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공업화학실험 분별증류 결과보고서
본 내용은
"
유기공업화학실험 분별증류 결과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01
문서 내 토픽
  • 1. 분별증류
    본 실험에서는 환류가 있는 증류방법인 분별증류를 이용하여 메탄올과 증류수의 혼합물에서 고순도의 메탄올을 분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실험결과 응축액의 양이 늘어나면서 가열되는 혼합용액의 끓는점이 점차 높아졌으며 메탄올의 끓는점과 비슷한 65 ℃에서는 99 mol%에 가까운 고순도 메탄올을 얻을 수 있었고 100 ℃에 가까워질 때 고순도의 증류수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기-액 평형의 문헌값을 통해서도 실험값과 문헌값이 대체로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구간별 혼합용액의 조성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또한 계단작도를 통해 최소이론단수가 4단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 2. 기-액 평형
    메탄올과 증류수가 혼합된 용액의 증기는 각각의 조성에 따라 기-액 평형상태가 성립된다. 문헌 값으로부터 그린 곡선을 통하여 측정된 증기온도에서의 조성을 예측해보았다. 응축액이 5 ml가 될 때까지의 증기 온도가 약 65℃이었던 것을 통해 처음 5 ml의 응축액은 거의 순수한 메탄올에 가까운 것이라 예측할 수 있었다.
  • 3. 최소이론단수
    계단작도를 통해 최소이론단수가 4단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분별증류를 통해 고순도의 메탄올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4. 단순증류와 분별증류의 차이
    분별증류에서 응축되는 속도가 일정하고 온도의 변화가 선형으로 나타난다고 가정하여 계산하면, 60 ml의 응축액이 모였을 때 메탄올의 조성은 대략 75 mol%가 된다. 처음 농도인 30.84 mol%와 비교하였을 때 한 번의 증류만으로도 순도가 크게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만약 단순증류로 실험하였다면 가장 순수한 용액의 조성이 68 mol%로, 분별증류하여 얻은 용액보다도 순도가 낮다는 계산이 나온다.
  • 5. 공비점의 영향
    메탄올은 에탄올과 다르게 증류수와의 공비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메탄올과 증류수가 혼합된 혼합용액에서 분별증류를 통해 99 mol%에 가까운 고순도 메탄올을 얻어낼 수 있었다. 만약 공비점이 존재했다면 고순도 메탄올을 얻지 못하였을 것이고 에탄올과 마찬가지로 제 3의 물질을 혼합하여 공비점을 없애는 과정이 필요해질 것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분별증류
    분별증류는 혼합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끓는점 차이를 이용하여 이들을 분리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은 화학공정, 정유산업, 알코올 생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분별증류는 단순증류에 비해 더 높은 순도의 성분을 얻을 수 있지만, 공정이 복잡하고 에너지 소비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공정 설계 및 최적화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운전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분별증류 공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문제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2. 기-액 평형
    기-액 평형은 혼합물의 상평형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별증류 공정 설계 및 운전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기-액 평형 데이터는 온도, 압력, 조성 등의 변화에 따른 상평형 관계를 보여주며, 이를 통해 최적의 공정 조건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기-액 평형 모델링 및 실험적 측정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혼합물 시스템에 대한 정확한 기-액 평형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기-액 평형 데이터는 분별증류 공정의 설계, 운전, 최적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3. 최소이론단수
    최소이론단수는 분별증류 공정에서 목표로 하는 분리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이론단수를 의미한다. 이론단수는 실제 증류탑의 단수보다 작은데, 이는 실제 공정에서 발생하는 열 및 물질 전달 효율 저하, 혼합 등의 비이상적인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최소이론단수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기-액 평형 데이터, 물질 및 열 전달 특성, 공정 운전 조건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최소의 에너지 소비와 운전 비용으로 목표 분리 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최적의 증류탑 설계가 가능해진다.
  • 4. 단순증류와 분별증류의 차이
    단순증류와 분별증류는 혼합물의 분리 원리와 공정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단순증류는 혼합물의 끓는점 차이만을 이용하여 성분을 분리하는 반면, 분별증류는 성분들의 상대적인 휘발성 차이를 이용한다. 따라서 분별증류는 단순증류에 비해 더 높은 순도의 성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분별증류 공정에는 증류탑, 재비기, 응축기 등의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하여 공정이 복잡하고 에너지 소비가 크다. 그러나 분별증류는 다양한 혼합물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며, 정유, 화학, 제약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5. 공비점의 영향
    공비점은 혼합물의 기-액 평형에서 특정 조성에서 액체와 기체의 조성이 같아지는 점을 의미한다. 공비점 근처에서는 단순증류로는 성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없으며, 분별증류 공정이 필요하다. 공비점의 존재는 분별증류 공정 설계 및 운전에 큰 영향을 미친다. 공비점 근처에서는 증류탑의 단수가 크게 증가하여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고, 분리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공비점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고려한 공정 설계 및 운전이 필요하다. 또한 공비점을 회피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