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자료 시나리오 대본 간호기록지 포함] 시뮬레이션 대본 흉통 호소 대상자
본 내용은
"
[A+자료 시나리오 대본 간호기록지 포함] 시뮬레이션 대본 흉통 호소 대상자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30
문서 내 토픽
  • 1. Angina pectoris (협심증)
    정영준님(남/45세)은 흉통으로 응급실을 방문한 대상자로 금일 오전 7시 헬스장에서 운동을 하던 중 갑자기 가슴이 조여드는 통증과 호흡곤란으로 인해 보호자와 함께 응급실을 방문하였다. 환자는 침대 위에서 가슴 부위에 두 손을 모으고 다리를 약간 구부린 상태로 옆으로 누워있으며, 눈을 감고 신음소리를 내고 있다. 환자의 활력징후는 BP 150/90mmHg, P 114회/분, R 24회/분, T 37.3℃, SpO₂ 90%로 확인되었다. 환자는 수술력, 과거력, 복용력이 없으며 가족력으로 어머니가 MI 진단 후 CABG 합병증으로 사망한 것이 확인되었다. 환자는 하루 한 갑의 흡연력이 있다. 의사 처방에 따라 nasal 2L/min 산소 공급, NPO, lab(CK-MB, Troponin) 및 N/S 1L 10gtt IV 적용하였다. 이후 Aspirin 325mg PO, NTG 1T SL 투여하였고 EKG 변화 시 CAG & PCI 시행 가능성을 설명하였다. NTG 투여 5분 후 NRS 8점에서 5점으로 감소하였고 활력징후도 안정화되었다. Lab 결과 CK-MB 2.0ng/ml, Troponin I 0.013uq/ml로 정상 범위 내로 확인되었다. 환자는 심장내과 병동으로 입원 예정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Angina pectoris (협심증)
    협심증은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해 심근에 산소 공급이 부족할 때 발생하는 흉통입니다. 이는 주로 운동이나 스트레스 등의 상황에서 나타나며, 가슴 중앙부나 왼쪽 가슴에 압박감, 통증, 불편감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협심증은 심근경색증으로 진행될 수 있는 위험 요인이므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약물 치료, 생활 습관 개선, 운동 요법 등 다양한 치료법이 있으며, 증상 관리와 함께 심혈관 질환의 위험 요인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검진과 관리를 통해 협심증의 악화를 예방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