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통계학
본 내용은
"
보건통계학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02
문서 내 토픽
-
1. 도수분포표도수분포표(frequency distribution table)는 측정한 변수를 항목별로 횟수를 세거나 비슷한 값으로 묶어 계급을 만든 후 속하는 자료의 개수를 알 수 있도록 분류, 집계한 표입니다. 명목, 서열, 등간, 비율 수준의 자료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도수분포표의 작성방법은 (1) 측정값의 개수 파악, (2) 계급의 수 결정, (3) 계급 간격 계산, (4) 계급의 하한값과 상한값 정하기, (5) 빈도계산, (6) 도수분포표의 작성(제목, 측정단위, 합계 등)입니다.
-
2. 그래프보건통계학에서 사용되는 그래프에는 막대 그래프, 원그래프, 히스토그램, 다각형(선)그래프, 점그래프, 줄기와 잎 그림 등이 있습니다. 각 그래프는 자료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원그래프는 전체의 구성비를 파악하기 위해, 히스토그램은 도수분포표의 계급값들을 X축으로 하고 구간폭을 막대의 폭으로 하여 도수를 기등의 길이로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
3. 기술통계량기술통계량에는 빈도분석, 대표치(최빈치, 중앙값, 평균), 산포도(범위, 사분위수, 분산과 표준편차), 분포의 모양(왜도, 첨도) 등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표본집단의 성질을 요약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평균, 표준편차, 분산 등의 기술통계량을 사용하여 표본집단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1. 도수분포표도수분포표는 데이터의 분포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데이터 분석 및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도수분포표는 데이터를 일정한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별 빈도를 나타내므로, 데이터의 중심경향, 분산, 편향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도수분포표는 데이터의 특성을 요약하여 제시하므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수분포표는 데이터 분석 및 의사결정 과정에서 매우 유용한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그래프그래프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데이터의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그래프를 통해 데이터의 추세, 패턴, 관계 등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다양한 유형의 그래프(꺾은선그래프, 막대그래프, 산점도 등)를 활용하면 데이터의 특성에 맞는 시각화가 가능하므로, 데이터 분석 및 의사소통에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그래프는 데이터를 압축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 복잡한 데이터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래프는 데이터 분석 및 의사결정 과정에서 필수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기술통계량기술통계량은 데이터의 특성을 요약하여 제시하는 중요한 통계 지표입니다. 평균, 중앙값,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량을 통해 데이터의 중심경향, 분산, 편향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의 특성을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또한 기술통계량은 데이터를 압축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 복잡한 데이터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술통계량은 데이터 분석 및 의사결정 과정에서 필수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보건의료통계학 정리1. 보건의료통계학 원칙 보건의료통계학의 주요 원칙을 정리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분모는 연앙인구(7월 1일), 분자는 '조'로 시작하는 단어 사용 2) 모성사망률, 모성사망비 등 모성 관련 지표는 분모가 가임여성, 분자가 임신/출산/산욕 사망자 3) 아기 사망 지표의 분모는 출생아 4) 신생아, 영아, 주산기 등 키워드 구분 5) ...2025.04.26 · 보건
-
보건의료통계 완벽 요약 정리본1. 통계학의 기본개념 통계란 사람이나 사물, 사건, 사회적 현상 혹은 자연상황을 숫자로 구체화하여 나타낸 것으로 객관적인 자료를 기초로 정확하게 계산하고 판단해서 위험률을 줄이는 것이다. 통계학은 수집된 자료를 표, 도표, 숫자 등으로 요약정리하는 방법인 기술통계학과 기술통계가 기초로 한 추측통계학으로 나뉜다. 추측통계학은 모집단으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2025.01.16 · 의학/약학
-
