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맞은 자료)Acute bronchiolitis(급성 세기관지염) 성인간호학3 사례연구보고서(문헌고찰, CBC, 약정보, 간호진단5, 간호과정3)
본 내용은
"
(A+ 맞은 자료)Acute bronchiolitis(급성 세기관지염) 성인간호학3 사례연구보고서(문헌고찰, CBC, 약정보, 간호진단5, 간호과정3)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27
문서 내 토픽
-
1. 급성 세기관지염(Acute bronchiolitis)호흡기는 코에서 시작하여 기관지와 세기관지 및 폐포로 구성되어 있고 공기는 코에서 기관, 기관지, 세기관지를 거처 폐포에 도달하게 된다. 폐포에 도달한 공기는 모세혈관을 만나 가스교환을 하게 되는데, 호흡기는 특히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다양한 미생물이 침범하기 쉽고, 미세먼지나 담배 연기, 꽃가루 등 많은 물질에 의해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세기관지염은 기관지의 가장 말단 부위인 세기관지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기관지 상피세포가 손상되고 염증반응으로 인해 점막이 붓고 분비물이 많아져 세기관지가 막히는 질환이다. 세기관지가 좁아지거나 막히면 폐포에 도달하는 산소의 양이 줄어들어 호흡곤란이 생기며 2세 미만의 소아는 세기관지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아 조금만 염증이 생겨도 세기관지가 쉽게 막히게 된다.
-
2. 원인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가장 흔한 원인 바이러스는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로 전체 원인의 50~75%를 차지한다. 이 외에도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과 마이코플라즈마 감염도 세기관지염을 일으킬 수 있다.
-
3. 임상 증상증상 발생 초기 2~3일 동안은 감기처럼 콧물, 코막힘, 미열, 가벼운 기침 등을 보이다가 갑자기 빠른 호흡(60~80회/분), 천명(wheezing), 호흡곤란 등이 나타납니다. 특히 가장 흔한 증상인 호흡곤란이 진행되면 호흡이 빨라지고 심장 박동수도 증가하며 숨 쉴 때 코가 심하게 벌렁거리고 갈비뼈 아래가 들어갈 수 있다. 기관지는 숨을 들이쉴 때 넓어지고 내쉴 때 좁아지므로 이러한 생리적 특성으로 세기관지염이 생기면 숨을 내쉴 때 기관지가 훨씬 더 좁아지므로 공기 흐름이 방해를 받아 호흡곤란과 천명음이 생긴다.
-
4. 진단검사흉부 방사선 촬영과 혈액 검사는 중증도를 판정하고 다른 원인을 감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흉부 X-선 검사는 증상이 심하거나 열까지 동반될 경우 폐렴 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이고 호흡기 바이러스 검사를 통해 원인 바이러스를 확인하고 콧물이나 인두 분비물을 채취하여 여러 가지 정밀 검사를 시행한다. 또한, 혈액 검사로 면역 상태를 평가하고, 세균 감염이 동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저산소증이나 산-염기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ABGA 검사를 하여 정확한 혈중 산소분압을 파악할 수 있다.
-
5. 치료 및 간호약물 치료는 좁아진 기관지를 확장시켜 숨쉬기 용이하게 해주는 기관지확장제, 스테로이드, 세균성 감염이 있을 경우 항생제를 투여하거나 선천성 심장 질환, 기관지폐이형성증 같은 고위험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제 등이 있다. 비약물 치료는 콧물이나 코막힘이 심할 경우 가습기를 유지해주거나 생리식염수를 코 안에 떨어뜨린 후 분비물을 흡입기로 제거해준다. 또한, 상체를 30~40도 정도 높이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해주거나 몸을 뒤로 젖히는 자세를 취해준다. 호흡곤란이 심해질 때는 저산소혈증 여부를 모니터링하면서 습도가 높은 산소요법을 제공해주고 구강으로 영양 공급하면 흡인의 위험이 있으므로 일시적인 금식이 필요하므로 정맥으로 수액을 투여하도록 한다. 이러한 적절한 치료와 산소요법에도 호흡곤란이 점점 심해져 숨이 잘 쉬지 못해 상태가 나빠질 경우에는 기관 내에 인공 호흡관을 삽입하고 폐 기능이 회복될 때까지 인공호흡기를 적용한다.
