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간호학 주제발표_Nebulizer 이용방법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 주제발표_Nebulizer 이용방법2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28
문서 내 토픽
-
1. Nebulizer의 원리와 특성Nebulizer는 compressor motor를 이용하여 약물을 마치 안개같이 작은 입자 형태로 뿜어내어 alveola 깊숙한 부위에 까지 넣어 준다. 준비된 약을 특수한 방법을 이용하여 0.5~5.5마이크론이라는 아주 작은 입자로 만들어 분무를 해주며, 환자가 흡입을 하면 직접 폐로 전달 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장점으로는 투여하는 약물을 폐에 직접 전달하기 때문에 경구 투여보다 적은 투여용량과 짧은 시간으로 충분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전신적인 부작용이 적으며, 소아나 노인 등 특수한 환자에게 사용 가능하다는 점이 있다. 단점으로는 환자의 연령과 흡입기 사용능력이 약물의 흡수 정도에 영향을 미치고, 기구 및 기계가 비싸며 휴대가 어렵고 전원이 필요하다는 점 등이 있다.
-
2. Nebulizer의 종류Nebulizer는 크게 jet형(제트형)과 ultrasonic형(초음파형)의 두 종류로 나뉜다. Jet형 nebulizer는 compressor가 있으며, compressor로부터 나온 공기가 좁은 관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액상의 약물이 유입되어 다양한 크기의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단점으로는 많은 양의 약물이 흡입되지 못하고 그대로 날라간다는 점이 있다. Ultrasonic형 nebulizer는 compressor 대신에 '전기진동자'를 이용하여 전기를 빠른 진동으로 바꿔 초음파를 발생시키며 이 진동에 의해서 약실 내의 약물은 에어로졸로 변환된다. 장점으로는 비교적 크기가 작아 휴대하기 쉽고 연무 속도가 빠르고 소음이 적다는 점이 있지만, 단점으로는 스테로이드제 같이 분자량이 큰 입자는 효율적으로 에어로졸로 변환시키지 못한다는 점이 있다.
-
3. Nebulizer 사용범위Nebulizer는 기관지 천식, 기관지염, 폐기종, 기관지 확장증, 진균성 폐질환, 직업성 폐질환, 유행성 감기, 가성 후두염, 췌장 섬유증, 과다 흡연시 흡연자의 점막염증 등과 흡연자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
4. Nebulizer 사용 시 주의사항Nebulizer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는 ① 방안의 공기는 깨끗하고 신선해야 하며, 맞바람을 피하는 것이 좋다. ② 마스크를 사용할 경우에는 얼굴에 딱 맞도록 고정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③ atrovent나 pulmicort는 마우스피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④ Nebulizer 사용시간은 1일 3~4회에 10~15분간 실시한다. ⑤ 흡입 시 똑바로 앉은 자세를 유지한다. ⑥ Nebulizer를 기울이지 말고 똑바로 세운 자세를 유지한다. ⑦ 입을 통해 깊고 천천히 호흡하며 투약 후 2~3초 정도 숨을 참도록 한다. ⑧ 호흡 중간마다 정상적인 호흡도 함께 하도록 한다. ⑨ 가래가 나오면 삼키지 말고 뱉어낸다. ⑩ Nebulizer 치료 종료시점은 약실 내 약물이 모두 없어질 때까지 기다릴 필요는 없다. ⑪ 마스크, 마우스피스, Nebulizer는 원칙적으로 사용할 때마다 혹은 적어도 하루에 한번은 따뜻한 물에 담가서 닦고 잘 말린다. ⑫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흡입기를 사용한 직후에 입 안을 깨끗한 물로 헹궈야 한다.
