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중관식 열교환기 화공 실험보고서
본 내용은
"
이중관식 열교환기 화공 실험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01
문서 내 토픽
-
1. 이중관식 열교환기이중관식 열교환기는 내부의 전열관과 외부의 전열관 환상부에 각각의 가열유체와 수열유체를 넣어 열교환시키는 비교적 간단한 열교환기이다. 이러한 열교환기는 주로 양측의 유량이 아주 소용량이고 열부하도 작은 경우에 사용되고 있지만 공정유체의 입구온도와 출구온도차가 큰 경우에 주로 온도교차(Cross)가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사용되는 재질이 일반 배관용 Pipe를 사용하기 때문에 시장성도 좋고 가격도 저렴하며 전열면적의 증감이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
2. 열수지이중관식 열교환기는 관 내부에 고온 유체가 흐르고, 관 외부에 저온 유체가 흘러서 상호간에 열교환이 일어나며 고온 유체에서 잃은 열량과 저온 유체에서 얻은 열량은 같다. 이중관식 열교환기의 수지식은 Q_W = WC_p(T_1-T_2)와 q_w = wc_p(t_2-t_1)로 나타낼 수 있다.
-
3. 경막전열계수고온 유체에서 저온 유체로 열이 전달될 경우의 열전달속도는 q = (T-t)/R로 나타낼 수 있다. 유체와 금속벽 사이에서의 열저항계수를 경막전열계수라 하며 경막전열계수는 유체의 특성과 흐름에 따라 다르다.
-
4. 유체의 온도변화고온 유체에서 저온 유체로 관 벽을 통한 열 이동은 열교환기 내에서 온도 흐름 방향의 변화에 따라 병류흐름과 향류 흐름이 있으며 열교환기 내에서 열 교환량은 유체 흐름 방향 사이의 대수평균온도차에 비례한다. 병류와 향류흐름일 때의 대수평균온도차는 Δt_m = (Δt_1 - Δt_2)/ln(Δt_1/Δt_2)로 나타낼 수 있다.
-
5. 총괄전열계수이중관식 열교환기에서 전열량은 고온 유체에서 저온 유체로 잃은 열량과 유체의 숨은 열량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열전달속도는 유체의 온도차에 비례하고 열저항은 각 구간 열저항의 합이며, 총괄전열계수는 U = q/(A Δt_m)로 나타낼 수 있다.
-
1. 이중관식 열교환기이중관식 열교환기는 열교환 효율이 높고 구조가 간단하여 널리 사용되는 열교환기 중 하나입니다. 이 열교환기는 두 개의 동심원 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 관을 통해 고온 유체가 흐르고 외부 관을 통해 저온 유체가 흐르는 구조입니다. 이를 통해 열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열교환 효율이 높습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유체의 압력 강하가 크고 열전달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설계와 운전 조건 설정이 필요합니다.
-
2. 열수지열수지는 열교환 시스템에서 열의 흐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열수지 분석을 통해 시스템 내부의 열 흐름을 파악하고, 열교환기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열수지 분석에는 열량 보존 법칙이 적용되며, 유체의 온도 변화, 열전달량, 열손실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최적의 운전 조건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열수지 분석은 열교환기 설계 및 성능 개선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열수지 분석은 열교환 시스템 이해와 최적화에 필수적인 기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경막전열계수경막전열계수는 열교환기 설계와 성능 분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경막전열계수는 열교환 과정에서 열전달을 방해하는 경막층의 열저항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 값이 작을수록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경막전열계수는 유체의 물성, 유동 특성, 열교환기 구조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경막전열계수를 정확히 예측하고 관리하는 것이 열교환기 설계와 운전에 매우 중요합니다. 경막전열계수 분석을 통해 열교환기의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키고,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경막전열계수는 열교환기 청정화 및 유지보수 계획 수립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
4. 유체의 온도변화유체의 온도변화는 열교환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유체의 온도 변화는 열전달량, 열교환기 성능, 시스템 효율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유체의 온도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고 관리하는 것은 열교환기 설계와 운전에 필수적입니다. 유체의 온도 변화는 유체의 물성, 유동 특성, 열교환기 구조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유체의 온도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열교환기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체의 온도 변화 분석은 열교환기 고장 진단, 유지보수 계획 수립 등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유체의 온도 변화에 대한 이해와 관리는 열교환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에 필수적입니다.
