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성장 발달 (1~3세)
본 내용은
"
간호학과 3학년 1학기 아동간호학 요약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05
문서 내 토픽
  • 1. 신체비율 변화
    2.5세에는 출생체중의 4배로 증가하며, 1~2세 사이에는 두위와 흉위가 같다가 이후 흉위가 계속 증가하여 두위보다 크게 됩니다. 12~18개월 사이에는 대천문이 닫힙니다.
  • 2. 감각 변화
    낙상 위험은 여전하며, 새로운 음식을 먹는 것을 꺼려합니다.
  • 3. 신체기관 성숙
    2세에는 척수의 수초화가 완료되며, 호흡기계에서는 중이염과 상기도 감염이 흔하게 발생하지만 호흡수와 심박동수는 감소하고 혈압은 증가합니다. 소화기계에서는 위 용적이 증가하여 하루 3끼 식사가 가능해지며, 12~24개월 사이에 괄약근 조절 능력이 생깁니다. 피부는 표피와 진피가 더 단단히 결합되어 감염과 자극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하며, 수분 손실도 줄어듭니다. 면역체계에서는 항체 생산이 시작되어 IgM은 영아기 후기, IgG는 2세 말, IgA, D, E는 조금씩 증가합니다.
  • 4. 전체운동/미세운동 발달
    전체운동 발달에서는 12~13개월에 다리를 넓게 벌리고 걸을 수 있고, 18개월에는 뛸 수 있으며, 2세에는 계단 오르내리기가 가능해지고, 2.5세에는 두 발로 뛰기, 한 발로 서기, 발끝으로 걷기 등이 가능해집니다. 미세운동 발달에서는 15개월에 좁은 병에 작은 물체를 넣을 수 있고, 18개월에는 균형을 유지하며 공을 던질 수 있습니다.
  • 5. 공간감각 및 융합적 시각 능력
    공간감각 발달에서는 18개월에 3~4개의 블록을 쌓을 수 있고, 24개월에는 6~7개, 30개월에는 8개 이상의 블록을 쌓을 수 있습니다. 융합적 시각 능력 발달에서는 15개월에 자발적 낙서가 가능해지고, 24개월에는 동그라미와 직선을 그릴 수 있으며, 유아기 말에는 보고 그리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 6. 심리사회적 발달
    자율감의 발달에서는 에릭슨의 이론에 따라 유아기에 자율성을 획득하고 의심/수치심을 극복하는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이 시기에는 거부증, 분노발작, 의식주의, 자아 발달, 초자아와 양심 발달이 나타납니다.
  • 7. 인지 발달
    감각운동기(12~24개월)에는 3차 순환반응이 나타나며,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탐구하게 됩니다. 이 시기에는 대상 영속성 개념이 증가하고, 자신과 사물의 구분, 기억에 대한 초기 추적이 가능해집니다. 정신적 조합기(19~24개월)에는 상징적 모방이 나타나며, 부모의 가사활동을 흉내내며 성 역할 행동을 학습하게 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신체비율 변화
    신체비율 변화는 아동기에 매우 중요한 발달 과정입니다. 이 시기에 신체 각 부위의 비율이 변화하면서 아동의 외모와 움직임이 성인과 구별되는 특징을 갖게 됩니다. 예를 들어 영아기에는 머리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지만 점차 몸통과 사지의 크기가 커지면서 균형을 이루게 됩니다. 이러한 신체비율 변화는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아동의 자아상 형성과 운동 능력 발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신체비율 변화에 대한 이해와 관찰은 아동 발달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2. 감각 변화
    아동기의 감각 변화는 매우 중요한 발달 과정입니다. 이 시기에 아동의 감각 기관들이 성숙하면서 감각 능력이 향상되고, 감각 정보를 통합하고 해석하는 능력도 발달합니다. 예를 들어 시각의 경우 색채 구분 능력, 깊이 지각 능력, 공간 지각 능력 등이 발달하며, 청각의 경우 소리 구분 능력, 음높이 구분 능력 등이 발달합니다. 이러한 감각 능력의 발달은 아동의 인지, 운동, 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따라서 감각 변화에 대한 이해와 관찰은 아동 발달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3. 신체기관 성숙
    아동기의 신체기관 성숙은 매우 중요한 발달 과정입니다. 이 시기에 아동의 신체기관들이 점차 성숙하면서 기능이 향상됩니다. 예를 들어 뇌의 경우 영아기에는 기본적인 기능만 발달하지만, 아동기에 들어서면서 고차원적인 인지 기능이 발달하게 됩니다. 또한 심장, 폐, 소화기관 등의 기능도 점차 향상되어 아동의 건강과 활동성이 증진됩니다. 이러한 신체기관 성숙은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에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따라서 신체기관 성숙에 대한 이해와 관찰은 아동 발달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4. 전체운동/미세운동 발달
    아동기의 전체운동과 미세운동 발달은 매우 중요한 발달 과정입니다. 이 시기에 아동의 대근육과 소근육이 점차 발달하면서 움직임의 정확성과 효율성이 향상됩니다. 예를 들어 걷기, 달리기, 점프 등의 전체운동 능력이 발달하고, 손가락 움직임, 필기 능력 등의 미세운동 능력도 발달합니다. 이러한 운동 능력의 발달은 아동의 자립성, 자신감, 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체운동과 미세운동 발달에 대한 이해와 관찰은 아동 발달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5. 공간감각 및 융합적 시각 능력
    아동기의 공간감각과 융합적 시각 능력 발달은 매우 중요한 발달 과정입니다. 이 시기에 아동은 공간에 대한 이해와 시각적 정보 처리 능력이 향상됩니다. 예를 들어 깊이 지각, 거리 추정, 방향 감각 등의 공간감각이 발달하고, 시각 정보와 다른 감각 정보를 통합하여 해석하는 융합적 시각 능력도 발달합니다. 이러한 능력의 발달은 아동의 운동 기술, 인지 능력, 사회적 상호작용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공간감각과 융합적 시각 능력 발달에 대한 이해와 관찰은 아동 발달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6. 심리사회적 발달
    아동기의 심리사회적 발달은 매우 중요한 발달 과정입니다. 이 시기에 아동은 자아 개념, 정서 조절, 대인관계 등의 심리사회적 능력이 발달합니다. 예를 들어 자아 개념이 형성되고, 또래 관계와 가족 관계가 발달하며, 정서 표현과 조절 능력이 향상됩니다. 이러한 심리사회적 발달은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과 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심리사회적 발달에 대한 이해와 관찰은 아동 발달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7. 인지 발달
    아동기의 인지 발달은 매우 중요한 발달 과정입니다. 이 시기에 아동의 지각, 기억, 주의, 언어, 문제 해결 등의 인지 능력이 급격히 발달합니다. 예를 들어 구체적 조작기에 접어들면서 논리적 사고와 분류 능력이 발달하고, 형식적 조작기에 이르면 추상적 사고와 가설 검증 능력이 발달합니다. 이러한 인지 발달은 아동의 학습, 문제 해결, 의사소통 등 전반적인 발달에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따라서 인지 발달에 대한 이해와 관찰은 아동 발달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