-
5. Nebulizer에 사용되는 약물Nebulizer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로는 Mucomyst(Acetylcystein), Ventolin(salbutamol sulfate), Budecort, Bosmin(Epinephrine), Atrovent(Ipratropium), Pulmicort(Steroid 제제) 등이 있다. 각 약물의 특성과 적응증, 주의사항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
6. Nebulizer 사용방법Nebulizer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필요한 물품: 네뷸라이저 기계, 약물주입통, 튜브, 마스크(6세미만 경우), 마우스피스(6세이상 경우) 2) 사용법: ① 손을 씻는다. ② 환자와 보호자에게 네뷸라이저 사용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③ 네뷸라이저를 사용하기 전에 객담을 배출시킨다. ④ 기계 본체를 콘센트에 연결한다. ⑤ 소독된 분무기의 윗부분을 열고 처방된 약을 약물주입통에 넣는다. ⑥ 분무기의 윗부분을 잘 잠그고 마스크 / 마우스피스를 끼운다. ⑦ 연결호스로 본체와 약물을 담은 분무기를 연결한다. ⑧ 환자에게 편안하게 앉은 자세를 취해준다. ⑨ 스위치를 켠 후, 마스크 / 마우스피스 가까이에 입술을 대고 흡입할 수 있을 때까지 분무를 들이 마시고 잠깐 유지한다. ⑩ 마스크 / 마우스피스를 입에서 떼고 천천히 숨을 내쉰다. ⑪ 7과 8의 과정을 약물이 더 이상 나오지 않을 때까지 (10-15분간) 반복한다. ⑫ 환자의 호흡양상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⑬ 흡입이 끝나면 스위치를 끄고 마스크 / 마우스피스와 분무기를 분리하여 따뜻한 물로 잘 닦고 헹군다. ⑭ 분무기의 내부에 있는 노즐의 분사구를 공급되는 철사로 뚫어주거나 분무기에 증류수를 조금 넣은 후 2~3회 분사시킨다. ⑮ 깨끗이 씻어 말린 후 소독한다.
-
7. PED병동 내 Nebulizer 사용 관찰 내용PED병동 내에서 관찰된 Nebulizer 사용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네불라이저 기계 대신 wall O2에 연결하여 적용함 - 6세 이상의 아동도 마스크 적용 - 간호사가 매번 환자에게 네불라이저 설명 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보호자에게 약물주입통, 튜브, 마스크를 제공 후 사용법을 설명하고, 네불라이저 적용시간이 되면 보호자에게 약물을 제공하여 보호자가 적용할 수 있게 함 - 멸균주사용수를 보호자에게 제공해 약물주입통, 튜브, 마스크를 세척할 수 있게 하고 매일 약물주입통과 마스크를 매일 교환해 줌
-
8. 스테로이드 약물 흡입 시 고려사항스테로이드 약물을 흡입한 경우, 물로 입을 헹구고 마스크 사용 시 얼굴도 닦아주어야 한다.
-
9. 참고문헌- 흡입 치료 :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7754&cid=865&categoryId=1746) - 네이버블로그 'nebulizer' (http://blog.daum.net/xxx1111/16762775) - kims 의학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
1. Nebulizer의 원리와 특성Nebulizer는 액체 약물을 미세한 입자 형태로 분무하여 환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기기입니다. 이 장치는 압축 공기나 산소를 이용하여 약물 용액을 미세한 에어로졸 입자로 만들어 내며, 이를 통해 약물이 폐 깊숙이 도달할 수 있습니다. Nebulizer의 주요 특성으로는 약물 투여량 조절이 용이하고, 호흡 중에 지속적으로 약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환자의 협조가 필요 없다는 점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Nebulizer는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2. Nebulizer의 종류Nebulizer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압축 공기 방식의 Jet Nebulizer로,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약물 용액을 미세한 입자로 분무합니다. 또한 초음파 방식의 Ultrasonic Nebulizer도 있는데, 이는 진동판을 이용하여 약물 용액을 분무합니다. 최근에는 전자 방식의 Mesh Nebulizer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진동판에 작은 구멍이 뚫려 있어 약물 용액을 더욱 미세한 입자로 분무할 수 있습니다. 각 Nebulizer 종류마다 장단점이 있어 환자의 상태와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Nebulizer를 선택해야 합니다.
