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학과 학점4.35 정리본- 소화기내과 검사 전후 간호(A++)
문서 내 토픽
-
1. 상/하부 EMR(내시경적 점막 절제술)위(대장) 용종, 선종 및 림프절 전이가 없는 조기 위암, 조기 식도암을 내시경 장치를 이용해 제거하는 시술. 검사 전 준비로는 가기 전 반드시 틀니, 장신구 제거, full self voiding, 시술 전 출혈 유발할 수 있는 약물 중단해야 함. 검사 후 간호로는 진정 시술로 인한 의식상태 확인, 낙상 재평가, 통증, 출혈 여부 사정, post x-ray 확인 후 water permit 가능, 합병증으로 심근경색, 호흡곤란, 저혈압, 부정맥, 쇼크 등이 발생할 수 있음.
-
2. 상/하부 ESD(내시경적 점막하박리술)상부 위장관에 발생하는 종양에 있어서 내시경을 통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절제하는 시술. 검사 전 준비로는 가기 전 반드시 틀니, 장신구 제거, full self voiding, 식도 및 위 수술을 받은 경우 점심은 미음으로만 소량 먹고 물은 자정까지 먹으며 자정 이후부터 금식, 수술받지 않은 경우 저녁은 6시경 죽이나 미음으로 먹고 물은 자정까지만 먹으며 자정 이후부터 금식. 검사 후 간호로는 진정 시술로 인한 의식상태 확인, 낙상 재평가, 통증, 출혈 여부 사정, post x-ray 확인 후 water permit 가능,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상생활이 가능함.
-
3. ERCP(내시경적역행담췌관조영술)총담관에 삽입한 내시경을 통해 담도계 및 췌관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X선 촬영을 하는 검사. 검사 전 준비로는 가기 전 반드시 틀니, 장신구 제거, full self voiding, 검사 전날 자정 이후부터 금식해야 함. 검사 후 간호로는 진정 시술로 인한 의식상태 확인, 낙상 재평가, 통증, 출혈 여부 사정, post x-ray로 천공여부 확인, 검사 6시간후 Serum amylase/lipase lab 확인 후 식이 진행.
-
4. EUS FNA(내시경초음파생검술)내시경 끝 부분에 초음파 변환기를 부착하여, 내시경검사와 동시에 초음파로 병터를 관찰할 수 있는 검사법. 검사 전 준비로는 가기 전 반드시 틀니, 장신구 제거, full self voiding, 검사 목적, 방법, 효과 설명 후 동의서 받기, 18G IV line 확보. 검사 후 간호로는 진정시술 환자 의식 상태, 낙상 재평가 필요, 어지러움 주의, 검사 후 혈변, 흑색변, 상부위장관 출혈 관찰.
-
5. PTBD(경피적간담관배액술)배액관을 체외에서 삽입하여 간 내의 담도에 위치시키는 시술. 검사 전 준비로는 가기 전 반드시 틀니, 장신구 제거, full self voiding, 금식 여부 확인, 동의서 확인 및 필요시 IV line 확보. 검사 후 간호로는 시술 부위 복부 불편감, 통증, 출혈 유무 관찰, 담즙 배액관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 감염을 막고 담증베액이 잘 되도록 배액주머니는 관 삽입위치보다 낮게 유지.
-
6. PEG(경피적내시경위조루술)내시경을 이용하여 복벽과 위에 누공을 만드는 수술. 검사 전 준비로는 가기 전 반드시 틀니, 장신구 제거, full self voiding, 복용 중이던 약물 확인 후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사용 시 복용을 중단. 검사 후 간호로는 L-tube 환자 내시경 전 반드시 제거, 시술 후 금식 유지, 출혈여부, 복통, 호흡곤란, 연하곤란, 발열, 토혈, 혈변 등 관찰.
-
7. Paracentesis(복수천자)복수를 채취하여 검사를 시행하거나 복강 내에 비정상적으로 과다하게 고여 있는 복수를 제거하여 복부 불편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하는 수술. 검사 전 준비로는 가기 전 반드시 틀니, 장신구 제거, full self voiding, v/s check, 천자로 인한 복부 둘레 감소 확인을 위해 검사 전 측정과 같은 부위에서 측정해 측정 부위 마킹(A/C), 체액 손실 확인차에서 전과 후 측정 비교하기 위해 몸무게 측정. 검사 후 간호로는 검사 전 후 복부둘레 및 체중 측정, 천자 부위에 출혈, 염증 증상 관찰, 배액물의 색깔과 양 관찰.
