‘문이과를 통합해야하는가?’ 에 대해 반대측은 첫째, 학생들의 적성에 벗어난 공부는 학생들의 부담을 늘리고 둘째, 교육과정이 자주 바뀌면 혼란을 초래하며, 셋째, 이과 기피 현상이 심해질 것이란 근거로 반대하였습니다. 하지만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적성과 상관없이 대학과정을 위한 기초적인 소양을 쌓는 과정이며, 더 나은 교육을 위해 교육과정이 바뀌는 것은 불가피하고, 공부량의 평등으로 인해 오히려 문이과 통합은 이공계열 기피현상을 완화시킬 것이라는 근거로 상대측의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음을 밝힙니다.따라...2023.02.03· 3페이지 -
[평가계획서][평가계획안][평가규정] 2학년 고급수학1 교과 학생 평가 규정 10페이지
2학년 고급수학Ⅰ교과 학생 평가 규정1. 평가 목표가. 수학 학습의 평가는 학생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생 개개인의 수학 학습과 전인적인 성장을 돕고 교사의 수업 방법을 개선하는 데 활용되어야 한다.나. 수학 학습의 평가에서는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고,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의 수준과 범위를 준수한다.다.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 기능뿐만 아니라 문제해결, 추론, 창의 융합, 의사소통, 정보 처리, 태도 및 실천과 같은 수학 교과 역량을 균형 있게 평가하고 지속적인 평가를 통하여 다양한 정...2023.04.21· 10페이지 -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규정 12페이지
○○○○학년도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 규정가. 교육과정 편성의 기본 방침1) 교육과정은 초·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과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20조 제6호,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2015.9.23.), 제2015-80호(2015.12.1.), 제2017-108호(2017.1.6.), 제2018-150호(2018.4.19.), 제2019-211호(2019.12.27.), 제2020-225호(2020.4.14.), 제2020-236호(2020. 9.11.), 제2020-248호(2020. 12.31.)에 근거하여 ○○...2024.06.15· 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