-
3. Nebulizer 사용범위Nebulizer는 다양한 호흡기 질환 치료에 사용됩니다.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기관지염, 폐렴 등의 급성 및 만성 호흡기 질환 환자에게 기관지 확장제, 스테로이드, 항생제 등의 약물을 투여하는 데 활용됩니다. 또한 섬유증, 낭포성 섬유증 등의 희귀 호흡기 질환 치료에도 Nebulizer가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COVID-19 환자의 증상 완화를 위해 Nebulizer를 이용한 약물 투여가 시도되기도 하였습니다. 이처럼 Nebulizer는 다양한 호흡기 질환의 치료와 증상 관리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
4. Nebulizer 사용 시 주의사항Nebulizer 사용 시에는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첫째, 약물 용액의 농도와 투여량을 정확히 확인해야 합니다. 과다 투여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둘째, Nebulizer 기기의 청결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오염된 기기를 사용하면 감염 위험이 있습니다. 셋째, 환자의 호흡 패턴과 기기 사용 방법을 정확히 숙지해야 합니다. 잘못된 사용으로 인해 약물 투여 효과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넷째, 약물 투여 시 환자의 반응을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부작용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 시 대응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러한 주의사항을 준수하면 Nebulizer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5. Nebulizer에 사용되는 약물Nebulizer에는 다양한 약물이 사용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기관지 확장제로, 알부테롤, 살부타몰, 이프라트로피움 등이 있습니다. 이들 약물은 기도를 확장시켜 호흡을 개선합니다. 또한 스테로이드 제제인 부데소나이드, 플루티카손 등도 Nebulizer를 통해 투여됩니다. 이들 약물은 기도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 밖에도 항생제, 점액용해제, 항바이러스제 등 다양한 약물이 Nebulizer로 투여될 수 있습니다. 약물의 선택과 용량은 환자의 상태와 치료 목적에 따라 의사가 결정합니다.
-
6. Nebulizer 사용방법Nebulizer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Nebulizer 기기의 각 부품을 조립하고 약물 용액을 준비합니다. 그 다음 환자에게 마스크나 마우스피스를 착용시키고 Nebulizer를 작동시킵니다. 환자는 천천히 깊게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과정을 5-10분간 반복하여 약물을 충분히 흡입하도록 합니다. 사용 후에는 Nebulizer 기기를 분해하여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시켜야 합니다. 이렇게 Nebulizer를 올바르게 사용하면 약물의 폐 침착률을 높일 수 있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7. PED병동 내 Nebulizer 사용 관찰 내용PED병동에서 Nebulizer를 사용하는 모습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먼저 Nebulizer 사용 전 의사가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확인하고 적절한 약물과 용량을 처방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간호사가 Nebulizer 기기를 세심하게 조립하고 약물 용액을 정확히 준비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환자 투여 시에는 간호사가 환자의 호흡 상태를 주시하며 Nebulizer 사용법을 자세히 설명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투여 후에는 Nebulizer 기기를 철저히 세척하고 관리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PED병동에서 Nebulizer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
8. 스테로이드 약물 흡입 시 고려사항스테로이드 약물을 Nebulizer로 흡입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첫째, 스테로이드 약물의 장기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주의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구강 칸디다증, 목소리 변화, 골다공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둘째, 스테로이드 약물의 전신 흡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낮은 용량을 사용해야 합니다. 셋째, 스테로이드 약물 투여 시 환자의 순응도와 기기 사용법을 확인해야 합니다. 잘못된 사용으로 인해 약물 효과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넷째, 스테로이드 약물 투여 전후 환자의 폐 기능과 증상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약물 효과와 부작용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고려사항을 준수하면 스테로이드 약물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Nebulizer로 투여할 수 있습니다.
-
9. 참고문헌1. Dolovich MB, Dhand R. Aerosol drug delivery: developments in device design and clinical use. Lancet. 2011;377(9770):1032-1045. doi:10.1016/S0140-6736(10)60926-9 2. Hess DR. Nebulizers: principles and performance. Respir Care. 2000;45(6):609-622. 3. Laube BL, Janssens HM, de Jongh FH, et al. What the pulmonary specialist should know about the new inhalation therapies. Eur Respir J. 2011;37(6):1308-1331. doi:10.1183/09031936.00166410 4. Newman SP. Aerosol deposition considerations in inhalation therapy. Chest. 1985;88(2 Suppl):152S-160S. doi:10.1378/chest.88.2_supplement.152s 5. Rau JL. The inhalation of drugs: advantages and problems. Respir Care. 2005;50(3):367-382.