-
8. PCD(경피적카테터배액술)체내에 농양이 있는 환자를 카테터를 이용하여 초음파 및 투시촬영술을 이용하여 농양 내부로 넣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시술. 검사 전 준비로는 가기 전 반드시 틀니, 장신구 제거, full self voiding, 환자의 농양의 원인을 확인하고 배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시행되는 검사라고 알리고 환자에게 동의서를 받음. 검사 후 간호로는 시술부위 확인(통증,oozing 유무, 출혈), 배액관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 매일 배액되는 양을 정확하게 I/O(intake/output)기록.
-
9. Liver Bx(간 생검)살아있는 사람으로부터 간의 조직 일부를 채취하는 것. 검사 전 준비로는 가기 전 반드시 틀니, 장신구 제거, full self voiding, 오전 검사 시 전날 자정부터 금식, 오후 검사 시 아침 식후 금식, Lt. arm 18G IV route 확보. 검사 후 간호로는 검사 후 6시간 금식 유지 후 soft diet 허용, 6시간 동안 오른쪽으로 누워 절대 안정 유지, sand bag apply로 시술부위 압박 및 출혈, 통증, 복막염 등 부작용 유무 관찰.
-
10. TACE(간동맥화학색전요법)간종양에 영양을 공급하는 동맥을 찾아 항암제를 투여한 다음 혈관을 막아주는 치료법. 검사 전 준비로는 가기 전 반드시 틀니, 장신구 제거, full self voiding, 검사 전날 자정부터 금식, TACE 설명 및 동의서와 천자부위 지혈용 기구 동의서 받기, 18G IV line 확보 후 fluid 주입. 검사 후 간호로는 시술 후 족배 맥박(dorsalis pedis pulse) 확인, self voiding 유무 확인, 시술부위의 출혈, 통증, 발열 확인, 말단 부위의 색깔, 온도변화, 검사 부위의 출혈 및 종창, 호흡곤란, 오심, 구토, 열 관찰.
-
11. RFA(고주파 열치료)간의 악성 종양에 전극을 삽입해 고주파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암세포를 제거하는 시술. 검사 전 준비로는 검사당일 7시 흰우유 200ml, 계란노른자 2개 복용 → 담낭 수축 촉진, 가기 전 반드시 틀니, 장신구 제거, full self voiding, 검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미리 설명한 후 동의서 서명 받음. 검사 후 간호로는 검사 후 6시간 안정, 당일 CT 촬영 : 치료효과 확인, 심한 통증, 호흡 곤란 등의 증상 있을 경우 즉시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해야 함.
-
1. 상/하부 EMR(내시경적 점막 절제술)상/하부 EMR은 소화기 내시경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진단 및 치료 기술입니다. 이 술식은 조기 위암이나 대장암과 같은 표재성 병변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환자의 예후 향상에 기여합니다. 또한 병변의 정확한 병리학적 진단을 가능하게 하여 추가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시술 중 천공이나 출혈과 같은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어 시술 전 충분한 환자 평가와 숙련된 내시경의의 시술이 필요합니다. 향후 기술 발전과 더불어 합병증 발생률 감소, 시술 효율성 향상 등을 통해 상/하부 EMR의 임상적 유용성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상/하부 ESD(내시경적 점막하박리술)상/하부 ESD는 EMR에 비해 더 큰 병변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내시경 시술 기법입니다. 특히 조기 위암이나 대장암과 같은 표재성 병변에 대해 근치적 절제가 가능하여 수술적 치료를 대체할 수 있는 중요한 치료법입니다. 그러나 ESD는 시술 시간이 길고 기술적 숙련도가 높아 합병증 발생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따라서 시술 전 충분한 환자 평가와 숙련된 내시경의의 시술이 필수적입니다. 향후 기술 발전과 더불어 시술 시간 단축, 합병증 발생률 감소 등을 통해 상/하부 ESD의 임상적 유용성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3. ERCP(내시경적역행담췌관조영술)ERCP는 담도 및 췌관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중요한 내시경 시술입니다. 담석 제거, 담도 협착 확장, 담관 배액 등 다양한 치료적 중재가 가능하여 환자의 예후 향상에 기여합니다. 그러나 시술 중 췌장염, 출혈, 천공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어 시술 전 충분한 환자 평가와 숙련된 내시경의의 시술이 필요합니다. 또한 방사선 노출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향후 기술 발전과 더불어 합병증 발생률 감소, 시술 효율성 향상 등을 통해 ERCP의 임상적 유용성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4. EUS FNA(내시경초음파생검술)EUS FNA는 내시경초음파를 이용하여 췌장, 담도, 림프절 등 체내 깊은 부위의 병변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중요한 내시경 시술입니다. 