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군생태학이론, 제도이론
문서 내 토픽
  • 1. 조직군생태학이론
    조직군생태학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은 조직을 개방체계로 보고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조직의 생존을 결정하는 것은 환경이라는 입장을 취하는 이론으로서, 해넌과 프리만(M. T. Hannan & J. Freeman) 등이 주장하였다. 기본적으로, 본 이론은 분석의 단위가 개별 조직이 아니라 전체 조직으로 접근하고 있는데, 전체 조직은 유사한 조직구조를 일정기간 동안 유지하지만 결국에는 생성과 소멸이라는 주기성에 의해서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조직은 살아남고 적응하지 못하는 조직은 도태된다는 점을 가정한다.
  • 2. 제도이론
    제도이론(institutional theory)은 전술한 상황론, 조직군생태학론과 마찬가지로 개방체계적 관점에서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을 강조하는 이론으로서, 마이어와 로완(J. W. Meyer & B. Rowan), 하센펠드(Y. Hasenfeld) 등이 주장하였다. 현대 조직에서는 조직이 갖추어야 할 정책, 프로그램, 지위, 절차 등이 주로 정부, 여론, 교육체계 등을 통해 도출된 지식, 사회적 권위, 법률, 법원의 판단 등에 의해 강제되는 경우가 있다. 기본적으로 조직은 생존을 위해서 이러한 제도적인 규칙을 받아들이게 되는데, 그 과정은 강요적 과정, 모방적 과정, 그리고 규범적 과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조직군생태학이론
    조직군생태학이론은 조직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조직은 환경의 선택압에 의해 진화하며, 자원 확보와 경쟁에 유리한 특성을 갖추게 됩니다. 조직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구조와 전략을 변화시키며, 이 과정에서 생존과 성장을 위한 경쟁이 이루어집니다. 이 이론은 조직의 변화와 진화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지만, 개별 조직의 전략적 선택과 행위자의 역할을 간과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조직군생태학이론과 함께 제도이론, 자원의존이론 등 다양한 관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 2. 제도이론
    제도이론은 조직이 사회적 규범과 가치, 규칙 등의 제도적 압력에 순응하여 변화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조직은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도적 환경에 적응하며, 이 과정에서 동형화가 일어납니다. 제도이론은 조직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지만, 개별 조직의 전략적 선택과 행위자의 역할을 간과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제도이론과 함께 자원의존이론, 조직군생태학이론 등 다양한 관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제도적 압력과 조직의 전략적 선택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직군생태학이론, 제도이론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27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