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미나자료 심미보철 세라믹을 위한 치주조직과 색조(치의학, 치기공, 치위생)
본 내용은
"
세미나자료 심미보철 세라믹을 위한 치주조직과 색조(치의학, 치기공, 치위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28
문서 내 토픽
-
1. 치주조직과 색조증례의 분석, 명확한 지침이 될 개념의 이해와 응용, 치아위치, 교합상태, 치아와 치은의 형태 및 상태, 치아-치은-치조골의 해부학적 관계, 수복물의 선택, Discolaration의 유무, 환자의 요구, 치료과정의 고려사항, 적절한 검사•진단, 치료계획, 진단용 wax up, Provisional restoration, 지대치형성과 인상채득, 치과기공사에게 정보전달과 연계, Provisional restoration, 최종보철물(Final restoration)로 이행하기 전에 최종보철물에 재현되는 기능과 형태가 치주치료 • 교합치료 • 예방치료 그리고 생리적 • 심미적인 측면에서 구강내에 적응하는지를 관찰라고 재고찰하여 최종보철물에 반영해 가기 위한 보철물이다.
-
2. 보철물 변연부의 설정보철물 변연부는 치은연에서 골정까지의 거리, 순측 3mm, 인접접촉부 4mm, 치은연에서 골정방향으로 0.5~1.0mm깊이로 설정한다. 골정으로부터는 2.0~2.5mm에 설정한다.
-
3. Pontic의 종류Ovate pontic의 tissue management로는 결합조직 이식술(Ridge Augmentation), 치조제 형성술(Pre Impression Technique), 모형상 형성법(Post Impression Technique)이 있다.
-
4. Preparation의 finish line 종류Preparation의 finish line 종류에는 Chamfer, accentuated chamfer, shoulder, sloped shoulder, rounded sloped shoulder 등이 있다.
-
5. 지대치 삭제량 지표Laminate veneer, All Ceramic crown, Full crown의 순면 삭제양을 결정할 경우 진단용 왁스업으로 복제한 silicone core를 활용한다.
-
6. 색의 원리'색'이란 빛이 물체에 부딪혀 반사하고 눈에 들어왔을때 처음으로 발생하는 시감각이다. 인간이 광선으로 느낄 수 있는 파장 380~780nm(나노메타)를 가시광선이라 한다. 맑게 개인 하늘이 푸르게 보이는 이유는 태양광선이 상공 미립자에 부딪혀 그 단파장광이 눈에 들어오기 때문이며, 위험신호에 붉은 색을 사용하는 이유는 장파장광이므로 안개낀 날이라도 산란되지 않고 멀리까지 잘 미치기 때문이다.
-
7. 3D-Master shade guide 사용법1단계: 명도(치아의 밝기)를 결정한다. 2단계: 채도를 결정한다. 3단계: 색상을 결정한다. 치아를 보는 위치, 명도를 먼저 보는 이유, 순간적으로 색을 판단해야 하는 이유 등을 설명한다.
-
8. 도재의 종류도재의 종류에는 불투명도재, 상아질도재, 범랑질도재, 투명도재, Effect 도재 등이 있다.
-
9. 치아 두께 측정치아의 절단부 2.45mm, 중앙부 4.93mm, 치경부 3.79mm 등 치아 두께를 측정한다.
-
10. 증례상악 6전치, 상악 3전치(11-22), 하악 구치(47) 등 다양한 증례를 다룬다.
-
1. 치주조직과 색조치주조직의 건강 상태는 치아의 색조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건강한 치주조직은 치아의 색조를 밝고 균일하게 유지하지만, 염증이나 퇴행성 변화가 있는 경우 치아 색조가 어둡고 불균일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치아 색조 평가 시 치주조직의 상태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치주 처치를 통해 치주조직의 건강을 회복하면 치아 색조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
2. 보철물 변연부의 설정보철물 변연부의 적절한 설정은 심미성과 장기적인 예후에 매우 중요합니다. 변연부는 치아와 보철물의 경계를 최소화하고 치은 조직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치아 삭제 시 변연부 위치 설정, 인상 채득, 보철물 제작 과정에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구강 위생 관리와 정기적인 검진도 중요합니다.
-
3. Pontic의 종류Pontic은 보철물 중 치아가 결손된 부위를 대체하는 부분으로, 그 종류와 디자인에 따라 심미성과 기능성이 달라집니다. 전통적인 Sanitary Pontic, Ridge Lap Pontic, Modified Ridge Lap Pontic 외에도 최근에는 Ovate Pontic, Concave Pontic 등 다양한 형태의 Pontic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각 Pontic 종류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환자의 구강 상태와 요구사항에 맞는 Pontic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Preparation의 finish line 종류지대치 삭제 시 finish line의 형태는 보철물의 적합성과 심미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대표적인 finish line으로는 shoulder, chamfer, feather edge 등이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치아의 상태, 보철물의 종류, 환자의 구강 위생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finish line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finish line 형성 시 치아 삭제량, 변연부 위치, 변연부 형태 등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조절해야 합니다.
-
5. 지대치 삭제량 지표지대치 삭제량은 보철물의 적합성과 내구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반적으로 치관부 삭제량은 1.0-1.5mm, 치경부 삭제량은 0.5-1.0mm가 권장되지만, 개인차와 상황에 따라 적절한 삭제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삭제량이 부족하면 보철물의 적합성과 내구성이 저하되고, 과도하게 삭제하면 치수 노출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치아 상태와 보철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적절한 삭제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
6. 색의 원리색은 빛의 3요소인 색상, 명도, 채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치아 색조 평가 시에도 이 3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색상은 치아의 기본 색조를 나타내며, 명도는 밝기 정도, 채도는 색의 순도를 의미합니다. 이 3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치아 색조를 정확히 파악하고, 보철물 제작 시 이를 반영해야 합니다. 또한 주변 조명 환경, 관찰자의 시각 특성 등도 색 지각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
7. 3D-Master shade guide 사용법3D-Master shade guide는 치아 색조 평가와 보철물 제작에 널리 사용되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색상, 명도, 채도의 3요소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치아 색조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사용 시에는 치아 표면의 반사광을 최소화하고, 표준화된 조명 환경에서 관찰해야 합니다. 또한 치아 전체 색조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가장 유사한 shade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보철물 제작 시 치아 색조를 정확히 재현할 수 있습니다.
-
8. 도재의 종류보철물 제작에 사용되는 도재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전통적인 유리 도재 외에도 최근에는 리튬 규산염 도재, 지르코니아 도재 등 새로운 도재 재료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각 도재 재료는 강도, 심미성, 가공성 등의 특성이 다르므로, 보철물의 종류와 환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적절한 도재를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도재 제작 과정에서 세심한 주의와 기술이 필요합니다.
-
9. 치아 두께 측정치아 두께 측정은 보철물 제작 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치관부와 치경부의 두께를 정확히 파악하면 적절한 삭제량 결정, 보철물 디자인, 도재 두께 설정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치아 두께 측정 시에는 방사선 사진, 디지털 스캔, 직접 측정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측정 결과를 토대로 보철물 제작 과정을 최적화하여 심미성과 기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10. 증례증례 분석은 보철 치료 계획 수립과 예후 예측에 매우 중요합니다. 환자의 구강 상태, 치아 및 치주 조직의 상태, 보철물 요구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보철물 제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예측하고 대비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보철 치료의 성공률을 높이고 환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증례 분석 능력은 숙련된 보철 치료의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