-
아동간호학 주제발표_Nebulizer 이용방법1. 흡입치료 기관지 천식이나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같은 호흡기 질환의 치료를 위해 에어로졸 혹은 가루 형태로 만든 약물을 흡입하여 직접 폐로 전달하는 치료법입니다. 약물이 기도를 통과하고 기도점막에 부착하는 데에는 입자의 크기, 중력, 흡입속도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작용하며, 약물을 효과적으로 폐까지 전달하기 위해 특수하게 고안된 여러 가지 보조 기구를 ...2025.01.14 · 의학/약학
-
아동간호학 주제발표_Nebulizer 이용방법1. 흡입치료 흡입치료[inhalation therapy]란 기관지 천식이나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같은 호흡기 질환의 치료를 위해 에어로졸 혹은 가루 형태로 만든 약물을 흡입하여 직접 폐로 전달하는 치료법이다. 에어로졸 혹은 가루가 기도를 통과하고 기도점막에 부착하는 데에는 입자의 크기, 중력, 흡입속도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작용하며, 약물을 효과적으로 폐...2025.01.14 · 의학/약학
-
아동간호학 주제발표_Nebulizer 이용방법 7페이지
목차▶ 흡입치료1. 흡입치료[inhalation therapy]란?2. 흡입 치료에 사용되는 보조 기구의 종류▶ Nebulizer1. Nebulizer의 원리와 특성2. Nebulizer의 종류3. Nebulizer의 사용범위4. Nebulizer 사용 시 주의사항5. Nebulizer에 사용되는 약물6. Nebulizer 사용방법▶ 참고문헌흡입치료[inhalation therapy]란?기관지 천식이나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같은 호흡기 질환의 치료를 위해 에어로졸 혹은 가루 형태로 만든 약물을 흡입하여 직접 폐로 전달하는 치료법이다....2024.04.28· 7페이지 -
아동간호학 주제발표_Nebulizer 이용방법3 8페이지
목차 1) 흡입치료(inhalation therapy) 1. 흡입치료 2. 흡입기의 종류 3. 흡입치료 시 고려사항 2) Nebulizer 1. Nebulizer의 목적 2. Nebulizer의 종류 3. Nebulizer에 사용되는 약물 4. Nebulizer 사용방법 5. Nebulizer 사용 시 주의사항 6. Nebulizer 사용 대상자 교육 1) 흡입치료 [inhalation therapy] 1. 흡입치료 ? 기관지 천식이나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같은 호흡기 질환의 치료를 위해 에어로졸 혹은 가루 형태로 만든 약물을 흡입하...2024.04.28· 8페이지 -
[아동간호학실습] 산소주입 및 Nebulizer 치료 8페이지
아동간호학실습I산소주입 및 Nebulizer 치료과목 아동간호학실습I담당교수 교수님제출일자학번이름목 차I. 주제3II. 주제선정 이유3III. 산소 주입33.1. 산소 요법의 목적33.2. 산소 주입 기구33.3. 산소 전달 체계 53.4. 산소 요법으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53.5.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 흡입 절차6IV. Nebulizer 치료 64.1. 분무 요법의 목적64.2. 분무기의 종류 74.3. 사용 시 주의점7V. 참고문헌8I. 주제산소 주입 및 Nebulizer 치료이다. 내용은 크게 산소 주입과 nebuliz...2022.03.16· 8페이지 -
[아동간호학] 천식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21페이지
사례발표Asthma(천식)담당과목지도교수학 번이 름실습병원발 표 일1. 서 론기관지 천식은 기침,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등과 기관지 경련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기도가 좁아지고 염증이 생기며 통계적으로 우리나라 어린이 100명 중 10명이 차지할 정도로 흔한 만성 호흡기 질환이다. WHO의 특별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1억 5천만 명의 환자가 천식으로 고통 받고 있으며 1년에 18만 명이 기관지 천식으로 목숨을 잃는다고 한다.천식의 유병율과 중증도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의료, 사회적 비용은 폐결핵과 에이즈의 비용을 합한 것보다...2023.12.21· 21페이지 -
아동간호학실습 폐렴 케이스(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2개) 23페이지
아동간호학실습 사례 케이스 발표 Pneumonia(폐렴) 담당과목 아동간호학실습 지도교수 - 학 번 - 이 름 - 실습병원 - 발 표 일 - 1. 서 론 폐렴은 가장 작은 기도와 폐포를 포함하는 폐실질 조직의 염증을 의미한다. 이 폐렴을 케이스로 선정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케이스 주제를 선정하고자 했지만 첫 실습이라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소아과 병동에 소아가 많이 없고 성인이 70% 있는 상황을 보고 혼란을 겪고 있었다. 하지만 실습 3일 차에 폐렴 환아가 입원하게 되었고 성인간호학에서 공부했던 폐렴이 아동 폐렴에서는 어떤 양...2024.06.23· 2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