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각 구두식 교수법의 원리와 특징을 서술하고 이를 적용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시오.
본 내용은
"
청각 구두식 교수법의 원리와 특징을 서술하고 이를 적용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08
문서 내 토픽
-
1. 청각 구두식 교수법의 원리와 특징청각 구두식 교수법은 새로운 언어학인 구조주의 언어학과 학습이론인 행동주의 심리학의 영향을 받아 미 육군에서 개발한 언어 교수법이다. 구조주의 언어학은 다양한 언어에 대한 분석적 연구로 환경과 습관을 형성하고 자극과 반응을 강화하여 습관을 형성하는 행동주의 심리학에 따른 방법이다. 즉 언어를 학습하는 것은 체계적인 언어 자료를 제시하고 이를 어학을 배우는 장소에서 반복적인 연습과 기계적인 훈련을 통해 습관을 형성시키는 과정이라고 보았다. 청각 구두식 교수법의 특징으로는 새 학습자료는 대화식으로 제시하고 모방, 일정한 구문 암기, 반복을 통한 습관을 형성하도록 한다. 교사의 모국어의 사용은 극히 제한해서 사용하며, 반복적인 문형연습을 한다. 문장 구조는 반복연습으로 지도하고 구문은 대조 분석방법으로 단계적으로 전개되며 한번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교수한다. 제한된 어휘를 맥락속에서 제시하고 학습자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노력한다. 학습자의 응답에 즉시 강화를 해주며 모국어를 번역하거나 구조와의 대응을 통한 학습은 하지 않는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순서로 지도한다. 언어의 내용보다는 형태를 중시하고 어학 실습실, 시청각 자료들을 최대한 활용하여 지도한다. 문법 설명은 거의 없고 귀납적인 방법으로 지도한다. 발음의 중요성에 비중을 많이 둔다. 학습자들이 오류 없는 발화를 하려고 노력하고 내용은 경시하는 경향이 있다.
-
2. 청각 구두식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 모형학습목표: 경험한 일에 대해 묻고 답해보기 ('-(으)ㄴ 적이 있다')학습자료: 교재, 문형카드, cd①복습하기: 간단한 질문을 통해 지난시간에 배운 내용을 복습한다.②듣기: 오늘의 학습목표를 '-(으)ㄴ 적이 있다'를 제시하고 교재를 활용한다. 교재의 내용을 원어민의 음성으로 들려주고, 삽화나 그림자료를 보며 다시 듣기를 한다.③따라하기: 교재의 대화문을 하나씩 듣고 발음을 신경써서 따라하기를 한다.④외우기: 초벌 외우기와 대화를 통한 외우기를 한다.⑤문형연습: 중요한 구문을 반복 연습, 대치연습, 변형 연습을 한다.⑥활용: 대화문을 그대로 두명씩 짝을 이루거나 그룹을 만들어 역할극을 해보고, 대화문과 비슷한 상황을 제시하고 활용해 보도록 한다.⑦활동: 게임이나 짝에게 인터뷰를 해보도록 한다.⑧정리: 교재의 내용을 원어민 음성으로 다시 들려주고 설명을 해준다. 숙제를 제시할 수 있다.
-
1. 청각 구두식 교수법의 원리와 특징청각 구두식 교수법은 언어 습득의 자연스러운 과정을 모방하여 학습자가 듣기와 말하기 능력을 먼저 익히고, 이를 바탕으로 읽기와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수법입니다. 이 방법의 핵심 원리는 '입력 가설'로,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입력을 제공하여 자연스럽게 언어를 습득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또한 학습자의 오류를 수정하기보다는 의미 전달에 초점을 맞추어 유창성 향상에 중점을 둡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자신감과 동기를 높일 수 있습니다. 특징으로는 교사 중심의 수업, 반복적인 듣기와 말하기 연습, 문법 설명 최소화, 오류 수정 지양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학습자의 자연스러운 언어 습득을 돕고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2. 청각 구두식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 모형청각 구두식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 모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첫째, 도입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관심을 끌고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둘째, 이해 단계에서는 교사가 목표 언어를 천천히, 반복적으로 제시하고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셋째, 연습 단계에서는 학습자가 듣기와 말하기 연습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제공합니다. 넷째, 응용 단계에서는 학습자가 실제 상황에서 목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마지막으로 정리 단계에서는 학습 내용을 확인하고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수업 모형은 학습자의 자연스러운 언어 습득을 돕고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