-
6. 합병증 및 예후합병증은 가래로 인해 기관지가 막혀 무기폐가 발생하거나 이차성 세균 감염으로 인한 중이염이나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저산소혈증으로 인한 청색증, 심한 호흡부전증, 잦은 천명음, 천식 증상이 유발될 수 있으며 호흡 곤란성 구토로 인한 흡인과 질식이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세기관지염의 예후는 잘 회복될 수 있지만, 증상이 매우 악화될 수 있다. 전체 환자의 10% 미만은 호흡곤란이 심해져 인공호흡기의 도움이 필요하고 세기관지염으로 인한 사망률은 1% 미만으로 예후는 좋은 편이다.
-
7. 일반정보사정일자 : 2023-01-13 성 명 : 박○○ 연 령: 65 성 별: M 직 업: 무직 병 동 : 호흡기-알레르기 내과 입원일자 : 2022.12.13 정보 제공자 : 배우자 알 레 르 기 : none 가족력 : none / 유전병력: 무 / 고혈압: 무 의학 진단명 : [주] : Acute bronchiolitis [R/O] : Chronic respiratory failure, dyspnea, Pseudomembranous colitis, Postprocedural subglottic stenosis 주 호 소 : 호흡곤란 및 가래 증상 과 거 병 력 : 경추협착 (2014년), 변비 (2022년), 부비동염 (2022년 6월) ORIF, CLAVICLE (2019/1/28), Device Removal, Clavicle (2020/8/4), 경추협착 수술 (삼성의료원) (2022/6)
-
8. 현재의 건강문제2022년 10월부터 호흡곤란, 가래 증상 지속되어 본원 호흡기 내과 외래 f/u 중이신 분으로, 2022년 12월 13일 호흡기내과 진료 중 spo₂ 84% 측정되어 추가 진료 위해 외래에서 NP O₂ 4L/min 적용 후 응급실 내원함
-
9. 검사 결과Hb : 12.8(g/dL)▼, Hct : 37.8(%)▼, RBC : 4.27(×10?/mL), Na : 131(mEq/L)▼, K : 3.7(mEq/L), Cl : 97(mEq/L)▼, Total protein : 7.6(g/dL), Albumin : 3.6(g/dL), Cholesterol : 114(mg/dL), PH 7.433 / PCO₂ 34.4(mmHg)▼ / PO₂ 84.6(mmHg) / HCO₃ 22.5(mmol/L) / O₂ SAT 96.8(%), CRP 1.06▲, Procalcitonin 0.070▲
-
10. 간호문제 우선순위1) 다량의 객담 2) 기도 협착 3) WBC, CRP 수치 상승 4) 항생제 사용으로 인한 설사 5) 부동
-
1. 급성 세기관지염(Acute bronchiolitis)급성 세기관지염은 영유아에게 가장 흔한 하기도 감염 질환 중 하나입니다. 주로 겨울철에 호발하며,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질환은 작은 기도인 세기관지가 부종과 점액으로 막혀 호흡 곤란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영유아의 경우 기도가 좁아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며, 심한 경우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며, 특히 고위험군 영유아에 대한 예방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
2. 원인급성 세기관지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입니다. 이 외에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등 다양한 바이러스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바이러스들은 주로 기도 상피세포에 감염되어 염증반응을 유발하고, 점액 분비와 부종을 일으켜 기도 폐쇄를 초래합니다. 또한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의 경우 세균 감염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인 병원체를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적절한 치료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3. 임상 증상급성 세기관지염의 주요 증상은 호흡 곤란, 천명음, 기침, 빠른 호흡 등입니다. 초기에는 콧물, 재채기, 미열 등의 상기도 증상이 나타나다가 점차 기침과 천명음이 심해지며, 호흡 곤란이 악화됩니다. 심한 경우 흉부 함몰, 코 벌림, 청색증 등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증상의 정도는 환자의 연령, 기저 질환 유무, 면역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증상 변화를 면밀히 관찰하고 신속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
4. 진단검사급성 세기관지염의 진단은 주로 임상 증상과 병력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필요 시 흉부 X선 검사, 호흡기 바이러스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흉부 X선 검사에서는 과팽창된 폐, 간질성 음영 증가 등의 소견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호흡기 바이러스 검사는 PCR 검사를 통해 원인 병원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절한 치료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혈액 검사, 동맥혈 가스 분석 등을 통해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