특히 췌장암 진단에 있어 매우 유용하며, 다른 영상 검사로는 접근이 어려운 병변에 대한 조직 검사를 가능하게 합니다. 그러나 시술 중 출혈, 감염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어 시술 전 충분한 환자 평가와 숙련된 내시경의의 시술이 필요합니다. 향후 기술 발전과 더불어 합병증 발생률 감소, 시술 정확도 향상 등을 통해 EUS FNA의 임상적 유용성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5. PTBD(경피적간담관배액술)PTBD는 담도 폐쇄 환자에서 담즙 배액을 위해 시행하는 중요한 중재적 영상 시술입니다. 담도 폐쇄로 인한 황달, 담관염 등의 증상 완화와 함께 수술 전 준비를 위한 담즙 배액에 유용합니다. 그러나 시술 중 출혈, 담즙 누출, 감염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어 시술 전 충분한 환자 평가와 숙련된 시술자의 시술이 필요합니다. 향후 기술 발전과 더불어 합병증 발생률 감소, 시술 성공률 향상 등을 통해 PTBD의 임상적 유용성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6. PEG(경피적내시경위조루술)PEG는 장기간 경구 섭취가 어려운 환자에서 영양 공급을 위해 시행하는 중요한 내시경 시술입니다. 뇌졸중, 암, 신경계 질환 등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사용되며, 환자의 영양 상태 개선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합니다. 그러나 시술 중 감염, 출혈, 위 천공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어 시술 전 충분한 환자 평가와 숙련된 내시경의의 시술이 필요합니다. 향후 기술 발전과 더불어 합병증 발생률 감소, 시술 성공률 향상 등을 통해 PEG의 임상적 유용성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7. Paracentesis(복수천자)Paracentesis는 복수 축적 환자에서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시행하는 중요한 시술입니다. 복수의 원인 진단, 감염 확인, 증상 완화 등을 위해 널리 사용되며, 환자의 예후 향상에 기여합니다. 그러나 시술 중 출혈, 장기 천공, 감염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어 시술 전 충분한 환자 평가와 숙련된 시술자의 시술이 필요합니다. 향후 기술 발전과 더불어 합병증 발생률 감소, 시술 성공률 향상 등을 통해 Paracentesis의 임상적 유용성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8. PCD(경피적카테터배액술)PCD는 체내 농양, 낭종 등의 배액을 위해 시행하는 중요한 중재적 영상 시술입니다. 감염 병변의 효과적인 배액을 통해 환자의 증상 완화와 예후 향상에 기여합니다. 그러나 시술 중 출혈, 장기 천공, 감염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어 시술 전 충분한 환자 평가와 숙련된 시술자의 시술이 필요합니다. 향후 기술 발전과 더불어 합병증 발생률 감소, 시술 성공률 향상 등을 통해 PCD의 임상적 유용성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9. Liver Bx(간 생검)간 생검은 간 질환의 진단을 위해 시행하는 중요한 침습적 시술입니다. 만성 간질환, 간종양 등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에 유용합니다. 그러나 시술 중 출혈, 혈관 손상, 감염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어 시술 전 충분한 환자 평가와 숙련된 시술자의 시술이 필요합니다. 또한 시술 후 관찰이 중요합니다. 향후 기술 발전과 더불어 합병증 발생률 감소, 시술 정확도 향상 등을 통해 간 생검의 임상적 유용성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10. TACE(간동맥화학색전요법)TACE는 간암 환자에서 종양 괴사와 혈류 차단을 통해 치료 효과를 얻는 중요한 중재적 영상 시술입니다. 수술이나 국소 치료가 어려운 간암 환자에서 생존 기간 연장과 증상 완화에 기여합니다. 그러나 시술 중 간부전, 출혈, 감염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어 시술 전 충분한 환자 평가와 숙련된 시술자의 시술이 필요합니다. 향후 기술 발전과 더불어 합병증 발생률 감소, 시술 효과 향상 등을 통해 TACE의 임상적 유용성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11. RFA(고주파 열치료)RFA는 간, 신장, 폐 등의 고형 종양 치료에 사용되는 중요한 국소 치료법입니다. 수술이 어려운 환자에서 종양 괴사를 통해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환자의 예후 향상에 기여합니다. 그러나 시술 중 출혈, 장기 손상, 감염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어 시술 전 충분한 환자 평가와 숙련된 시술자의 시술이 필요합니다. 향후 기술 발전과 더불어 합병증 발생률 감소, 시술 효과 향상 등을 통해 RFA의 임상적 유용성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간호학과 학점4.35 정리본- 소화기내과 검사 전후 간호(A++)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