-
5. 총괄전열계수총괄전열계수는 열교환기의 열전달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총괄전열계수는 열교환기 내부의 복잡한 열전달 과정을 하나의 값으로 표현한 것으로, 이 값이 클수록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총괄전열계수는 유체의 물성, 유동 특성, 열교환기 구조, 오염 정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총괄전열계수를 정확히 예측하고 관리하는 것이 열교환기 설계와 운전에 매우 중요합니다. 총괄전열계수 분석을 통해 열교환기의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키고,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총괄전열계수는 열교환기 청정화 및 유지보수 계획 수립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총괄전열계수에 대한 이해와 관리는 열교환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에 필수적입니다.
-
[화공실험1]이중관식 열 교환기 결과보고서 11페이지
1. 실험 제목 : 이중관식 열 교환기2. 실험목적① 열교환기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한다.② 향류(Parallel Flow)와 병류(Counter Flow) 조작을 이해한다.③ 총괄전열계수를 이해하고 실험으로 구한다.? 대수평균온도차(LMTD), 대수평균면적, 대수평균직경의 개념을 이해한다.? 이중관식 열교환기의 열전달 효율을 실험으로 구한다.3. 실험 이론3.1 열전달열이동 ·전열(傳熱)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물체들 사이의 열전도 ·대류 ·열복사 등 3가지 열이동 과정을 총칭하지만, 좁은 의미로는 유체와 고체 표면 사이에서 열을...2020.03.21· 11페이지 -
이중관의 열교환 실험보고서 12페이지
응용화공기초실험1결과보고서실험8. 이중관의 열교환제 1 장. 실험목적열 교환기 내 유체의 흐름에 있어서 향류 흐림과 병류 흐름에 따른 열교환기의 효율을 이해하고, 총열전달 계수를 측정하며, 유속이 열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제 2 장. 이론온도 차이가 있고, 고체 벽으로 분리된 두 유체 사이의 열교환 현상은 많은 공업 응용 분야에서 찾아볼 수가 있다. 이러한 장치를 열교환(Heat Excahnter)라고 하며, 공간가열, 공조· 냉동, 동력발생, 폐열 회수, 화학 공정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열교환기는 주로 유동배열과 구조 ...2020.04.02· 12페이지 -
[A+ 결과보고서] 이중관 열교환기 실험 22페이지
화공생명공학실험 결과보고서 실험 8. 이중관 열교환기 화공생명공학실험 000분반 0조 실험일자: 제출일자: 화공생명공학전공 학번 이름 1. 실험 목적 - 이중관 열교환기를 통한 전열속도와 총괄계수 등 열전달 특성을 살펴보고, 열교환 방법, 재질 등에 따른 전열을 비교하여 Mollier 선도를 활용 습득한다. - 물을 사용한 이중관의 열 교환 장치를 이용하여 난류상태에서 향류와 병류에서의 열전달 특성 을 이해한다. 2. 실험 이론 1) 열전달(Heat exchange) 열전달은 두 물체 사이에서 열에너지가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열은...2024.09.24· 22페이지 -
(A+만점레포트)[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2] 1.이중관열교환기(결과) 13페이지
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2 결과 보고서 실험 제목 이중관 열교환기 실험 일자 실험 조 및 조원 학과 학번 이름 시약 세부 IUPAC name Water, Oxidane 화학식 H2O CAS NO. 7732-18-5 상태 무색무취의 액체 녹는점/끓는점 0℃/99.99℃ 밀도 1g/cm3 (at 4℃, 1atm) 결과 실험 결과 실험 결과는 그림1~4와 같이 얻었다. 이때 그림 4에서 더운 유체의 출구 온도가 29℃까지 떨어져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여, 사진 상에 보이는 온도T2는 30℃가 아닌 29℃로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2025.06.24· 13페이지 -
1. 이중관 열 교환기 - 결과 7페이지
a) 실험 제목 : 이중관 열교환기b) 실험 일자 : 2016년 3월 16일c) 보고서 인적 사항d) 실험에서 내가 한 일 :이중관 열교환기를 먼저 데우고, 병류와 향류 흐름에 따른 온도 변화를 확인하고 기록하였다.e) 실험에 필요한 점들 :①여기서, = 고온 유체가 잃은 열량[kcal/hr]= 저온 유체가 얻은 열량[kcal/hr]W= 고온 유체의 유량[kg/hr]w= 저온 유체의 유량[kg/hr]= 고온 유체의 비열[kcal/kg℃]= 저온 유체의 비열[kcal/kg℃]T= 고온 유체의 온도[℃]t= 저온 유체의 온도[℃](첨자...2020.12.24·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