[바이오통계학] 통계학의 중요성과 바이오통계학의 역할1. 통계학의 중요성 통계학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핵심적인 도구로 사용되며, 데이터의 수집, 분석, 해석을 통해 실세계의 현상과 패턴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바이오통계학은 생물학적 현상과 의학적 데이터를 다루는 분야로, 환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고 치료 효과를 평가하며, 공중보건 정책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한다. 2. 바이오통계학의...2025.01.26 · 의학/약학
-
보건통계학 문제 풀이1.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점수의 퍼진 정도 비교 중간고사는 30점 만점, 기말고사는 70점 만점이다.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점수의 퍼진 정도가 동일하다고 할 때, 빈칸에 들어갈 점수는 60점이다. 이는 변동 계수(CV)가 동일하다는 조건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이다. 2. 3할 타자의 안타 확률 3할 타자가 5회 타석에 들어섰을 때 안타를 1회 이하 칠 확률은...2025.01.26 · 의학/약학
-
서울대학교 보건통계학개론 1주차 과제답안1. 기술통계학 기술통계학은 측정 및 실험으로부터 수집한 원시 데이터의 정리, 표현, 요약, 해석 등을 통해 자료가 지닌 의미를 파악하는 통계적 방법 및 그것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2. 추론통계학 추론통계학은 표본집단의 통계 데이터로부터 모집단의 특성을 추론하는 통계 기법 및 그것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3. 변수 변수는 데이터를 수집할 때 관찰 장소, ...2025.05.10 · 의학/약학
-
서울대학교 보건통계학개론 14주차 과제답안1. 모집단의 모수 모집단의 모수에 대한 설명이 필요 없다. 예를 들어 정규분포를 따르는지 검정하기 위하여 적합도 검정을 수행할 때, 모집단의 모수를 따로 언급할 필요가 없다. 2. 비모수적 검정 비모수적 검정은 모집단의 확률분포함수에 대한 가정을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일부 비모수적 검정은 모수적 방법에 비해 계산이 간단하고 적용이 쉽다는...2025.05.10 · 의학/약학
-
보건통계학 통계해석 1페이지
집단 통계량진단N평균표준편차평균의 표준오차성적 1암기집단2토론집단554.807.20.8371.924.374.860독립표본 검정Levene의등분산 검정평균의 동일성에 대한 t-검정t자유도유의확률(양쪽)평균차차이의표준오차차이 95%의 신뢰구간F유의확률하한상한성적 등분산이 가정됨등분산이 가정되지않음2.469.155-2.558-2.55885.461.034.047-2.400-2.400.938.938-4.563-4.751-.237-.049조건서로 다른 두 집단, 성적 점수가 차이가 있는지 없는지 독립 T검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95% ...2020.09.27· 1페이지 -
보건통계학 통계해석 1페이지
입력된/제거된 변수⒜모형입력된 변수제거된 변수방법1비타민 D 하루 평균수면시간만나이⒝Enter⒜ 종속 변수: 체질량 지수⒝ 모든 요청된 변수가 입력되었습니다.모형요약모형RR제곱조정된 R제곱표준 추정값 오류1.158⒜.025.0233.498673873⒜ 예측변수: (상수) 비타민 D, 하루 평균 수면시간, 만나이분산 분석⒜모형제곱합df평균 제곱F유의 수준1 회귀분석잔차총계576.12322424.99723001.*************92.04112.24115.689.000⒝⒜ 종속 변수: 체질량 지수⒝ 예측 변수: (상수) 비타민 D...2020.09.27· 1페이지 -
보건통계학 통계해석 1페이지
평균표준편차Nxy29.333349.50002.248883.380993030기술통계량상관계수xyx pearson 상관계수유의확률(양쪽)제곱합 및 교차곱공분산N1146.6675.05730.549**.002121.0004.17230y pearson 상관계수유의확률(양쪽)제곱합 및 교차곱공분산N.549**.002121.0004.172301331.50011.43130** 상관계수는 0.01 수준(양쪽)에서 유의합니다.조건/분석두 변수 x와 y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지만 강한 상관관계는 아닌 것 같아보인다. 이로 상관 분석을 실행하고 x,...2020.09.27· 1페이지 -
보건통계학 통계해석 1페이지
대응표본 통계량평균N표준편차평균의 표준오차대응1 사전VAR000025.80007.0000551.643171.41421.73485.63246대응표본 상관계수N상관계수유의확률대응1 사전& VAR000025.968.007대응차t자유도유의확률(양측)평균표준편차평균의 표준 오차차이의 95% 신뢰구간하한상한대응1 사전& VAR00002-1.20000.44721.20000-1.75529-.64471-6.0004.004대응표본 검정조건동일인에 대해 두 번 측정한 값 사전 사후를 측정한 값이 대응표본으로, 사전 점수 변수1, 사후 점수 변수2에 적...2020.09.27· 1페이지 -
보건 통계학 레포트 4페이지
상관분석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함): 분석→상관분석→이변량 상관계수→ 보고자 하는 변수들을 ‘변수’에 옮김(이때 변수들은 모두 연속형 변수임)대상자들의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혈중나트륨, 혈중 콜레스테롤, 연령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축기혈압은 이완기혈압(r=0.77, p2022.11.30·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