5. 치료 및 간호급성 세기관지염의 치료는 주로 보존적 치료가 중심이 됩니다. 산소 공급, 수분 및 전해질 관리, 기도 확보 등의 기본적인 처치가 필요합니다. 특히 산소 요법은 저산소증을 개선하고 호흡 곤란을 완화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필요 시 기관 삽관 및 기계 환기 등의 집중 치료가 요구될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로는 기관지 확장제, 스테로이드, 항바이러스제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간호 중재로는 체위 변경, 흡인, 가습 산소 공급, 영양 관리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포괄적인 치료와 간호를 통해 환자의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6. 합병증 및 예후급성 세기관지염의 주요 합병증으로는 무호흡, 폐렴, 기흉, 심부전 등이 있습니다. 특히 미숙아, 선천성 심장병, 만성 폐질환 등의 고위험군 환자에서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이러한 합병증은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키고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위험군 환자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완치될 수 있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의 후유증이 남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추적 관찰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
7. 일반정보급성 세기관지염은 영유아에게 가장 흔한 하기도 감염 질환 중 하나로, 주로 겨울철에 호발합니다. 주요 원인 병원체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바이러스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호흡 곤란, 천명음, 기침 등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진단은 주로 임상 증상과 병력을 통해 이루어지며, 필요 시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주로 보존적 치료가 중심이 되며, 산소 공급, 수분 및 전해질 관리, 약물 치료 등이 포함됩니다. 합병증으로는 무호흡, 폐렴, 기흉 등이 있으며, 고위험군 환자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
8. 현재의 건강문제이 환자는 급성 세기관지염으로 인한 호흡 곤란, 천명음, 기침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미숙아로,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은 상태입니다. 따라서 신속한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산소 요법, 수분 및 전해질 관리, 기도 확보 등의 기본적인 처치와 함께 필요 시 기관 삽관 및 기계 환기 등의 집중 치료가 요구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기관지 확장제, 스테로이드, 항바이러스제 등의 약물 치료도 고려해야 합니다. 간호 중재로는 체위 변경, 흡인, 가습 산소 공급, 영양 관리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포괄적인 치료와 간호를 통해 환자의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
9. 검사 결과이 환자의 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흉부 X선 검사에서 과팽창된 폐와 간질성 음영 증가 소견이 관찰되었습니다. 호흡기 바이러스 검사에서는 RSV 양성 반응이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동맥혈 가스 분석 결과 저산소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검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 환자는 급성 세기관지염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특히 RSV 감염이 원인이며, 저산소증으로 인한 호흡 곤란이 심각한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속한 산소 공급, 수분 및 전해질 관리, 기도 확보 등의 처치와 함께 필요 시 기관 삽관 및 기계 환기 등의 집중 치료가 요구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
10. 간호문제 우선순위이 환자의 간호문제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호흡 곤란 관리: 저산소증으로 인한 호흡 곤란이 가장 시급한 문제이므로, 산소 요법, 기도 확보 등의 처치가 최우선적으로 필요합니다. 2. 감염 관리: RSV 감염이 확인되었으므로, 감염 예방 및 전파 차단을 위한 격리, 손 위생, 보호 장비 착용 등의 조치가 중요합니다. 3. 수분 및 전해질 관리: 호흡 곤란으로 인한 탈수 및 전해질 불균형을 예방하기 위해 수액 요법 등의 처치가 필요합니다. 4. 영양 관리: 호흡 곤란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가 증가하므로, 적절한 영양 공급이 중요합니다. 5. 합병증 예방: 무호흡, 폐렴, 기흉 등의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모니터링과 중재가 필요합니다. 이와 같이 호흡 곤란, 감염 관리, 수분 및 전해질 관리, 영양 관리, 합병증 예방 등이 이 환자의 주요 간호문제 우선순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